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올해 첫 추경 편성…'핀셋투자' 3대 분야는?

내 손안에 서울

발행일 2025.05.26. 16:05

수정일 2025.05.26. 16:05

조회 3,610

경제 활성화와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집중 투자
서울시가 ‘민생안정, 도시안전, 미래투자’ 3대 축을 중심으로 한 추경을 단행한다.
서울시가 ‘민생안정, 도시안전, 미래투자’ 3대 축을 중심으로 한 추경을 단행한다.
경기 불황으로 인한 소비 위축, 수출 부진 등 한국경제가 대내·외적인 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서울시가 ‘민생안정’, ‘도시안전’, ‘미래투자’의 3대 축을 중심으로 올해 첫 추경을 단행한다. 미국의 관세 강화 조치 등 글로벌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서울경제에 숨통을 틔워 민생을 최우선으로 살리겠다는 취지다. 아울러 최근 지반침하 등 각종 사고로부터 시민들의 안전을 확보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선제적 투자도 포함됐다.

서울시는 ‘2025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하고 5월 26일 서울시의회에 제출, 심의를 요청했다. 추경 예산 규모는 2025년 기정예산 48조 1,545억원 대비 3.4%(1조 6,146억원)에 달하며, 원안대로 통과되면 올해 예산은 49조 7,691억원이 된다.
2025년도 서울시 제1회 추경예산안 중점투자 분야
2025년도 서울시 제1회 추경예산안 중점투자 분야

민생안정



서울경제의 뿌리 역할을 하는 소상공인·중소기업을 든든하게 뒷받침하고 약자와의 동행, 저출생 정책을 이어나가기 위해 민생안정 분야에 총 4,698억 원을 편성했다.

① 소상공인 : 위기 극복·재기 지원, ‘더성장 펀드’ 투자 확대

우선 경영 위기 극복과 폐업 후 재기를 꿈꾸는 소상공인을 위한 금융지원과 맞춤형 컨설팅을 펼친다. 위기 소상공인은 조기 발굴해 선제적 지원으로 재안착도 돕는다. 혁신적인 소상공인의 성장을 돕는 50억원 규모의 성장펀드 조성도 시작한다. 아낌없는 지원으로 지역 경제 기반을 탄탄하게 다진다는 계획이다. 
image

|  소상공인 지원

○ 소상공인 안심통장 지원
○ 공공배달 서비스 활성화
○ 위기 소상공인 조기발굴 및 선제지원
○ 사업실패 소상공인 성공적 재기 지원
○ 소상공인 더성장 펀드 조성(신규)

② 중소기업 : 긴급자금 융자 실시, 수출국가 다변화 등 체계적 지원

미국발 관세 정책 리스크 등 대외 여건 악화에 대응하기 위해 수출 중소기업에 긴급자금을 지원하고, 수출바우처와 보험, 신흥시장 마케팅 지원 등 맞춤형 대책을 가동한다.
image

|  중소기업 지원

○ 수출감소 긴급 융자지원(신규)
○ 수출기업 보험료 지원
○ 대미 수출대응 바우처 지원
○ 수출 다변화 지원

③ 취약 계층 : 일자리 확충, 체감 가능 복지서비스 확대

청년·중장년 등 일자리는 늘리고 경제 위기 시 직견탄을 맞는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서비스는 강화한다. 실질적이고 빠른 변화를 가지고 오는 지원으로 생활 전반에서 체감가능한 개선과 변화를 느끼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image
image

|  취약 계층 지원

○ 서울형 이음공제(신규)
○ 중장년 가치동행일자리 확충
○ 여성 새로일하기센터 운영
○ 장애인 버스요금 지원
○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
○ 돌봄SOS 서비스 이용한도 상향
○ 국가유공자 장례서비스 예우 강화(신규)
○ 시립병원 비상진료체계 유지

④ 저출생 대책 강화 : 결혼·출산·양육 전주기 맞춤형 정책 확대 가동

출생아 수 반등 희망을 이어나가기 위해 결혼·출산·양육 전 주기를 포괄하는 맞춤형 대책도 추진한다. 공공결혼식 지원, 산후조리비·아이돌봄비·가사서비스 지원 확대, 키즈카페 추가 개소 등 다양한 정책을 가동할 예정이다.
image

|  저출생 대책 강화

○ 서울형 공공예식장 확대
○ 임산부 교통비 지원
○ 서울형 산후조리경비 지원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개선
○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확대
○ 서울형 아이돌봄비 확대
○ 시립 서울형 키즈카페
○ 주말특화 서울형 키즈카페(신규)

도시안전



시민의 안전한 일상 유지를 위해 도시안전 분야에도 1,587억원을 투자한다. 지반침하, 대형 굴착공사장 사고 등 도시 기반시설 인프라 개선 및 정비가 주요 내용이다. 시민안전이 최우선이라는 서울시정 철학 아래 예방을 위한 선제적 대비를 하고자 한다.

① 지반침하 대책 추진 : 노후 하수관로 정비, 공사장 안전관리·모니터링 강화

우선 30년 경과 노후 하수관로 정비에 1,352억원을 투입, 올해 안에 65.9㎞를 추가로 정비한다. 대형 굴착공사장 GPR 탐사 강화와 지하수위 모니터링, 지하 지킴이 관측망 확대 등 지반침하를 막기 위한 대책도 선제적으로 가동한다.
image

|  지반침하 대책 추진

○ 노후 하수관로 정비
○ 노후 하수관로 정밀조사 및 기술진단
○ 대형 굴착공사장 GPR탐사 강화(신규)
○ 서울 지하 지킴이 관측망 설치
○ 지하수위 관리 강화
○ 우선정비구역도 고도화(신규)

② 안전인프라 보수·보강 : 기후재난 대비 빗물저류조 확충, 노후인프라 보강

여름철 이상기후에 의한 집중 호우에 대비한 빗물 저류조 설치, 포장도로 정비 등 시민의 일상과 직결된 안전 인프라 보강과 점검에도 힘쓴다.
image

|  안전인프라 보수·보강

○ 신림 공영차고지 내 빗물저류조 설치
○ 해체공사장 상시점검단 운영(신규)
○ 노후 포장도로 정비를 통한 안전사고 예방

미래투자



마지막으로 미래 게임체인저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이 본격화된 가운데 서울시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 투자도 단행한다. 인재 양성과 인프라 확충, 공공서비스 고도화 등 균형 잡힌 투자로 기술주권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도시 매력을 한층 높여줄 인프라와 축제를 지속적으로 개최하고, 서울시민의 일상을 혁신중인 밀리언셀러 정책들도 확대 추진한다.

① AI 산업기반 조성 : 글로벌 AI 3대 강국 도약 위한 인재 양성, 기반 조성

먼저 ‘글로벌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5,000억원 규모 펀드 조성 등 AI 혁신 선도도시 도약을 위한 시동을 건다. 아울러 AI 인재양성, AI 산업 인프라 조성과 시민확산, 행정 혁신에도 힘을 쏟는다.
image
image

|  AI 산업기반 조성

○ 인공지능대전환 펀드 조성(신규)
○ AI 융복합 지원
○ 고성능 GPU 서버 이용 바우처 지원
○ 청년취업사관학교‧대학 등 AI기술인재양성
○ AI 서울 테크 장학금 지원(신규)
○ 글로벌 AI 연구소 서울 유치(신규)
○ 약자동행 시민 AI 비서 서비스(신규)
○ 생성형 AI 기반 “챗봇 2.0” 구축(신규)
○ 서울 AI플랫폼 구축(신규)

② 글로벌 매력 제고 : 365일 여유롭고 펀(FUN)한 도시 서울 조성

여의도공원 재구조화, 노들 글로벌예술섬 등 서울의 매력을 한층 더 높일 인프라를 확충하고, 365일 즐길거리 가득한 펀(Fun) 도시 조성에도 집중적인 투자를 펼친다. 서울 대표 밀리언셀러 정책 ‘손목닥터9988’, ‘기후동행카드’ 인센티브도 확대해 시민의 일상을 혁신한다. 
image
image

|  글로벌 매력 제고

○ 여의도공원 재구조화
○ 노들 글로벌 예술섬 미디어 콘텐츠 조성
○ 2026년 서울국제정원박람회 개최
○ 서울문화유산센터 준공
○ 수변활력거점 명소화
○ 기후동행카드 운영
○ 손목닥터9988 인센티브 확대 지원
정상훈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추경은 장기적인 경제 불황 속 민생을 최대한 지키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버팀목 지원이 핵심”이라며 “위기를 기회로 변화시킬 수 있는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의회 의결 즉시 추경 예산을 신속히 집행하겠다”고 말했다.

문의 : 다산콜센터 02-120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