- 서울시 농업기술센터 정원의 사랑스러운 농부와 소 조형물! 푸른 소와 환한 미소를 짓는 농부가 방문객들에게 웃음을 선사한다. ©문청야
- 농업과 가족의 따뜻한 연결고리! 서울시 농업기술센터 정원에서 만나는 다채로운 채소와 행복한 가족의 조형물 ©문청야
- 시민체험교육장 시설에는 자연학습장, 농업기상대, 식물터널, 수경재배 스마트팜, 스마트 농업 교육장, 청사, 아열대 식물온실 등이 있다. ©문청야
명인에게 배우는 전통 고추장 레시피…직접 만드니 깊은 맛이 두 배!
발행일 2025.03.20. 13:00
전통 장(醬)은 우리 식문화의 핵심이다. 그중에서도 고추장은 감칠맛과 영양을 고루 갖춘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서울시농업기술센터에서는 이러한 전통 장 문화를 계승하고자 '전통 장류 강좌'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 장 담그기 문화'가 유네스코에 등재(2024년 12월)된 것을 기념하여 기존 된장, 간장 강좌 외에도 고추장, 청국장, 빠금장(막장)까지 강좌를 확대했다.
최근 열린 '찹쌀고추장 만들기' 교육에는 4대째 전통 고추장 제조법을 이어온 김복인 명인이 강사로 나섰다. 참가자들은 그의 지도 아래 직접 고추장을 담그며 전통 장의 깊은 맛과 정성을 체험했다.
고추장 한 통을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찹쌀을 물에 담가 10일간 발효시키는 과정은 장의 맛을 좌우하는 중요한 단계다. 참가자들은 찹쌀을 삭히고, 엿기름과 메주가루를 섞어 발효시킨 후 고춧가루와 소금을 넣어 정성껏 고추장을 만들었다.
고추장을 만들 때는 재료의 정확한 비율과 순서가 중요하다. 기본 레시피는 찹쌀 1kg, 고춧가루 1.5kg, 메주가루 500g, 소금 500g, 물 4L, 엿기름 500g으로 구성된다. 특히 메주가루는 먼저 넣어야 특유의 냄새가 줄어들고, 엿기름, 물은 점차적으로 부어가며 농도를 조절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소금을 적절히 섞어 간을 맞춘 후, 완성된 고추장은 항아리에 담아 40~50일간 숙성해야 깊고 풍부한 감칠맛이 우러난다.
현대인의 식탁에는 공장에서 생산된 장류가 익숙하지만, 건강한 식문화를 위해서는 직접 만들어 먹는 전통 방식의 중요성이 크다. 이번 고추장 만들기 체험은 단순한 요리 강좌를 넘어, 우리 전통 발효식품의 가치를 되새기고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서울시농업기술센터의 전통 장 만들기 강좌는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 누리집에서 신청할 수 있다. 한 번쯤 직접 담근 장으로 가족과 함께 건강한 식탁을 차려보는 것은 어떨까?
최근 열린 '찹쌀고추장 만들기' 교육에는 4대째 전통 고추장 제조법을 이어온 김복인 명인이 강사로 나섰다. 참가자들은 그의 지도 아래 직접 고추장을 담그며 전통 장의 깊은 맛과 정성을 체험했다.
고추장 한 통을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찹쌀을 물에 담가 10일간 발효시키는 과정은 장의 맛을 좌우하는 중요한 단계다. 참가자들은 찹쌀을 삭히고, 엿기름과 메주가루를 섞어 발효시킨 후 고춧가루와 소금을 넣어 정성껏 고추장을 만들었다.
고추장을 만들 때는 재료의 정확한 비율과 순서가 중요하다. 기본 레시피는 찹쌀 1kg, 고춧가루 1.5kg, 메주가루 500g, 소금 500g, 물 4L, 엿기름 500g으로 구성된다. 특히 메주가루는 먼저 넣어야 특유의 냄새가 줄어들고, 엿기름, 물은 점차적으로 부어가며 농도를 조절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소금을 적절히 섞어 간을 맞춘 후, 완성된 고추장은 항아리에 담아 40~50일간 숙성해야 깊고 풍부한 감칠맛이 우러난다.
현대인의 식탁에는 공장에서 생산된 장류가 익숙하지만, 건강한 식문화를 위해서는 직접 만들어 먹는 전통 방식의 중요성이 크다. 이번 고추장 만들기 체험은 단순한 요리 강좌를 넘어, 우리 전통 발효식품의 가치를 되새기고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서울시농업기술센터의 전통 장 만들기 강좌는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 누리집에서 신청할 수 있다. 한 번쯤 직접 담근 장으로 가족과 함께 건강한 식탁을 차려보는 것은 어떨까?

전통 우리음식 교육으로 '한국 장 담그기 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기념 '찹쌀고추장 실습'이 진행됐다. ©문청야

4대째 전통 고추장 제조법을 이어온 김복인 명인이 찹쌀고추장 만들기 교육을 진행했다. ©문청야

2025년 전통 우리 음식 교육 찹쌀고추장 만들기 체험에 30여 명의 시민이 참여했다. ©문청야

찹쌀고추장 만들기 체험에 참여한 30여 명의 시민이 맛있는 고추장을 직접 만들며 즐거워 하고 있다. ©문청야

김복인 명인과 며느리가 직접 시연을 하고 있다. ©문청야

참가자들, 몰입도 100%! 서울시 농업기술센터의 실습 교육 현장에서 모두가 집중하여 모니터를 보며 실습 중이다. ©문청야

색깔도 고은 알싸한 맛의 고추장이 만들어졌다. ©문청야

맛있는 고추장을 사이 좋게 나누어 용기에 담아 뿌듯한 마음으로 가져왔다. ©문청야
서울특별시 농업기술센터
전통 장류 강좌
○ 강좌 일정 : 전통 된장 및 간장 교육(2월 17일, 21일), 전통 고추장 강좌(3월), 청국장 강좌(4월), 빠금장 강좌(6월)
○ 신청방법 :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 누리집
○ 문의 : 02-6959-9369
○ 신청방법 :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 누리집
○ 문의 : 02-6959-9369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