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각역에 숨은 명소를 찾아서! '태양의 정원'부터 저금통 전시까지
발행일 2025.03.06. 09:19
지하철 1호선 종각역에 꾸며진 태양의 정원 ©이진형
종각역 어디서 만날까?
1호선 지하철을 타고 종각역에서 내리면 가장 먼저 출구를 찾게 된다. 밖으로 나갈 생각에 역사 주변의 소소한 볼거리와 머물기 좋은 곳을 이용할 기회를 놓치기도 한다. 종각역 내부에 조성된 아주 근사한 태양의 정원은 겨울에는 한파나 꽃샘추위의 걱정을 덜고, 여름에는 강한 태양을 피해 방문하기 좋은 약속 장소로 손색없다.
겨울 한파에도 태양의 정원 실내 온도는 영상 10℃를 유지한다. ©이진형
사진은 극락조화(파초과)와 당종려로 다양한 식물을 볼 수 있다. ©이진형
익숙한 생김새, 이름은 뭘까?
태양의 정원에는 대형 쇼핑몰 휴게 공간이나 카페 내부를 장식하는 '플랜테리어'로 종종 볼 수 있었던 식물도 눈에 띈다. 넓은 잎을 가진 '극락조화'와 마치 야자수를 보는 듯한 느낌을 전하는 '당종려'를 알리는 이름표가 태양의 정원에 설치되어 있다. 내한성을 가진 장점도 있어 겨울에도 태양의 정원에서 보며 즐길 수 있는 고마운 식물이기도 하다.
동백꽃이 다소곳이 피어 있다. ©이진형
공간 조명 연출과 자연 조명의 장점을 정원에 담았다. ©이진형
이렇게 쾌적한 실내 환경을 자랑하는 이유는?
지하에 조성된 정원이지만 라이트 캐노피의 조명 연출이 한몫한다. 방문객에게는 심리적 안정을 전하고, 맑은 날에는 자연 그대로의 빛(태양광)이 내부로 실내로 유입되도록 설계하여 오늘의 날씨에 맞춰 연동되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8기의 태양광 집광판이 있어 실내로 태양광을 전송할 수 있다. ©이진형
날씨, 태양의 위치에 따라 태양광 집광판의 방향도 변경된다. ©이진형
쨍하고 해 뜰 날
약 200여 평 실내 공간에도 태양광이 전송될 수 있는 이유는 실외에 태양광 집광판이 설치되었기 때문이다. 맑은 날에는 태양을 추적하여 집광판 방향을 맞추면 빛을 모아 응축하여 태양의 정원에 전송할 수 있어 실내에도 자연의 생생한 빛이 전달된다.
실내 조명과 전송된 태양광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을 선보이는 태양의 정원 ©이진형
은행 본점으로 입장하는 통로에 마련한 '세계의 저금통' 전시장 ©이진형
일본 시중은행에서 제작한 캐릭터 저금통 ©이진형
다양한 옛날 저금통을 한 자리에 '세계의 저금통'
1,000원도 소중히 여긴다는 국민가게에서도 저금통을 살 수 있지만 통장을 만들며 받았던 저금통에 대한 추억은 살 수 없다. 지폐보다는 동전이 하나씩 쌓이면 목돈을 만들 수 있다는 희망을 전했던 옛날 저금통을 종각역에 도착하면 볼 수 있다. SC제일은행 본점과 연결되는 통로이자, ATM 코너 뒤에 조성된 '세계의 저금통' 전시장은 평일(은행 영업시간)에 관람 가능하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스누피 캐릭터가 인쇄된 저금통, 투명하여 동전을 모아둔 양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저금통, 원숭이나 쥐를 형상화한 저금통,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는 저금통 등 전 세계 다양한 저금통이 전시되어 있다. 전시물은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스누피 캐릭터가 인쇄된 저금통, 투명하여 동전을 모아둔 양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저금통, 원숭이나 쥐를 형상화한 저금통,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는 저금통 등 전 세계 다양한 저금통이 전시되어 있다. 전시물은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홍콩 시중 은행에서 제작한 산양 모양의 저금통 ©이진형
보신각은 서울의 대표적인 기념물 중 하나다. ©이진형
제야의 종 타종 행사가 생각나는 곳, 보신각
종각역 4번 출구를 통해 나오면 제야의 종 타종 행사가 생각나는 곳, 보신각이 바라다보인다. 대중교통을 이용한 서울 여행을 좋아한다면, 서울 지하철 반세기를 맞아 의미를 하나 찾고 싶다면 보신각은 꼭 방문해야 할 명소이기도 하다.
지하철 1호선 수준점이 보신각 공원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진형
전철의 높이와 깊이의 기준이 되는 원점을 찾아서
지하철의 기준이 되는 수준점을 정하는 것은 서울 지하철 건설의 시작을 의미한다. 수준점을 기준으로 선로의 깊이나 터널의 높이 등을 가늠하게 되는데 55년 전인 1970년 10월 30일에 수준점을 타정하여 약 한 달간 측량 작업을 진행했다.
도로 확장으로 수준점의 위치가 현 보신각 공원 내로 이전하여 보존하고 있다. 높이 20cm의 화강암으로 제작된 '1호선 수준점'은 서울특별시의 등록문화유산이기도 하다.
도로 확장으로 수준점의 위치가 현 보신각 공원 내로 이전하여 보존하고 있다. 높이 20cm의 화강암으로 제작된 '1호선 수준점'은 서울특별시의 등록문화유산이기도 하다.
1호선 종각역에 도착할 때는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면 좋다. ©이진형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