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만의 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놓치지 마세요 '서울윈터페스타'

시민기자 박우영

발행일 2025.01.02. 10:40

수정일 2025.01.02. 18:00

조회 566

※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29일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희생자와 유족을 애도하며, 국가애도기간(1.4. 24시까지) 중 준비했던 ‘서울윈터페스타’ 행사를 축소 조정해 진행하오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추운 날씨가 이어지고 있지만 가만히 집에서 잔뜩 웅크리고 있을 수만은 없다. 이 시즌에만 만날 수 있는 서울 최고의 겨울 축제 ‘2024 서울윈터페스타’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 [관련 기사] 축제가 시작됐다! '서울윈터페스타' 즐길 거리 한 장으로 요약

‘서울에서 펼쳐지는 마음의 빛, 소울 프리즘(SOUL PRISM)’이란 주제로 열리는 올해 서울윈터페스타는 지난해 12월 13일부터 1월 5일까지 광화문광장부터 시작해 청계천, 서울광장 등에서 펼쳐지고 있다. 서울윈터페스타가 열리고 있는 광화문 일대 축제의 현장을 직접 다녀왔다.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 9번 출구로 나오면 바로 보이는 광화문광장에서는 ‘2024 광화문 마켓’이 펼쳐지고 있다. 소상공인들의 크리스마스 마켓으로 작년에도 많은 방문객들의 호응을 얻었던 ‘광화문 마켓’은 올해 더욱 화려해지고 풍성해졌다. ‘산타마을’을 콘셉트로 꾸며진 올해 행사는 크게 3구역으로 나뉜다.

가장 먼저 산타마을 입장을 환영하는 화려한 게이트와 초대형 크리스마스트리, 시즌 소품과 수공예품 판매 부스로 꾸며진 제1구역 산타마을, 추운 겨울 야외에서 먹을 수 있는 시즌 먹거리 부스가 모여 있는 제2구역 산타마을 맛집거리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양한 체험 부스와 화려한 크리스마스 포토존으로 꾸며진 산타마을 놀이광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눈 덮인 빨간색 지붕이 인상적인 작은 부스들과 화려한 조명들이 더해진 ‘광화문 마켓’ 거리를 걷다 보니, 마치 산타마을에 와 있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아름다운 대형 트리뿐 아니라 거리 자체를 배경으로 사진을 찍는 시민들도 눈에 많이 띄었다.

‘광화문 마켓’에서 다양한 볼거리와 먹거리를 즐겼다면 그다음으로 화려한 초대형 미디어 파사드 쇼가 펼쳐지고 있는 광화문 월대도 잊지 말고 방문해 보자. 지난해 처음으로 100년 만에 복원된 광화문 월대부터 광화문광장 사이 800m 구간에서 펼쳐졌던 미디어 파사드 쇼 ‘서울라이트 광화문’이 올해 더욱 업그레이드되어 돌아왔기 때문이다.

올해 ‘서울라이트 광화문’의 주제는 ‘루미너스 액시스(Luminous Axis)’로 임태규(한국), 다비드 하르토노(이탈리아), 다비드 위고노(프랑스), 하비에르 카날 산체스(스페인) 등 총 4명의 미디어 아티스트의 화려한 미디어아트 작품들이 광화문을 배경으로 펼쳐진다.

미디어 파사드 쇼는 축제 기간 동안 매일 저녁 6시부터 9시까지 감상할 수 있는데, 매 정시 시그니처 영상과 4명 작가들의 작품들이 연이어 상영된다.

겨울밤의 낭만을 느낄 수 있었던 ‘2024 서울윈터페스타’. 추운 겨울 날씨지만, 1년에 딱 한 번 지금 시즌에만 즐길 수 있는 도심 속 겨울 축제, 올해도 놓치지 말자! 서울윈터페스타를 즐기다 보면 어느새 매서운 추위까지 잊혀질 것 같다.
‘2024 서울윈터페스타’가 열리고 있는 광화문광장 ©박우영
‘2024 서울윈터페스타’가 열리고 있는 광화문광장 ©박우영
‘광화문 마켓’으로 들어가는 게이트가 보인다. ©박우영
‘광화문 마켓’으로 들어가는 게이트가 보인다. ©박우영
‘광화문 마켓’에 마련된 ‘산타마을’ ©박우영
‘광화문 마켓’에 마련된 ‘산타마을’ ©박우영
이곳에선 크리스마스 시즌 소품들과 수공예품들을 판매하는 부스들이 모여 있다. ©박우영
이곳에선 크리스마스 시즌 소품들과 수공예품들을 판매하는 부스들이 모여 있다. ©박우영
‘광화문 마켓’ 중심에 설치된 15m 크기의 대형 트리가 화려하게 빛나고 있다. ©박우영
‘광화문 마켓’ 중심에 설치된 15m 크기의 대형 트리가 화려하게 빛나고 있다. ©박우영
크리스마스 분위기로 꾸며진 포토존에서 사진을 찍는 시민들의 표정이 밝다. ©박우영
크리스마스 분위기로 꾸며진 포토존에서 사진을 찍는 시민들의 표정이 밝다. ©박우영
대형 트리와 화려한 조명이 더해져 '산타마을'을 걷는 듯한 느낌이 든다.  ©박우영
대형 트리와 화려한 조명이 더해져 '산타마을'을 걷는 듯한 느낌이 든다. ©박우영
'산타마을 놀이광장'에도 다양한 포토존과 체험존들이 마련되어 있다. ©박우영
'산타마을 놀이광장'에도 다양한 포토존과 체험존들이 마련되어 있다. ©박우영
'산타마을 놀이광장'에 설치된 크리스마스트리가 밝게 빛나고 있다. ©박우영
'산타마을 놀이광장'에 설치된 크리스마스트리가 밝게 빛나고 있다. ©박우영
산타 할아버지 등 다양한 빛 조형물들을 볼 수 있다. ©박우영
산타 할아버지 등 다양한 빛 조형물들을 볼 수 있다. ©박우영
루돌프가 끄는 썰매 모형의 포토존도 인기가 높았다. ©박우영
루돌프가 끄는 썰매 모형의 포토존도 인기가 높았다. ©박우영
'나만의 새해 카드 만들기' 등 체험 가능한 이벤트들도 마련되어 있다. ©박우영
'나만의 새해 카드 만들기' 등 체험 가능한 이벤트들도 마련되어 있다. ©박우영
영화 <라이온킹> 포토존도 방문객들에게 인기가 많은 곳이다. ©박우영
영화 <라이온킹> 포토존도 방문객들에게 인기가 많은 곳이다. ©박우영
서울 대표 캐릭터인 해치와 소울프렌즈를 배경으로 한 포토존 ©박우영
서울 대표 캐릭터인 해치와 소울프렌즈를 배경으로 한 포토존 ©박우영
광화문광장에서는 '빛의 축' 조형물도 전시되고 있다. ©박우영
광화문광장에서는 '빛의 축' 조형물도 전시되고 있다. ©박우영
엥시오(Engsio) 작가의 작품 'Emit your light' ©박우영
엥시오(Engsio) 작가의 작품 'Emit your light' ©박우영
현대사회에서의 인간관계를 기하학적 형태로 표현한 작품 <관계> ©박우영
현대사회에서의 인간관계를 기하학적 형태로 표현한 작품 <관계> ©박우영
배우 하정우 작가의 <무제>는 LED 스트립을 활용한 디지털 설치작품이다. ©박우영
배우 하정우 작가의 <무제>는 LED 스트립을 활용한 디지털 설치작품이다. ©박우영
광화문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는 문을 표현한 설치미술 작품 '시문(時門)' ©박우영
광화문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는 문을 표현한 설치미술 작품 '시문(時門)' ©박우영
광화문 전체를 배경으로 활용해 펼쳐지는 미디어아트 쇼 ‘서울라이트 광화문’ ©박우영
광화문 전체를 배경으로 활용해 펼쳐지는 미디어아트 쇼 ‘서울라이트 광화문’ ©박우영
다비드 하르토노 작가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삼태극 문양을 활용한 미디어 영상을 선보였다. ©박우영
다비드 하르토노 작가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삼태극 문양을 활용한 미디어 영상을 선보였다. ©박우영
프랑스 작가 다비드 위고노는 서울의 모습과 파리의 모습을 크로스오버 형식으로 담아냈다. ©박우영
프랑스 작가 다비드 위고노는 서울의 모습과 파리의 모습을 크로스오버 형식으로 담아냈다. ©박우영
  • 임태규 작가의 작품 'erehwon' ©박우영
    임태규 작가의 작품 'erehwon' ©박우영
  • 'erehwon'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을 뜻하는 ‘nowhere’를 거꾸로 쓴 표현이다. ©박우영
    'erehwon'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을 뜻하는 ‘nowhere’를 거꾸로 쓴 표현이다. ©박우영
  • 동양미술의 전통 기법을 기반으로 현대적 감성이 더해져 특히 인상적이었던 작품이다. ©박우영
    동양미술의 전통 기법을 기반으로 현대적 감성이 더해져 특히 인상적이었던 작품이다. ©박우영
  • 회화 작품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아날로그적 회화 느낌이 더욱 강하게 든다. ©박우영
    회화 작품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아날로그적 회화 느낌이 더욱 강하게 든다. ©박우영
  • 임태규 작가의 작품 'erehwon' ©박우영
  • 'erehwon'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을 뜻하는 ‘nowhere’를 거꾸로 쓴 표현이다. ©박우영
  • 동양미술의 전통 기법을 기반으로 현대적 감성이 더해져 특히 인상적이었던 작품이다. ©박우영
  • 회화 작품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아날로그적 회화 느낌이 더욱 강하게 든다. ©박우영
추운 날씨임에도 초대형 미디어 파사드 쇼를 구경하는 시민들이 많았다. ©박우영
추운 날씨임에도 초대형 미디어 파사드 쇼를 구경하는 시민들이 많았다. ©박우영
더욱 화려하게 돌아온 미디어아트 축제, '2024 서울라이트 광화문' ©박우영
더욱 화려하게 돌아온 미디어아트 축제, '2024 서울라이트 광화문' ©박우영

광화문 마켓

○ 기간 : 2024. 12. 13 ~ 2025. 1. 5
○ 장소 : 서울시 종로구 세종대로 175 (세종로) 광화문광장
인스타그램
○ 문의 : 서울관광재단 02-3788-8168

2024 서울라이트 광화문

○ 기간 : 2024. 12. 13 ~ 2025. 1. 5
○ 장소 : 서울시 종로구 효자로 12 광화문 일대
○ 운영시간 : 평일 및 주말 18:00~22:00, 스페셜 프로그램(연말, 크리스마스) 18:00~24:00
누리집
○ 문의 : 02-2133-1936

시민기자 박우영

서울 곳곳에 숨어있는 다양한 소식들을 사진에 담아 전해드리겠습니다.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