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패션, 성수로 총집합! 핫플에서 만난 3일간의 이색 팝업스토어

시민기자 백승훈

발행일 2025.02.25. 13:00

수정일 2025.02.25. 16:11

조회 1,484

지난 2월 21일부터 23일까지 성수동의 ‘소루에디트’에서 열린 ‘서울 사세요? 서울 살게요!’ 팝업스토어는 서울의 소공인들이 만든 다양한 패션 제품을 직접 만나볼 수 있는 특별한 기회였다.

서울시가 주관하고 6개 패션 분야 제조지원센터와 협력해 진행된 이 행사에서 총 31개 소공인 업체가 참여해 의류, 가방, 양말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였다. 공모와 심사 과정을 거쳐 까다롭게 선발된 업체들이 만들어낸 제품들의 품질은 대기업 유명 브랜드에 못지 않았고, 팝업스토어를 찾은 소비자들은 저렴한 가격의 고품질 제품을 만나는 행운에 즐거운 모습이었다. ☞ [관련 기사] '서울 사세요!' 3일간 팝업스토어…소공인 패션제품 판매

성수동의 트렌디한 분위기 속에서 열린 이번 팝업스토어는 초저가를 앞세운 중국 전자상거래의 공습 속에서 국내 소공인들의 우수한 기술력과 창의성을 알리는 데 중점을 둬서 의미 있었다. 방문객들은 현대적인 감각을 살린 청년 창업 브랜드의 의류부터 해진 청바지를 재활용한 친환경 제품까지 다양한 패션 아이템을 직접 체험할 수 있었다. 특히 패션에 대한 열정을 가진 소비자들에게는 젊은 디자이너들의 톡톡 튀는 아이디어를 경험하는 특별한 시간이었다.

각 제조지원센터의 특색이 잘 드러난 부스들이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금천패션제조지원센터의 디자이너 브랜드 의류는 트렌디한 디자인으로 젊은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고, 창신패션제조지원센터성북패션제조지원센터의 캐주얼 의류는 동대문시장의 생동감을 그대로 전달했다. 강북패션제조지원센터의 어린이 독서쿠션과 전통 매듭 키링은 독특한 패션 소품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도봉양말제조지원센터의 고급 양말과 강동가죽제조지원센터의 가죽 가방 및 케이스 지갑은 품질과 디자인 모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서울 사세요? 서울 살게요!’ 팝업스토어는 서울의 패션 소공인들이 한자리에 모여 서로의 기술과 창의성을 공유하고, 소비자들에게는 저렴한 가격의 고품질 제품을 제공하는 소중한 기회였다. 특히 디자이너와 소공인이 협업해 지속 가능한 판로를 구축하는 노력이 돋보였는데, 소공인의 브랜드 인지도 제고와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도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패션에 관심 있는 소비자들에게는 새로운 브랜드를 발견하는 기회가 되고, 소공인들에게는 자신들의 제품을 알릴 수 있는 이러한 행사가 지속적으로 열려, 서울의 패션 산업이 더욱 발전하길 기대해본다.
2월 21일부터 23일까지 성수동에서 ‘서울 사세요? 서울 살게요!’ 팝업스토어가 열렸다. ©백승훈
2월 21일부터 23일까지 성수동에서 ‘서울 사세요? 서울 살게요!’ 팝업스토어가 열렸다. ©백승훈
팝업스토어 입구에서 방문객들을 위한 굿즈 증정 이벤트가 열렸다. ©백승훈
팝업스토어 입구에서 방문객들을 위한 굿즈 증정 이벤트가 열렸다. ©백승훈
팝업스토어를 찾은 소비자들은 저렴한 가격의 고품질 제품을 만날 수 있었다. ©백승훈
팝업스토어를 찾은 소비자들은 저렴한 가격의 고품질 제품을 만날 수 있었다. ©백승훈
각 제조지원센터의 특색이 잘 드러난 부스들이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백승훈
각 제조지원센터의 특색이 잘 드러난 부스들이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백승훈
도봉양말제조지원센터의 고급 양말은 품질과 디자인 모두 높은 평가를 받았다. ©백승훈
도봉양말제조지원센터의 고급 양말은 품질과 디자인 모두 높은 평가를 받았다. ©백승훈
도봉양말제조지원센터에서 제조한 다양한 색상의 고품질 양말들이 인기를 끌었다. ©백승훈
도봉양말제조지원센터에서 제조한 다양한 색상의 고품질 양말들이 인기를 끌었다. ©백승훈
금천패션제조지원센터의 디자이너 브랜드 의류는 트렌디한 디자인으로 젊은 소비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았다. ©백승훈
금천패션제조지원센터의 디자이너 브랜드 의류는 트렌디한 디자인으로 젊은 소비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았다. ©백승훈
관람객들은 다양한 제품들을 둘러보며 저렴한 가격에 물건들을 구입하는 행운을 누렸다. ©백승훈
관람객들은 다양한 제품들을 둘러보며 저렴한 가격에 물건들을 구입하는 행운을 누렸다. ©백승훈
패션에 관심 있는 소비자들에게는 새로운 브랜드를 발견하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백승훈
패션에 관심 있는 소비자들에게는 새로운 브랜드를 발견하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백승훈
강북패션제조지원센터의 어린이 독서쿠션과 전통 매듭 키링은 독특한 패션 소품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백승훈
강북패션제조지원센터의 어린이 독서쿠션과 전통 매듭 키링은 독특한 패션 소품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백승훈
창신·성북패션제조지원센터의 캐주얼 의류는 동대문시장의 생동감을 그대로 전달한다. ©백승훈
창신·성북패션제조지원센터의 캐주얼 의류는 동대문시장의 생동감을 그대로 전달한다. ©백승훈
팝업스토어 방문객들은 재활용한 친환경 패션 아이템도 직접 체험할 수 있었다. ©백승훈
팝업스토어 방문객들은 재활용한 친환경 패션 아이템도 직접 체험할 수 있었다. ©백승훈
강북패션제조지원센터의 어린이 독서 쿠션을 둘러보는 소비자의 모습 ©백승훈
강북패션제조지원센터의 어린이 독서 쿠션을 둘러보는 소비자의 모습 ©백승훈
팝업스토어를 찾은 방문객 중에는 가족 단위의 시민들도 눈에 띄었다. ©백승훈
팝업스토어를 찾은 방문객 중에는 가족 단위의 시민들도 눈에 띄었다. ©백승훈
국내 소공인들의 우수한 기술력과 창의성을 알리는 데 중점을 둬서 의미 있었다. ©백승훈
국내 소공인들의 우수한 기술력과 창의성을 알리는 데 중점을 둬서 의미 있었다. ©백승훈
젊은 디자이너들의 톡톡 튀는 아이디어를 경험하는 특별한 시간이었다. ©백승훈
젊은 디자이너들의 톡톡 튀는 아이디어를 경험하는 특별한 시간이었다. ©백승훈
현대적인 감각을 살린 청년 창업 브랜드의 의류부터 해진 청바지를 재활용한 친환경 제품까지 다양한 패션 아이템이 가득했다. ©백승훈
현대적인 감각을 살린 청년 창업 브랜드의 의류부터 해진 청바지를 재활용한 친환경 제품까지 다양한 패션 아이템이 가득했다. ©백승훈
공모와 심사 과정을 거쳐  까다롭게 선발된 업체들이 만들어낸 제품들의 품질은 대기업 유명 브랜드에 못지 않았다. ©백승훈
공모와 심사 과정을 거쳐 까다롭게 선발된 업체들이 만들어낸 제품들의 품질은 대기업 유명 브랜드에 못지 않았다. ©백승훈
강동가죽제조지원센터의 가죽을 활용한 가방, 케이스지갑 제품은 특히 여성 소비자들의 큰 호응을 이끌어냈다. ©백승훈
강동가죽제조지원센터의 가죽을 활용한 가방, 케이스지갑 제품은 특히 여성 소비자들의 큰 호응을 이끌어냈다. ©백승훈
서울의 패션 소공인들이 한자리에 모여 서로의 기술과 창의성을 공유하고, 소비자들에게는  저렴한 가격의 고품질 제품을 제공하는 소중한 기회였다. ©백승훈
서울의 패션 소공인들이 한자리에 모여 서로의 기술과 창의성을 공유하고, 소비자들에게는 저렴한 가격의 고품질 제품을 제공하는 소중한 기회였다. ©백승훈

‘서울 사세요? 서울 살게요!’ 팝업스토어

○ 일시 : 2025. 2. 21. ~ 2. 23. 10:00 ~ 20:00 
○ 장소 : 성동구 연무장길 15, 1층 소루에디트(Solew edit)
○ 참여업체 : 양말·패션·가죽제조 업체 31개사
○ 주요내용 : 서울시 제조 소공인 기업 제품 전시‧판매 및 굿즈 증정 이벤트 행사 등
○ 문의 : 서울시도봉양말제조지원센터(행사주관) 02-997-6552

팝업스토어 참여 센터 누리집

○ 도봉(양말) : 서울시 도봉양말제조지원센터
○ 금천(의류, 잡화) : 서울시 금천패션제조지원센터
○ 종로(의류, 잡화) : 서울시 창신패션제조지원센터
○ 강북(의류, 잡화) : 서울시 강북패션제조지원센터
○ 성북(의류, 잡화) : 서울시 성북패션제조지원센터
○ 강동(가죽) : 서울시 강동가죽제조지원센터

시민기자 백승훈

환경 문제와 지역 사회의 문화 행사에 관심을 가지고 서울시의 목소리를 담아내겠습니다.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