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동역 앞, 컨테이너 예술기지로 '변신'

내 손안에 서울

발행일 2015.05.11. 15:52

수정일 2020.06.16. 13:40

조회 3,073

ⓒ노원구

서울시는 지난 2월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지 조성사업을 발표(창동·상계에 국내 첫 '아레나' 들어선다)했습니다. 총 97만㎡에 이르는 창동·상계 일대를 수도권 동북부 320만의 중심지이자 8만개 일자리를 창출하는 문화‧경제 허브로 조성한다는 내용이었는데요, 5월 이 사업의 마중물이자, 신호탄이 될 '드림박스' 건립을 추진하게 됐습니다.
큰 성장 잠재력을 지녔음에도 배드타운화 된 창동·상계 일대가 어떤 모습으로 재생될지 궁금하시다면 오늘 <내 손안에서 서울>과 함께 하세요!
※ 파란색 글자를 클릭하시면 관련 정보를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 창동역 주변에 문화·창업 공간 '드림박스' 건립
 - 창동환승주차장 일대에 컨테이너 박스 50여개로 창업지원 공간 및 전시·공연장 마련
 - 창동·상계 지역에 수용될 관련 문화산업 인적, 물적 인프라 차근차근 집약
 - 11일 설계착수, 11월 준공…KTX복합환승센터 개발 착수 전까지 운영

서울시가 KTX복합환승센터 유보지인 창동환승주차장 일대 2,790㎡ 시유지에 문화산업 관련 창업을 지원하고 전시, 공연 등의 프로그램이 펼쳐지는 50여개 컨테이너의 이색 '드림박스'(가칭)를 오는 11월까지 건립합니다.

드림박스는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하는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지 조성사업의 붐업프로젝트(Boom-up Project)이자 마중물 사업으로, 본격적인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지 조성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창동상계 신경제 중심지 도시재생 구상안

창동상계 신경제 중심지 도시재생 구상안

현재는 문화적인 측면에서 소외되어 있지만 앞으로 문화 허브로 기능할 것에 대비해 문화산업의 인적, 물적 인프라를 차근차근 집약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아울러 창동·상계 일대의 시작과 성장, 미래 모습을 한 눈에 보여주는 '도시재생전시관'도 드림박스 내부에 마련, 시민 관심을 제고하고 미래 비전을 공유합니다.

드림박스는 기존 환승주차장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2층 높이의 인공지반을 조성해 그 상부에 50여개의 컨테이너(1개당 길이12m, 폭2.4m, 높이2.9m)를 단층 또는 복층구조로 조합(2층 이하)합니다. 내부공간은 ▲창업지원 ▲문화예술 ▲커뮤니티 ▲라운지 4개 영역으로 구성할 예정입니다.

드림박스 기본구상(안)

드림박스 기본구상(안)

이와 관련해 업무대행을 맡은 SH공사가 4월 '현상설계공모'를 통해 설계자를 선정했으며, 11일(월) 설계용역을 착수합니다.

이후 8월 공사에 착수해 11월에 완공될 예정이며, 시는 시범가동을 거쳐 2016년 3월부터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지 조성사업의 전초기지로써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갑니다. 드림박스는 KTX복합환승센터 개발착수 전까지 5~6년 간 유지됩니다.

창동·상계지역은 80년대 도시화 과정에서 도심의 배후주거지로 일자리·문화 측면에서 소외받아온 지역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에 시는 마중물 성격의 '드림박스'를 우선 건립해 시민들의 문화예술 향유와 참여, 인큐베이팅과 협업, 도시재생 정책 등이 어우러질 뿐만 아니라, 개발 비전도 함께 공유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 관련 기사 몰아보기
 ☞ 드디어 이전되는 창동 차량기지
 ☞ 창동·상계에 국내 첫 '아레나' 들어선다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