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톳길 맨발 걷기로 건강을 충전하다! 황금내·공암나루근린공원

시민기자 조수봉

발행일 2025.03.06. 12:37

수정일 2025.03.06. 20:23

조회 904

강서구는 올림픽대로를 따라 길게 많은 근린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특히 염창동 소재 증미산부터 가양동의 궁산에 이르는 약 3km 거리의 ‘황금내근린공원’‘공암나루근린공원’이 대표적이다. 지하철역을 기준으로 한다면 9호선 증미역부터 가양역을 거쳐 양천향교역에 이르는 거리다. 이 두 곳의 근린공원에 대규모 황톳길(맨발 산책로)이 조성돼 지난 연말부터 시민들에게 공개됐다. 일반 공원에서 테마 공원으로 변신한 것이다.

최근 황톳길 맨발 걷기가 주는 효능이 널리 알려지면서 각 자치구마다 근린공원 등에 황톳길을 조성하고 있다. 이번에 조성된 두 곳의 근린공원 중 황금내근린공원에는 약 654m, 공암나루근린공원에는 약 1,700m황톳길이 조성됐다.

두 곳 근린공원에는 일반 산책로와 더불어 맨발 산책로인 황톳길과 진흙 발 마사지를 할 수 있는 황토장, 황토볼장, 세족장 등 다양한 시설을 조성했다. 특히 공암나루근린공원에는 마치 온실과 같이 설치된 황톳길이 단연 인기 만점이다. 약 100m 구간으로 조성된 이곳은 기둥에 지붕을 얹고 사방을 비닐 막으로 에워싼 터널 구조로 웬만한 추위와 궂은 날씨에도 황톳길 이용이 가능하다.

황금내근린공원은 지하철 9호선 증미역 1번 출구에서 도보 약 8분 거리에, 공암나루근린공원은 가양역 3번 출구에서 도보 약 8분 거리에 위치한다. 그러나 두 곳의 근린공원은 서로 인접해 있어 어느 곳에서든지 연결이 용이하다.

황톳길에서 맨발 산책을 즐겼다면 주변의 볼거리를 찾아보는 재미도 있다. 공암나루근린공원에서 ‘가양구름다리’나 ‘구암나들목’을 이용하면 바로 한강변으로 나갈 수 있다. 이웃한 ‘허준근린공원’에 들르면 허준박물관을 비롯해 설화를 간직한 광주바위, 허준 선생이 <동의보감>을 저술했다는 허가바위굴 그리고 옛 공암나루터 등을 볼 수 있다. 공암나루근린공원에서 양천향교역 쪽으로 가다 보면 ‘궁산역사·문화둘레길’에 있는 양천향교, 서울양천고성지, 성황사, 소악루 등도 만나볼 수 있다.
황톳길 산책 후 이용할 수 있는 세족장 ©조수봉
황톳길 산책 후 이용할 수 있는 세족장 ©조수봉
황톳길 시작점에 설치된 소지품 보관대 ©조수봉
황톳길 시작점에 설치된 소지품 보관대 ©조수봉
나무숲 사이로 조성된 황금내근린공원 황톳길 ⓒ조수봉
나무숲 사이로 조성된 황금내근린공원 황톳길 ⓒ조수봉
황톳길에 설치된 ‘황토볼장’은 앉아 쉬면서 발 마사지를 할 수 있는 공간이다. ©조수봉
황톳길에 설치된 ‘황토볼장’은 앉아 쉬면서 발 마사지를 할 수 있는 공간이다. ©조수봉
공암나루근린공원은 서울둘레길 ‘15번 노을·하늘공원코스’ 시작점이기도 하다. ©조수봉
공암나루근린공원은 서울둘레길 ‘15번 노을·하늘공원코스’ 시작점이기도 하다. ©조수봉
공암나루근린공원의 황톳길은 길이 1,700m에 달한다. ⓒ조수봉
공암나루근린공원의 황톳길은 길이 1,700m에 달한다. ⓒ조수봉
황톳길에는 반려동물 출입이 불가하다. ⓒ조수봉
황톳길에는 반려동물 출입이 불가하다. ⓒ조수봉
공암나루근린공원의 황톳길 세족장 ⓒ조수봉
공암나루근린공원의 황톳길 세족장 ⓒ조수봉
황톳길을 걷다가 발 마사지를 할 수 있는 ‘황토장’ ©조수봉
황톳길을 걷다가 발 마사지를 할 수 있는 ‘황토장’ ©조수봉
  • 춥거나 궂은 날씨에도 이용 가능한 온실형 황톳길 ©조수봉
    춥거나 궂은 날씨에도 이용 가능한 온실형 황톳길 ©조수봉
  • 온실형 황톳길은 약 100m 구간으로 조성됐다. ⓒ조수봉
    온실형 황톳길은 약 100m 구간으로 조성됐다. ⓒ조수봉
  • 춥거나 궂은 날씨에도 이용 가능한 온실형 황톳길 ©조수봉
  • 온실형 황톳길은 약 100m 구간으로 조성됐다. ⓒ조수봉
공암나루근린공원에 새롭게 설치된 운동기구를 이용하는 주민들 ©조수봉
공암나루근린공원에 새롭게 설치된 운동기구를 이용하는 주민들 ©조수봉
  • 공암나루근린공원과 한강변을 연결하는 ‘가양구름다리’ ⓒ조수봉
    공암나루근린공원과 한강변을 연결하는 ‘가양구름다리’ ⓒ조수봉
  • 공암나루근린공원과 한강변을 연결하는 구암나들목 ⓒ조수봉
    공암나루근린공원과 한강변을 연결하는 구암나들목 ⓒ조수봉
  • 구암나들목을 나서면 만나는 데크 쉼터와 한강 ⓒ조수봉
    구암나들목을 나서면 만나는 데크 쉼터와 한강 ⓒ조수봉
  • 공암나루근린공원과 한강변을 연결하는 ‘가양구름다리’ ⓒ조수봉
  • 공암나루근린공원과 한강변을 연결하는 구암나들목 ⓒ조수봉
  • 구암나들목을 나서면 만나는 데크 쉼터와 한강 ⓒ조수봉
  • 공암나루근린공원과 인접한 허준박물관 ⓒ조수봉
    공암나루근린공원과 인접한 허준박물관 ⓒ조수봉
  • 공암나루근린공원과 인접한 허준근린공원의 허준 동상 ©조수봉
    공암나루근린공원과 인접한 허준근린공원의 허준 동상 ©조수봉
  • 허가바위는 양천 허씨 시조 설화와 더불어 바위 아래 동굴이 있어 ‘공암(孔巖)이라고도 한다. ⓒ조수봉
    허가바위는 양천 허씨 시조 설화와 더불어 바위 아래 동굴이 있어 ‘공암(孔巖)이라고도 한다. ⓒ조수봉
  • 허준 선생이 <동의보감>을 저술했다는 허가바위 아래 동굴 ⓒ조수봉
    허준 선생이 <동의보감>을 저술했다는 허가바위 아래 동굴 ⓒ조수봉
  • 허가바위 부근이 옛 나루터였음을 알리는 표지석 ⓒ조수봉
    허가바위 부근이 옛 나루터였음을 알리는 표지석 ⓒ조수봉
  • 공암나루근린공원과 인접한 허준박물관 ⓒ조수봉
  • 공암나루근린공원과 인접한 허준근린공원의 허준 동상 ©조수봉
  • 허가바위는 양천 허씨 시조 설화와 더불어 바위 아래 동굴이 있어 ‘공암(孔巖)이라고도 한다. ⓒ조수봉
  • 허준 선생이 <동의보감>을 저술했다는 허가바위 아래 동굴 ⓒ조수봉
  • 허가바위 부근이 옛 나루터였음을 알리는 표지석 ⓒ조수봉
  • 공암나루근린공원과 인접한 궁산역사·문화둘레길의 양천향교 ⓒ조수봉
    공암나루근린공원과 인접한 궁산역사·문화둘레길의 양천향교 ⓒ조수봉
  • 궁산역사·문화둘레길 중 궁산 기슭에서 한강 조망이 가장 뛰어나다는 소악루 ⓒ조수봉
    궁산역사·문화둘레길 중 궁산 기슭에서 한강 조망이 가장 뛰어나다는 소악루 ⓒ조수봉
  • 공암나루근린공원과 인접한 궁산역사·문화둘레길의 양천향교 ⓒ조수봉
  • 궁산역사·문화둘레길 중 궁산 기슭에서 한강 조망이 가장 뛰어나다는 소악루 ⓒ조수봉

황금내근린공원

○ 위치 : 서울 강서구 허준로 221-40
○ 교통 : 지하철 9호선 증미역 1번 출구에서 도보 8분

공암나루근린공원

○ 위치 : 서울시 강서구 강서로80길 117 
○ 교통 : 지하철 9호선 가양역 3번 출구에서 도보 8분

시민기자 조수봉

역동적인 서울의 모습을 알리는 서울시민기자가 되겠습니다.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