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선 배우기 힘든 감성프로그램!

서울톡톡

발행일 2013.02.22. 00:00

수정일 2013.02.22. 00:00

조회 3,118

겨울철새 떠나기 전, 마지막으로 탐조 프로그램에 참여할 기회

[서울톡톡] 서울시는 봄방학을 맞아 배움과 체험으로 추억되는 시간을 선물하고자, 6개 한강공원 7개 센터에서 '한강탐조투어(겨울철채 관찰)' 등 총 35개 생태프로그램을 개최한다.

이 기간은 1년에 단 3개월만 머물렀다 떠나는 겨울철새를 마지막으로 만날 수 있는 시간이기도 해,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특별한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난지한강공원 2개 센터서 '한강탐조투어' 등 9개 프로그램 운영

난지한강공원 한강야생탐사센터에서는 2월 24일(일) 오전9:30~오후5:00까지 봄방학 특집 '한강탐조투어'를 개최한다.

2011~2012 시즌에 이은 철새탐조투어 시즌2 프로그램으로서 한강 상류부터 하류까지 물길 따라 달라지는 한강의 겨울철새를 관찰하며 건강한 탐조방법을 알아볼 수 있는 기회로, 흰꼬리수리, 두루미, 큰고니 등 평소에 만나기 어려운 새들을 만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강탐조 골든벨' 등 재미를 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다리고 있다.

지하철 5호선 상일동역 2번 출구에서 집결해 방화역 4번 출구에서 해산할 예정이며, 20명 이하 접수시 취소될 수 있다.

이외에도 난지한강공원 수변센터에서는 얼음과 놀이하는 '육각수의 비밀', '정월대보름맞이 행복가득 청사초롱', 한강야생탐사센터에서는 '造(조)鳥(조) 공작소'와 같은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난지한강공원은 지하철 6호선 마포구청역 7번 출구, 월드컵경기장역 1번 출구를 이용하면 된다.

문의 : 한강야생탐사센터 02)305-1334

고덕수변생태복원지 '겨울철새 배웅하기' 등 5개 프로그램 운영

고덕수변생태복원지에서는 2월 23일(토) 오후2:00~4:00까지 봄방학 특별프로그램 '겨울철새 배웅하기'를 진행한다. 봄이 되면 떠나는 겨울철새에 대해 놀이와 전시물을 통해 알아보는 시간이다.

먼저 보드게임을 활용해 겨울철새 이동경로를 알아본 후, 전문가와 함께 한강을 따라 걸으며 망원경으로 겨울철새를 관찰하고, 자세한 설명도 들을 수 있다.

이후, 새 보호 캠페인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야생조류 등의 유리창 충돌을 예방하기 위해 아파트 등 인공 구조물에 설치할 수 있는 버드세이버(맹금류 형상의 스티커 등)를 직접 만들어 보며 새 보호 활동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다.

또한 멸종위기에 놓인 야생동물에 대해 알아보는 프로그램이 2월 27일(수) 14:00~15:30 단 한 차례 운영된다. 한강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는 야생동물을 강의와 놀이를 통해 알아보고, 우리가 할 수 있는 실천방법을 익힌다.

한강 상류지역인 고덕지구에 위치한 고덕수변생태복원지는 지하철 5호선 명일역 3번 출구에서 마을버스 2, 5번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광문고등학교 하차 후 강동구음식물재활용센터 방향 도보 15분)

문의 : 고덕수변생태복원지 02)426-0755

이외에도 여의도샛강생태공원에서는 봄방학 특별프로그램으로 2월 25일(월)~27일(수) 14:00~15:30에 '도전! 3일간의 짚풀공예' 시간을 마련해 볏짚을 이용한 공예품 만들기가 열리며, 2월 24일(일) 암사생태공원, 난지수변센터에서는 정월대보름 잔치에 참여할 수 있다.

모든 한강공원 생태프로그램은 예약제로 운영되고 있으므로 한강사업본부 홈페이지(http://hangang.seoul.go.kr)를 통해 예약 가능하다.

문의: 한강사업본부 녹지관리과 02)3780-0846

간편구독 신청하기   친구에게 구독 권유하기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