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 첫 전통주 만들기 도전! '막걸리 빚기' 프로젝트, '동의보감 약술학교'

시민기자 박승식

발행일 2025.03.26. 09:19

수정일 2025.03.26. 19:32

조회 492

국가무형문화재 전승공동체 활성화 프로젝트 수행 기관으로 선정된 강서50플러스센터 ©박승식
국가무형문화재 전승공동체 활성화 프로젝트 수행 기관으로 선정된 강서50플러스센터 ©박승식
국가유산청은 ‘2025년 전승공동체 활성화 지원 사업’으로 국가무형유산이 된 ‘막걸리 빚기’, ‘우리 떡 만들기’ 등 총 13개 프로그램을 선정했다.

그중 강서50플러스센터는 2024년 국가무형문화재 전승공동체 활성화 프로젝트 수행 기관으로 선정돼 2021년 6월 15일 국가무형문화재 144호로 지정된 ‘막걸리 빚기’ 전승 프로젝트를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진행하게 됐다. 이에 강서50플러스센터는 다양한 막걸리 빚기 교육 프로그램(입문 과정, 심화 과정, 전문가 양성 과정)을 단계별로 다양하게 운영하며, ‘막걸리 빚기’ 전승 프로젝트 커뮤니티 활동도 지원하고 있다.
지난 3월 18일, 강서50플러스센터에서 커뮤니티 출품 주 심사가 진행됐다. ©박승식
지난 3월 18일, 강서50플러스센터에서 커뮤니티 출품 주 심사가 진행됐다. ©박승식
2025년 전승공동체 활성화 지원 사업에 선정된 ‘막걸리 빚기’ 문화재 전승 프로젝트는 전통주에 대한 관심과 지속적인 연구로 허준 선생의 <동의보감> 속 우리 술을 재현하고, 상표 등록 및 강서구 로컬 브랜드 창출을 위한 레시피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한 커뮤니티 출품 주(酒) 심사가 3월 18일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강서50플러스센터에서 진행됐다.

예선을 거쳐 총 6팀이 참여했는데, 최종적으로 선정된 3개 커뮤니티에게는 강서 동의보감 막걸리 레시피 개발비 지원, 브랜딩 지원 및 지역 축제 참여 부스 지원 등의 혜택이 주어져 경쟁이 치열했다.
  • 맛과 향 등을 심사하는 위원들 ©박승식
    맛과 향 등을 심사하는 위원들 ©박승식
  • 출품 주의 특성과 맛을 설명하는 지원자 ©박승식
    출품 주의 특성과 맛을 설명하는 지원자 ©박승식
  • 맛과 향 등을 심사하는 위원들 ©박승식
  • 출품 주의 특성과 맛을 설명하는 지원자 ©박승식
전문가 5명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 진행됐다. 1부는 블라인드 테스트, 2부는 각 팀들이 본인들이 제조한 술에 대한 프레젠테이션 및 질의응답을 10분 정도 진행했다. 심사 기준은 출품 주의 향, 맛, 대중성, 상품성 등을 합산하며, 여기에 출품 주의 특성과 맛을 설명하는 스토리텔링이 얼마나 잘 짜여 있는지로 평가했다.
  • 허준축제의 서막을 알리는 인트로 축제에서 시음 행사가 열렸다. ©박승식
    허준축제의 서막을 알리는 인트로 축제에서 시음 행사가 열렸다. ©박승식
  • 지난해 남산골 한옥마을에서 최종 선정된 팀들이 제조한 막걸리 시음 행사가 열렸다. ©박승식
    지난해 남산골 한옥마을에서 최종 선정된 팀들이 제조한 막걸리 시음 행사가 열렸다. ©박승식
  • 지난해 처음 출시한 강서막걸리 ©박승식
    지난해 처음 출시한 강서막걸리 ©박승식
  • 허준축제의 서막을 알리는 인트로 축제에서 시음 행사가 열렸다. ©박승식
  • 지난해 남산골 한옥마을에서 최종 선정된 팀들이 제조한 막걸리 시음 행사가 열렸다. ©박승식
  • 지난해 처음 출시한 강서막걸리 ©박승식
지난해에는 최종 선정된 팀들이 제조한 막걸리를 2024 허준 인트로 축제 및 남산골 한옥마을 시음 행사에 출품해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올 2025년에도 허준축제 등에 참여하고, 향후 지역 브랜딩을 통해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지난 3월 18일 ‘동의보감 약술학교’가 개강했다. ©박승식
지난 3월 18일 ‘동의보감 약술학교’가 개강했다. ©박승식
2025년 ‘동의보감 약술학교’도 같은 날인 2025년 3월 18일에 개강해 첫 수업을 마쳤다. 앞으로 12월까지 매월 2회(매월 셋째‧넷째 주 화요일)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5명의 조원으로 구성된 4팀, 총 20명이 참여한 본 과정은 허시명 막걸리학교 교장의 지도 하에 연간 총 20주 교육을 진행한다. 교육 내용은 누룩 만들기, 술 빚기, 다양한 재료(허브, 생지황, 숙지황 등)를 넣어 밑술 및 덧술 빚기, 소주 및 홍주 내리기, 양조장 현장 방문, 동의보감 술 학술 발표회 및 수료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2025년 국가무형문화재 전승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 예산 편성 지침에 따라 수강료는 무료이며 재료비는 수강생 실비 부담이다.
입문 과정인 내 생애 첫 막걸리 빚기 ©박승식
입문 과정인 내 생애 첫 막걸리 빚기 ©박승식
입문 과정인 내 생애 첫 막걸리 빚기는 2025년 4월 2일부터 4월 23일까지 4회에 걸쳐 20명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첫 수업이 시작되며, 2025년에는 4회가 계획돼 있다.
강서구 가양동에 위치한 허준박물관 ©박승식
강서구 가양동에 위치한 허준박물관 ©박승식
2024년에는 허준박물관과 함께하는 전승 프로젝트, 남산골 한옥마을에서 진행된 외국인과 함께하는 막걸리 빚기 등 다양한 교육과정과 행사를 통해 꾸준히 저변 확대를 해왔으며, 2025년에도 강서구의 관광 상품화를 통한 수익 모델 및 지역일자리 창출로 연계할 계획이다.
지난해 남산골 한옥마을에서 진행된 외국인과 함께하는 막걸리 빚기 ©박승식
지난해 남산골 한옥마을에서 진행된 외국인과 함께하는 막걸리 빚기 ©박승식
2025년 한 해도 우리 민족의 전통주인 막걸리와 허준 선생의 한약재가 어우러진 멋진 맛의 막걸리 탄생과 아울러,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고 즐기길 기대한다.

강서50플러스센터

○ 위치 : 서울시 강서구 강서로56가길 166 경동미르웰양천향교2차 203동, B1, 1층, 2층
○ 교통 : 지하철 9호선 양천향교역 6번 출구에서 283m
○ 운영시간 : 월~금요일 9:00~18:00
○ 휴무 : 토‧일요일
누리집
○ 문의 : 02-6295-5060

시민기자 박승식

일상에 즐거움과 힐링을 주는 소재를 찾아 나누는 기자가 되고 싶습니다.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