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하는 분리수거, 산책이 빙고게임으로? '365 서울챌린지' 도전기
발행일 2025.07.03. 14:13
‘나의 햇빛 지수 테스트’(자가 진단 하기)를 통해 나에게 맞는 챌린지를 추천받을 수 있으며, 직접 챌린지를 선택해 나만의 빙고 판을 만들 수도 있다. 챌린지 난이도는 상중하로 구분되어 있다. 참가자는 상(4개 챌린지 선택), 중(6개 챌린지 선택), 하(6개 챌린지 선택) 총 16개 챌린지를 선택해 4X4칸 빙고 판을 만들어서 시작하면 된다. 추후 챌린지를 변경하고자 할 때 참여 기간 내 동일 난이도에 한해 총 3회 교체할 수 있다.
난이도 ‘하’는 300포인트, ‘중’은 500포인트, ‘상’은 800포인트씩 적립되며, 빙고 한 줄이 완성될 때마다 1,500포인트가 추가 적립된다. 기수별로 1만 5,000포인트까지 적립할 수 있으며 5,000포인트 이상 쌓이면 서울페이머니로 전환할 수 있다. 일상, 배움, 문화, 체육 분야별 다채로운 챌린지 참여를 통해 일상에 활력을 더하고 포인트 쌓는 즐거움까지 있는 이번 챌린지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 혹 1기 선착순 모집이 마감되어 아쉽다면 10월 1일부터 시작되는 2기 모집 기간을 체크해 두자.




365해! 보자 서울 챌린지 참여 방법
먼저 ▲난이도 ‘하’는 안 쓰는 물건 중고 거래하기, 가까운 공원 산책하기, 따릉이 이용하기, 전통시장 방문하기, 집 앞에서 간단한 운동하기, 분리수거하기, 나의 반려 식물·반려동물 자랑하기 등 집 또는 집 근처에서 참여할 수 있는 비교적 쉬운 도전으로 이루어져 있다. ▲난이도 ‘중’은 한강 해치카 탑승, 서울 야외도서관에서 독서하기, 서울 미술관·박물관 중 한 곳 가기, 서울 내 궁궐 방문하기 등 집 근처에서 벗어나 야외 활동을 유도하고 있다. 홀로 할 수 있는 챌린지 중심인 난이도 ‘하’와 ‘중’과 달리, ▲난이도 ‘상’은 타인과 함께하는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7979 서울 러닝 크루 참여, 한강 명산 트레킹 참여, 서울 도보 해설 관광 참여, 한강 역사 탐방 등과 같이 적극적인 문화 체육 활동을 통해, 다양한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는 미션을 제안하고 있다.
챌린지는 하루에 1개씩 참여할 수 있으며, 챌린지마다 인증 방식이 다르니 내용을 꼭 읽어보고 참여하도록 하자. 예를 들어 ‘분리수거하기’의 경우엔 분리한 재활용품 위에 오늘 날짜를 적은 포스트잇을 붙인 사진 1장 제출하면 되고, ‘나의 반려 식물 자랑하기’의 경우 반려 식물과 손가락 하트를 함께 담아 촬영한 사진과 이 사진의 ‘상세 정보(날짜, 장소)'가 나오도록 캡처한 사진 총 2장을 첨부해야 한다. 손가락 하트나 해당 장소의 표지판 앞에서 브이 등 예시 사진으로 안내하고 있으니 챌린지 상세 내용을 참고해서 참여하면 된다.


365해! 보자 서울 챌린지
○ 참여기간(기수별 5000명 선착순 모집)
- 1기 : 2025년 7월 1일~9월 30일
- 2기 : 2025년 10월 1일부터 12월 31일
○ 기수별 1만 5,000포인트까지 적립 가능, 5000포인트 이상 적립 시 '서울페이머니'로 전환 가능
○ 내용 : 문화, 체육, 일상, 배움 등 4개 분야별 원하는 챌린지에 참여하고 사진, 문자 등으로 참여 인증
○ 혜택 : 기수별 최대 15,000P(올해 최대 3만 P) 적립가능 ※5,000P 이상 서울페이머니로 전환 가능
○ 회원가입 및 챌린지 참여 : 누리집
○ 문의 : 02-3488-8333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외로울 틈 없네! '365 서울챌린지' 모집…참여 혜택은?
내 손안에 서울
-
"우울증 이겨낼 용기 생겨"…'외로움 없는 서울' 정책 순항 중
내 손안에 서울
-
한강 보물찾기 러닝 VS 마음여행 독서, 내 취향 챌린지는?
내 손안에 서울
-
외로움, 이젠 안녕! 120 전화로 상담사와 이야기해요
내 손안에 서울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