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많은 '장 담그기' 체험, 드디어 성공! 명인에게 배우는 전통 비법
발행일 2025.02.18. 15:30
드디어 기다리고 기다리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우리의 전통 장 담그기 체험을 하게 되었다.
서울시농업기술센터는 유네스코 등재(24년 12월)를 기념해 전통 장류 강좌를 확대하여 된장, 간장 강좌에서 고추장, 청국장, 빠금장(막장)을 추가해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7회에 걸쳐 진행하는데 첫 강좌인 전통 된장, 간장 교육에 참여했다. 이번 강좌를 통해 3대째 전통 장 담그기 내림 솜씨를 보유하신 조숙자 명인에게 직접 배울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얻게 되어 정말 영광이었다.
된장과 간장에 대한 이론 수업으로 콩 선택법, 소금 준비, 메주 쑤는법, 장 담그기, 장 관리, 장 가르기 등을 배우고, 메주로 직접 장 담그는 시연을 보며 장 하나를 만드는데 이렇게 많은 정성과 노력이 들어간다는 사실에 새삼 놀라웠다. 조 명인의 손길이 닿는 곳마다 정성이 가득 느껴졌고, 장 담그는 과정 하나하나가 예사롭지 않았다.
특히, 콩을 고르는 법부터 소금 간을 맞추는 방법까지, 그동안 몰랐던 많은 것들을 배울 수 있었다. 강의 후 휴식시간에 가래떡을 간장과 된장에 찍어 먹었는데 그 맛을 잊을 수가 없다.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정성이 담긴 전통의 간장, 된장이 그렇게 풍미가 깊은 줄 미처 몰랐다.
3월에는 4대째 고추장 내림 솜씨 보유자인 김복임 명인의 찹쌀고추장과 띄운보리고추장, 4월에는 한국발효장류진흥협회 이원수 강사의 청국장 강좌, 6월에는 충청도식 막장인 빠금장 강좌에도 꼭 참여해서 다양한 장을 직접 만들어 보고 싶다. 이번 체험을 통해 우리 음식의 소중함을 다시 한 번 깨달았다. 바쁜 현대 사회에서 간편식을 즐기는 것이 당연해진 요즘, 직접 장을 담그고 음식을 만들어 먹는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우리 전통 식문화를 이어나가기 위해 노력해야겠다.
이번 장 담그기 체험은 단순히 요리를 배우는 것을 넘어,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첫걸음을 내딛는 소중한 경험이었다. 앞으로도 이러한 전통 문화 체험 프로그램이 많이 생겨나기를 바란다. 교육신청은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 누리집에서 할 수 있다.
서울시농업기술센터는 유네스코 등재(24년 12월)를 기념해 전통 장류 강좌를 확대하여 된장, 간장 강좌에서 고추장, 청국장, 빠금장(막장)을 추가해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7회에 걸쳐 진행하는데 첫 강좌인 전통 된장, 간장 교육에 참여했다. 이번 강좌를 통해 3대째 전통 장 담그기 내림 솜씨를 보유하신 조숙자 명인에게 직접 배울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얻게 되어 정말 영광이었다.
된장과 간장에 대한 이론 수업으로 콩 선택법, 소금 준비, 메주 쑤는법, 장 담그기, 장 관리, 장 가르기 등을 배우고, 메주로 직접 장 담그는 시연을 보며 장 하나를 만드는데 이렇게 많은 정성과 노력이 들어간다는 사실에 새삼 놀라웠다. 조 명인의 손길이 닿는 곳마다 정성이 가득 느껴졌고, 장 담그는 과정 하나하나가 예사롭지 않았다.
특히, 콩을 고르는 법부터 소금 간을 맞추는 방법까지, 그동안 몰랐던 많은 것들을 배울 수 있었다. 강의 후 휴식시간에 가래떡을 간장과 된장에 찍어 먹었는데 그 맛을 잊을 수가 없다.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정성이 담긴 전통의 간장, 된장이 그렇게 풍미가 깊은 줄 미처 몰랐다.
3월에는 4대째 고추장 내림 솜씨 보유자인 김복임 명인의 찹쌀고추장과 띄운보리고추장, 4월에는 한국발효장류진흥협회 이원수 강사의 청국장 강좌, 6월에는 충청도식 막장인 빠금장 강좌에도 꼭 참여해서 다양한 장을 직접 만들어 보고 싶다. 이번 체험을 통해 우리 음식의 소중함을 다시 한 번 깨달았다. 바쁜 현대 사회에서 간편식을 즐기는 것이 당연해진 요즘, 직접 장을 담그고 음식을 만들어 먹는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우리 전통 식문화를 이어나가기 위해 노력해야겠다.
이번 장 담그기 체험은 단순히 요리를 배우는 것을 넘어,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첫걸음을 내딛는 소중한 경험이었다. 앞으로도 이러한 전통 문화 체험 프로그램이 많이 생겨나기를 바란다. 교육신청은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 누리집에서 할 수 있다.
서울시 내곡동에 위치한 서울특별시 농업기술센터 ©정향선
2024년 12월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정향선
서울특별시 농업기술센터는 유네스코 등재를 기념해 전통 장류 강좌를 열었다. ©정향선
교육은 된장, 간장 강좌에서 고추장, 청국장, 빠금장(막장)을 추가해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7회에 걸쳐 진행한다. ©정향선
우리의 전통 장 된장, 간장 담그기 체험 중인 모습 ©정향선
3대째 전통 장 담그기 내림 솜씨를 보유한 조숙자 명인이 강의했다. ©정향선
콩 선택법, 소금 준비, 메주 쑤는 법, 장 담그기, 장 관리, 장 가르기 등을 배울 수 있었다. ©정향선
메주로 직접 장 담그는 시연을 보며 장 하나를 만드는데 이렇게 많은 정성과 노력이 들어간다는 사실에 새삼 놀랐다. ©정향선
조숙자 명인의 손길이 닿는 곳마다 정성이 가득 느껴졌다. ©정향선
휴식 시간에 가래떡에 간장과 된장을 찍어 먹었는데 그 맛을 잊을 수가 없다. ©정향선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정성이 담긴 전통의 간장, 된장의 풍미가 일품이다. ©정향선
3월에는 김복임 명인의 찹쌀고추장과 띄운보리고추장, 4월에는 이원수 강사의 청국장, 6월에는 충청도식 막장인 빠금장 강좌도 예정되어 있다. ©정향선
전통 우리음식장류교육장 모습 ©정향선
2월 21일 전통 우리음식장류교육장에서 실습 교육으로 직접 장을 담그는 과정을 체험할 수 있다. ©정향선
이날 담근 장은 장 가르기를 거쳐 10월에 직접 담근 된장과 간장을 각각 1kg씩 가져 갈 수 있다. ©정향선
40년간 숙성된 간장을 만나 볼 수 있었다. ©정향선
앞으로도 이러한 전통 문화 체험 프로그램이 많이 생겨나기를 바란다. ©정향선
서울특별시 농업기술센터
전통 장류 강좌
○ 전통 된장, 간장 교육(2월 17일, 21일), 전통 고추장 강좌(3월), 청국장 강좌(4월), 빠금장 강좌(6월)
○ 신청방법 :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 누리집
○ 서울특별시 농업기술센터 공식 유튜브 '우리나라 전통 된장 만들기'
○ 문의 : 서울특별시 농업기술센터 02-6959-9369
○ 신청방법 :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 누리집
○ 서울특별시 농업기술센터 공식 유튜브 '우리나라 전통 된장 만들기'
○ 문의 : 서울특별시 농업기술센터 02-6959-9369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