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도서관 외벽 서울꿈새김판에 ‘해치야! 같이 책보자’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유지민
- 서울도서관의 문패와 함께 나무문이 출입문으로 있다. ©유지민
귀여운 해치가 빼꼼~ 퇴근 후 문화생활은 '서울도서관'에서!
발행일 2025.05.21. 13:00
서울도서관이 있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가보지는 못했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집에서 멀기도 하고 다녔던 대학교에서도 멀었기에 시청에 올 일이 아니면 서울도서관도 올 일이 없었다. 하지만 시청 근처에 직장을 다니게 되면서 퇴근 후 서울도서관을 자주 들르게 되었다. 평일 오후 9시까지 문이 열려 있다는 점도 한몫했다.
2012년에 개관한 서울도서관은 서울시의 공립 도서관이다. 건물은 옛 서울특별시청 건물을 개조하여 공영 도서관으로 재활용하고 있다.
한편, 서울도서관 하늘뜰 옥상 전망대에서는 5월 한 달간 공식 캐릭터 해치를 형상화한 대형 아트벌룬 ‘빼꼼해치’를 단독 전시한다. 마법 방울을 양손에 쥔 채 고개만 빼꼼 내밀고 익살맞은 표정을 하고 있어 ‘빼꼼해치’란 이름이 붙었다.
2012년에 개관한 서울도서관은 서울시의 공립 도서관이다. 건물은 옛 서울특별시청 건물을 개조하여 공영 도서관으로 재활용하고 있다.
한편, 서울도서관 하늘뜰 옥상 전망대에서는 5월 한 달간 공식 캐릭터 해치를 형상화한 대형 아트벌룬 ‘빼꼼해치’를 단독 전시한다. 마법 방울을 양손에 쥔 채 고개만 빼꼼 내밀고 익살맞은 표정을 하고 있어 ‘빼꼼해치’란 이름이 붙었다.

서울도서관에 들어서면 내부 공간에 큰 중앙 계단이 있다. ©유지민
건물 공간의 활용
건물의 중앙 계단을 두고 위로 올라가면 2층으로, 양옆의 작은 계단을 내려가면 1층으로 가게 설계되어 있는데 길 찾기가 쉬워서 좋았다. 층별로 도착하면 자료실들이 양옆에 바로 있기에 곳곳마다 찾지 않아도 되는 구조가 편하게 느껴졌다.
1층은 어떤 공간으로 마련되어 있을까?
1층은 누구나 이용하기 편리하게 되어 있다. 아이를 데리고 온 보호자가 이용하기 쉽게 따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또 장애인자료실의 경우 점자 도서, 수화 영상 도서 등의 도서 이용의 편의를 주는 다양한 도서와 독서 보조 기기가 마련되어 있다. 이외에도 일반자료실, 아동 자료 코너, 기획전시실 등이 자리하고 있다.

2층 일반자료실에서 내려다본 풍경으로 많은 사람들이 책을 읽고 있다. ©유지민

점자가 있는 무인 책 대출 반납 기계 ©유지민
일반자료실은 어떻게 되어 있을까?
2층에 자리하고 있는 일반자료실2는 1층의 일반자료실1과 계단으로 연결되어 있다. 계단에 앉아서도 책을 읽을 수 있다. 이곳에서 점자 무인 기계를 처음 봤는데 화면이 바뀔 때마다 점자가 바뀌는 걸 볼 수 있었다.
디지털자료실의 모습
디지털자료실은 말 그대로 디지털 매체를 볼 수 있는 공간인데 많은 사람들이 헤드폰을 쓰고 원하는 영상을 골라 시청 중이었다. 디지털과 관련된 편집, AI(인공지능), 코딩 등의 책이 준비되어 있었다.
그 외의 다양한 공간들
모든 공간이 오후 9시끼지 운영하는 게 아니다 보니 전부 들어가지는 못했지만 층마다 테마에 맞게 꾸며두어 볼거리는 많았다. 물론 밤 늦게까지 하는 도서관이 없기에 일반자료실만으로도 충분했지만 시간을 내 전부 둘러보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봤다. 만약 늦은 저녁 여가 생활이 필요하다면 서울도서관을 가보는 것도 좋은 취미가 될 듯하다.
서울도서관
○ 위치 :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10
○ 교통 : 지하철 1호선, 2호선 시청역 4번 출구에서 119m
○ 운영시간 : 화~금요일 09:00~21:00, 주말 09:00~18:00
○ 휴무 : 월요일
○ 도서대출 : 일반회원 7권, 장애회원 10권, 매주 수요일은 두배로 데이로 14권 대출 가능
○ 대출기간 : 일반회원 15일로 1회 7일 연장 가능, 장애회원 30일로 추가 연장 불가능
○ 누리집
○ 문의 : 02-2133-0300
○ 교통 : 지하철 1호선, 2호선 시청역 4번 출구에서 119m
○ 운영시간 : 화~금요일 09:00~21:00, 주말 09:00~18:00
○ 휴무 : 월요일
○ 도서대출 : 일반회원 7권, 장애회원 10권, 매주 수요일은 두배로 데이로 14권 대출 가능
○ 대출기간 : 일반회원 15일로 1회 7일 연장 가능, 장애회원 30일로 추가 연장 불가능
○ 누리집
○ 문의 : 02-2133-030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