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에서 서플댄스를 함께 즐겨요!
발행일 2025.03.25. 09:39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는 지하철 합정역 3번 출구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다. ©조한상
청년들의 즐거운 창작 생활 문화 플랫폼,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
서울시는 시민 누구나 생활 예술인으로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서울생활문화센터 4개소(서교‧낙원‧체부‧신도림)를 운영하고 있다. 그중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는 합정역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다. 지하철 2‧6호선 합정역 3번 출구를 나와 50m 정도 걷다 보면 건널목 부근 오른쪽 주상복합건물의 지하로 이어지는 계단이 보인다. 이곳이 바로 ‘청년 생활문화의 메카’를 지향하는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다.
이곳은 일상에서 주체적으로 문화를 즐기고 만들어 가는 시민의 삶을 위한 ‘청년들의 즐거운 창작 생활 문화 플랫폼’을 지향하고 있다. 공간 대관 외에 생활 문화 프로그램 등을 진행하며, 온라인 채널과 연계하여 다양한 생활 문화 관련 정보와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문화 예술 활동이 활발한 ‘홍대앞’이라는 지역의 장점을 바탕으로, 시민과 청년 그리고 예술가가 함께 노닐 수 있는 공간을 추구한다. 이를 위해 생활 문화 공간과 서교스퀘어(공연장), 두 곳의 공간을 포함하고 있으며, 정기 대관과 수시 대관을 통해 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이곳은 일상에서 주체적으로 문화를 즐기고 만들어 가는 시민의 삶을 위한 ‘청년들의 즐거운 창작 생활 문화 플랫폼’을 지향하고 있다. 공간 대관 외에 생활 문화 프로그램 등을 진행하며, 온라인 채널과 연계하여 다양한 생활 문화 관련 정보와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문화 예술 활동이 활발한 ‘홍대앞’이라는 지역의 장점을 바탕으로, 시민과 청년 그리고 예술가가 함께 노닐 수 있는 공간을 추구한다. 이를 위해 생활 문화 공간과 서교스퀘어(공연장), 두 곳의 공간을 포함하고 있으며, 정기 대관과 수시 대관을 통해 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청년 창작 커뮤니티 활동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 ©조한상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에서 서플&댄스 프로그램이 열린다. ©조한상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에서 서플 앤 댄스를 함께 즐겨요!
지난 3월 15일, 얼마 전 우연히 누리소통망(SNS)을 통해 소식을 알게 된 서플 앤 댄스 공연을 찾아가 봤다. 오후 1시부터 플리마켓과 함께 시작된 프로그램에는 벌써부터 10여 명의 사람들이 음악에 맞춰 몸을 풀고 있었다. 또 주변에는 샌드위치를 팔거나 타로 상담이 이어지는 등 재미있는 플리마켓 참여자들이 관객들의 시선을 끌고 있었다.
이윽고 음악이 시작되자 리더가 앞으로 나서며 간단한 발 동작의 시범을 보였고, 다른 이들도 그에 따라 움직임을 시도하기 시작했다.
이윽고 음악이 시작되자 리더가 앞으로 나서며 간단한 발 동작의 시범을 보였고, 다른 이들도 그에 따라 움직임을 시도하기 시작했다.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서플 앤 댄스 체험과 퍼포먼스 ©조한상

플리마켓과 함께 댄스 퍼포먼스, 서플 앤 댄스가 열렸다. ©조한상
개인적으로 춤에 대한 흥미가 있다 보니 몇 년 전에 탱고를 시도해 보기도 했고 최근에는 라인 댄스 프로그램에 참여해 보기도 했다. 나이가 들수록 운동의 필요성을 간절히 느끼게 되는데, 춤을 통해 운동량을 조금씩 늘려가는 것이 음악의 즐거움과 더불어 유쾌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그래서 주변의 중장년들에게 많이 권하고 있다.

볼거리가 가득했던 플리마켓도 함께 열렸다. ©조한상

플리마켓에서는 타로 심리 상담도 이어졌다. ©조한상

서플 앤 댄스는 플리마켓과 함께 댄스 퍼포먼스가 어우러진 복합 문화 프로그램이다. ©조한상
2025년 첫 시작, 서플 앤 댄스
이번에 진행된 플리마켓과 서플 앤 댄스는 앞으로 홀수 달마다 1회 정기적으로 개최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누구나 함께 참여하여 음악과 춤을 즐기며, 더불어 시민 청년 창작자들과 직접 만나 소통하고 함께 즐거운 추억을 나누며 커뮤니티를 만들어 갈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봤다.
이외에도 다양한 프로그램들에 대한 소개와 진행도 계속 공지되고 있고 또 직접 새로운 프로그램과 아이디어의 제안과 참여 신청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프로그램들에 대한 소개와 진행도 계속 공지되고 있고 또 직접 새로운 프로그램과 아이디어의 제안과 참여 신청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다.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