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나이? 시민들 '70.2세' 답변…정년 연장엔 88% 동의
내 손안에 서울
발행일 2025.04.14. 16:54

시민 2명 중 1명 ‘70~74세’ 노인으로 생각
조사에 따르면 노인이라 생각하는 나이는 70.2세였으며, 2명 중 1명(51.7%)은 70~74세를 노인이라 답했다. 65세 이상 응답자는 노인 기준연령을 72.3세라고 답해 65세 미만 69.8세보다 2.5세 더 높았다.
고령화에 따른 정년연장 여부 질문에도 ‘동의’ 응답이 87.8%로 서울시민 10명 중 9명은 정년연장에 찬성했다.
노인 연령 기준에 대한 생각 조사결과
구분 | 평균노인 연령기준(세) |
60세 미만 | 60세~64세 | 65세~69세 | 70세~74세 | 75세 이상 |
---|---|---|---|---|---|---|
전체 | 70.2 | 0.3 | 6.6 | 18.1 | 51.7 | 23.3 |
65세 미만 | 69.8 | 0.3 | 7.7 | 20.0 | 52.0 | 20.0 |
65세 이상 | 72.3 | 0.1 | 1.4 | 9.2 | 50.2 | 39.1 |
‘1인가구’ 비율 39.3% 매년 증가…10가구 중 2가구 반려동물 키워

아울러 5가구 중 1가구에 이르는 19.5%가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었다. 77.8%가 개를, 19.2%는 고양이를 키웠고, 개와 고양이를 함께 키우는 가구도 2.6%였다.
특히 반려동물을 키우는 1인가구(6.44점)가 키우지 않는 가구(6.28점)보다 행복지수가 높고 ‘다른사람들로부터 고립되어 외로움’ 정도는 낮게(보유 4.31점, 미보유 4.45점) 나타났다.

통근·통학시 주로 버스 이용, 외국인은 지하철 이용 많아
반면 외국인 응답자는 ‘지하철’이 26.6%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버스+지하철’(21.8%), ‘버스’ (21.0%), ‘승용차’(10.6%), ‘도보’(8.3%) 였다.
아울러 가구 절반 정도(48.2%)가 통근·통학에 30분~1시간 미만이 소요된다고 답했으나 1시간 이상 걸린다는 답변도 12.8%에 달했다. 통근·통학 만족도는 6.57점으로 6년 연속 상승추세다.
교통수단별 만족도는 버스가 7.41점을 전년(7.03점) 대비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다음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은 지하철 7.17점이었다. 전체평균은 6.82점으로 전년 6.62점 대비 0.2점 상승했다.

또 서울시민들은 여가시간이 늘고(2023년 46.5%→ 2024년 52.7%), 점점 일과 여가가 균형(2023년 35.3%→ 2024년 37.8%)을 이루고 있다고 답했다. 여가생활 만족도는 20대가 6.06점으로 가장 높았다.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느꼈다는 응답률은 38.0%로 전년 42.2% 대비 4.2%p 감소했고, 주 3회 이상 체육활동(2023년 25.5%→ 2024년 28.5%)을 하며 전년보다 건강한 일상을 꾸려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민 68%는 ‘10년 후에도 서울 살고 싶다’…2년 연속 상승
10년 후에도 서울에 거주하고 싶다는 응답은 67.8%로 2년 연속 상승(2022년 60.6% → 2023년 63.4% → 2024년 67.8%)했고, 서울시민으로 자부심을 느낀다는 답은 100점 만점에 68.6점으로 전년(68.4점) 대비 소폭 상승했다. 서울 거주 의식과 자부심은 낮은 연령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인공지능(AI)과 로봇기술에 대한 질문에는 저연령층은 ‘생활을 편안하게 만들어줄 것’이라는 응답이 높았고, 고연령대는 ‘어렵고 위험한 작업에 필요하다’ 답했다. 반면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는 불안감도 비췄다.

외국인 2명 중 1명 서울 랜드마크는 ‘광화문광장’
아울러 외국인이 생각하는 서울 랜드마크로는 2명 중 1명(48.4%)이 ▴‘광화문(광장)’을 꼽았고 ▴‘고궁’(36.8%) ▴‘한강’(23.8%) ▴‘동대문(DDP)’(23.5%) ▴‘시청 앞 광장’(20.6%)이 뒤를 이었다.
서울의 이미지로는 ▴‘전통과 현대가 어울린 도시’가 7.2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미래지향적 도시’(7.17점) ▴‘다문화 포용 도시’와 ▴‘친환경적인 도시’(각 7.07점), ▴‘트렌디한 문화를 추구하는 도시’(6.98점) ▴‘국제도시’(6.96점) ▴‘관광 도시로서의 매력’(6.95점)에 점수를 부여했다.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어르신~ AI 동행버스가 갑니다! 헬스케어 등 디지털 체험
내 손안에 서울
-
무료로 즐기는 도보여행! '한강역사탐방' 16코스로 확대
내 손안에 서울
-
운전면허 반납한 어르신에 20만원 교통카드 지원
내 손안에 서울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