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치된 전동킥보드, QR코드로 간단하게 신고하세요!

시민기자 조수연

발행일 2021.07.30. 10:23

수정일 2021.07.30. 10:50

조회 14,866

서울시, 지난 15일부터 전동킥보드 견인 시작…6개 자치구 시범 운행 중

버스정류장과 지하철역으로는 도보 15분~20분 정도 걸린다면, 걷기에는 조금 부담스럽다. 그렇다고, 택시를 타면 돈이 아깝다. 기본요금으로 갈 거리이기 때문이다. 지역과 지역 사이의 거리가 지하철역 기준으로 2 정거장 이내일 때, 버스와 지하철을 타기에 무언가 어색하다.

대중교통과 집 사이의 간격. 이 틈새를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가 메꾸고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는 전동킥보드로 대표되는 1인용 이동 수단으로 도로교통법에서는 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 배기량 50cc 미만 초소형 전기자동차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일상생활에 자주 보이는 전동킥보드 ⓒ조수연
일상생활에 자주 보이는 전동킥보드 ⓒ조수연

특히 전동킥보드는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널리 보급됐다. 자전거보다 빠른 시속 20km/h의 속도로 달리고, 비교적 가격도 저렴해서 전동킥보드를 직접 구매하거나 공유 전동킥보드 업체가 비치한 전동킥보드를 탑승한다. 즉, 버스와 지하철 사이의 대중교통 간격을 전동킥보드가 대신하는 셈이다.

최근 필자도 운전면허를 취득해 전동킥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전동킥보드는 원동기 이상 면허가 있어야 탑승할 수 있다), 전동킥보드를 몇 번 이용했다. 처음에는 위험해 보였지만, 직접 탑승하고 나니 친구들이 “편하다”라고 하는 이유를 알 수 있었다. 특히 무더운 여름, 버스를 기다리는 대신 전동킥보드를 사용하니 편리했다. 1km 남짓한 거리를 전동킥보드는 3분 이내로 달렸다.
전동킥보드는 대중교통과 대중교통의 틈새를 이어주어 편리하다
전동킥보드는 대중교통과 대중교통의 틈새를 이어주어 편리하다 ⓒ조수연

이렇듯 전동킥보드의 편리성과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전동킥보드 공유 업체는 우후죽순 늘어났다. 2021년 6월 기준으로 서울시에는 14개의 전동킥보드 공유 업체가 있는데, 이들이 보유한 전동킥보드는 무려 55,499대에 달한다. 따라서 집 근처에서 손쉽게 전동킥보드를 볼 수 있다. 

이로 인한 피해도 날로 증가하고 있다. 전동킥보드가 보행로를 침범해 달리면서 발생하는 전동킥보드와 보행자간 직접적인 사고와 함께 ‘간접적인 사고’의 빈도도 높아지고 있다. 바로 무분별하게 주차된 전동킥보드에 걸려 넘어지는 사례 등이다.

이에 서초구와 송파구 등에서는 전동킥보드 주차공간을 지정하는 등 전동킥보드와 도보를 이용하는 보행자의 이동 동선을 최대한 떨어트리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대여와 반납을 QR코드 한 번에 가능한 전동킥보드 공유 업체의 사용 방법으로 아무 장소에나 반납할 수 있어 역부족이다.
전동킥보드 전용 주차구역 등을 지정했지만, 역부족이다.
전동킥보드 전용 주차구역 등을 지정했지만, 역부족이다 ⓒ조수연

이에 서울시는 지난 15일부터 전국 최초로 도로 혹은 보도에 불법으로 놓여있는 공유 전동킥보드 견인을 시작했다. 다만, 1일부터 14일까지 2주 동안 시범운영을 실시했는데, 견인만 이뤄졌을 뿐 과태료와 비슷한 견인료 부과는 이뤄지지 않았다. 지난 15일부터 성동구와 송파구, 도봉구, 마포구, 영등포구, 동작구 등 6개 지자체에서 진행됐다. 8월에는 서대문구도 시행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공유 전동킥보드 단속을 즉시 견인과 3시간 유예 시간 후 견인하는 투-트랙 방법을 사용했다. 먼저 즉시 견인은 보행환경에 위협이 되는 구역이다. 자동차와의 충돌 가능성이 높은 차도와 지하철역 출구, 버스 정류소, 점자블록 위, 횡단보도 등이다. 해당 지역에서는 전동킥보드가 즉시 견인된다.

3시간의 유예 시간을 주는 지역은 그 외 일반보도다. 일반보도에서는 공유 전동킥보드가 또 다른 이동 수단인 점을 고려, 민원 발생 시 3시간 이내에 수거하도록 조치한다. 하지만 수거가 이뤄지지 않을 시 견인하며, 견인료가 부과된다. 견인료는 견인료 4만 원과 함께 30분당 700원의 보관료가 책정됐다.
서울시 전동킥보드 주정차 위반 신고 홈페이지
서울시 전동킥보드 주정차 위반 신고 홈페이지 ⓒ서울시

그렇다면 신고는 어떻게 할까. 서울시는 신고 홈페이지(www.seoul-pm.com)를 운영하고 있다. 공유 전동킥보드의 QR코드를 인식하면 자동으로 전동킥보드의 업체와 정보 등이 인식돼 쉽게 신고할 수 있다. 해당 URL 대신 포털사이트에서 전동킥보드 신고시스템을 입력해도 위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다. 접속과 신고방법 모두 간편하다.

실제 영등포구에서 신고를 진행해보았다. 영등포역과 신세계백화점, 타임스퀘어가 인근에 있고 버스정류장에서 5m 정도 떨어진 곳에 공유 전동킥보드가 방치돼 있었다. 퇴근 시간대라 버스정류장에 사람이 많았는데, 전동킥보드에 걸려 넘어질 위험이 있었다.

직접 신고했다. 해당 URL에 접속해 대여용 QR코드 스티커를 촬영하니 해당 전동킥보드 업체와 일련번호, 위치 등이 자동으로 입력됐다. 공유 전동킥보드가 보이도록 사진 한 장을 촬영하고, 신고내용과 휴대전화 뒷자리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신고됐다. 실제로 해보니 신고절차가 무척 편리했다.
실제 필자가 공유 전동킥보드 주정차 위반을 신고한 화면 ⓒ조수연
실제 필자가 공유 전동킥보드 주정차 위반을 신고한 화면 ⓒ조수연

대부분의 서울시민들은 이번 조치 시행에 환영하고 있다. 방치된 공유 전동킥보드로 인한 보행사고가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로교통법에서도 늘 보행자, ‘사람이 먼저’인 것처럼, 전동킥보드 조치를 통해 안전한 공유 전동킥보드 문화가 정착되고, 전동킥보드로 인한 보행사고가 줄어들기를 희망한다.

시민기자 조수연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자랐고, 서울에서 생활하고 있습니다.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내가 놓친 서울 소식이 있다면? - 뉴스레터 지난호 보러가기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