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의 흔적과 마주하는 레트로 명소들! 영등포 동네 한 바퀴~
발행일 2025.02.19. 11:00

접근성이 좋고 다양한 매력을 지닌 영등포역 일대 ©김수정
수도권 교통의 중심지인 영등포역은 1900년 운행을 시작하면서 그 일대는 산업의 중심지가 되었다. 1930년대에는 일본 굴지의 맥주·제분 회사들이 자리를 잡았고, 1940년대에는 금속·기계공업 공장들도 들어섰다. 지금 영등포역 일대는 높은 빌딩과 쇼핑몰이 자리하고 있지만 아직 공업화 초기의 산업 유산이 남아 있는 곳들도 있다. 우리나라의 근현대사를 느껴볼 수 있는 장소들을 하나하나 살펴봤다.

1933년에 제작해 1996년까지 맥주 제조용으로 사용됐다는 순동제 담금솥 ©김수정
영등포역에서 도보로 5분 정도 걸으면 영등포공원을 만나게 된다. 영등포 일대는 과거 최고의 수질로 평가받는 곳이었고 한국 최초의 맥주 공장이 위치해 있었다. 영등포공원은 원래 OB맥주 공장이 있던 자리였다. 공원의 중심에는 커다란 순동제 담금솥이 우뚝 서 있다. 1930년대 맥주 제조 과정에서 실제 사용하던 대형 솥으로 맥아와 홉을 끓이는 데 사용했다고 한다. 직경 7m, 높이 4.5m에 달하는 담금솥은 이곳의 랜드마크라 할 수 있다.

영등포공원 내에 있는 맥아더 사령관 한강방어선 시찰지 ©김수정
영등포공원 내에서 맥아더 사령관 한강방어선 시찰지도 만났다. 북한군 남침 직후 맥아더 사령관이 미군의 참전 결정에 앞서 한강방어선 전황을 확인하기 위해 시찰한 장소다. 현재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 시설이기도 하다.

영등포공원에서 맨발 걷기 하는 주민을 만났다. ©김수정
영등포공원 자체도 주민들의 운동과 휴식의 공간으로 사랑받고 있다. 서울시가 공원화 사업의 일환으로 부지를 매입해 1998년에 문을 연 곳이다. 광장, 물놀이장, 유아숲 체험장, 분수대, 풋살경기장, 게이트볼장, 배드민턴장, 농구장 등 다양한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많은 주민들이 추운 날씨에도 공원에 나와 여가 시간을 보내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영등포문화원에서는 난타 수업이 진행 중이다. ©김수정
영등포공원 끝자락에는 영등포문화원이 있다.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서자마자 엄청난 북소리에 깜짝 놀랐다. 강당에서는 난타 수업이 진행 중이었다. 영등포문화원은 지역의 향토 문화 자원을 보존 및 발굴하면서 주민들을 위한 문화 행사와 문화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100개 이상의 강좌가 구성되어 있을 정도로 주민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식물 및 정원과 관련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영등포구정원지원센터 ©김수정
영등포문화원 옆으로 영등포구정원지원센터가 나란히 있다. 반려 식물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는 추세에 따라 정원을 테마로 한 주민들의 건강한 여가 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조성된 복합 문화 공간이다. 반려 식물 치료 서비스와 함께 마을정원사 양성 프로그램, 원데이 클래스 등이 운영된다.

대한민국 맥주의 시초 기념물 ©김수정
영등포공원을 뒤로하고 영등포푸르지오 아파트로 향했다. 단지 내에 생뚱맞게 맥주통 모양 설치물이 세워져 있다. 2,000세대 이상의 아파트 단지인 이곳은 옛 맥주 공장의 터다. 국내 최초 맥주 회사인 화이트진로가 처음 시작된 곳이다. 113동과 110동 사이에는 대한민국 맥주의 시초를 기념하고 그 역사적인 의미와 유래를 알리기 위한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영등포의 근대 역사를 느낄 수 있는 철로육교 ©김수정
영등포푸르지오에서 문래동으로 건너가기 위해서는 철로육교를 지나가야 한다. 육교 위로 오르면 발 아래로 지하철과 기차가 오가는 것을 볼 수 있다. 한적한 시골 마을이었던 이곳은 경인선과 경부선의 분기점이 되면서 산업화의 중심지로 빠르게 발전했다.

서울 미래유산으로 지정된 영등포 쪽방촌 ©김수정
그러나 육교를 건너고 나면 유독 발전을 비켜간 듯한 골목을 만나게 된다. 영등포 쪽방촌이다. 공공주택지구가 들어설 예정인데 좁은 골목길에 낮은 슬레이트 지붕도 이제는 추억 속 장면으로 남겨질 것 같다.

문화를 생산하는 문화 공장, 프로보크서울 ©김수정
과거의 모습을 이용해 레트로 감성을 느낄 수 있는 복합 문화 공간도 조성 중이다. 바로 프로보크서울이다. 과거의 밀가루 공장이었던 대선제분의 모습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일제강점기 영등포 일대는 방직, 제분 등 다양한 공장이 입지해 있었고, 해방과 전쟁을 거치면서 먹거리를 책임지던 제방 산업은 호황을 맞았다. 그러나 많은 돈과 기술이 필요했던 제분 공장은 하나둘씩 문을 닫았고 대선제분만이 온전한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현재 리모델링 증축 공사가 진행 중인데, 영등포구를 넘어 서울시의 핫 플레이스가 되지 않을까 싶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모습까지 들여다볼 수 있는 영등포역 일대는 제2의 도약을 꿈꾸고 있다.
영등포역
○ 위치 : 서울시 영등포구 경인로 846
○ 문의 : 1544-7788
○ 문의 : 1544-7788
영등포공원
○ 위치 : 서울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신길로 275
○ 교통 : 지하철 1호선 영등포역 1번 출구에서 287m
○ 문의 : 02-2670-3717
○ 교통 : 지하철 1호선 영등포역 1번 출구에서 287m
○ 문의 : 02-2670-3717
영등포문화원
○ 위치 : 서울시 영등포구 신길로 275 영등포문화원
○ 교통 : 지하철 1호선 영등포역 1번 출구에서 393m
○ 운영시간 : 월~금요일 09:00~18:00, 토요일 09:00~15:00
○ 휴무 : 일요일, 법정공휴일
○ 누리집
○ 문의 : 02-846-0155
○ 교통 : 지하철 1호선 영등포역 1번 출구에서 393m
○ 운영시간 : 월~금요일 09:00~18:00, 토요일 09:00~15:00
○ 휴무 : 일요일, 법정공휴일
○ 누리집
○ 문의 : 02-846-0155
영등포구정원지원센터
○ 위치 : 서울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신길로 275 영등포문화원
○ 교통 : 지하철 1호선 영등포역 1번 출구에서 440m
○ 교통 : 지하철 1호선 영등포역 1번 출구에서 440m
프로보크서울
○ 위치 :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87
○ 교통 : 지하철 1호선 영등포역 6번 출구에서 422m
○ 운영시간 : 24시간 운영, 연중무휴
○ 인스타그램
○ 문의 : 02-2631-7011
○ 교통 : 지하철 1호선 영등포역 6번 출구에서 422m
○ 운영시간 : 24시간 운영, 연중무휴
○ 인스타그램
○ 문의 : 02-2631-7011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