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도 배우고, 골목놀이도 즐겨요! 돈의문박물관마을
발행일 2021.06.02. 10:00

신문로 높은 빌딩들 사이에 돈의문박물관마을이 숨어 있다. ⓒ이현우
도심 한가운데 자리 잡은 돈의문박물관마을
신문로 높은 빌딩 숲 사이에 돈의문박물관마을이 있다. 전통 가옥인 한옥이 도심 한가운데 있다는 사실에 감회가 새롭다. 사실 건너편 빌딩에 들를 일이 있어서 방문했다가 우연히 돈의문박물관마을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골목 안쪽에 위치해 있어 길을 걷거나 버스나 승용차로 이동 중에는 돈의문박물관마을의 존재를 인지하기 쉽지는 않을 것 같다.

송월당 빵집. 쿠킹클래스가 가능하지만 빵을 구매할 수 있는 공간은 아니다 ⓒ이현우
사진 촬영이 가능한 서대문사진관
서대문사진관은 근대 사교장과 1980년대 결혼식장 콘셉트로 조성된 예스러운 사진관이다. 서대문 사진관은 전시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다. 실제 사진가가 상주하고 있기 때문에 촬영이 가능하다. 사진 촬영에는 별도 비용을 지불해야 하며 내부에 진열된 사진들은 초상권 때문에 함부로 촬영해서는 안 된다.

추억을 가득 품은 서대문사진관 ⓒ이현우

사진 촬영이 가능한 서대문사진관 ⓒ이현우
이용원(이발소)으로 떠나는 추억여행
서대문사진관 옆쪽으로 삼거리이용원이 있다. 필자의 아버지가 이발소를 운영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관심이 생겨 안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요즘은 미용실과 헤어숍에 자리를 뺏겼지만 이발소만 있던 시절이 있었다. 그 시절의 이발소를 잘 재현해내었다. 이발소 전용 의자와 거울, 세면대가 눈길을 사로잡았다. 가족들이 함께 박물관을 둘러보게 된다면 아빠들이 다녔던 이발소 이야기를 아들에게 자연스럽게 꺼내며 이야기해 줄 수도 있을 것 같다.

이발소 전용 의자와 거울, 세면대가 눈길을 사로잡는 삼거리이용원 ⓒ이현우
전통놀이를 즐길 수 있는 박물관마을
아해로 골목놀이에 가면 전통놀이를 구경하고 직접 체험해볼 수 있다. 필자가 어렸을 때만 하더라도 동네에서 친구들과 다양한 전통놀이를 하며 놀았다. 사방치기, 고무줄놀이, 얼음땡 등 외에도 여러 놀이들의 방식과 규칙들을 만들어가며 몸을 사용하여 놀았다. 컴퓨터게임과 스포츠 활동이 대중화되면서 전통놀이가 많이 사라지긴 했지만 요즘 아이들에게도 여전히 인기가 많은 것 같아 보였다. 전통놀이는 아해로 골목놀이에서뿐만 아니라 돈의문박물관마을 안내소 앞에서도 즐길 수 있다.

전통놀이 소개 ⓒ이현우

마을 안내소에서 전통놀이를 하는 가족들 ⓒ이현우

골목놀이 나무공깃돌 ⓒ이현우
사라진 돈의문의 흔적을 찾아...
한양의 사대문은 흥인지문(동), 돈의문(서), 숭례문(남), 숙정문(북)였다. 현재 흥인지문, 숭례문, 숙정문은 그대로 보존되어 언제든지 볼 수 있지만 돈의문은 그렇지 않다. 돈의문 역사관에 가면 돈의문이 없다. 돈의문 역사관에서는 지금은 사라진 돈의문의 역사와 돈의문이 자리 잡았던 터의 역사들을 볼 수 있다. 돈의문이 있었던 조선시대부터 1899년 전차가 운행되던 시절, 그리고 과외가 성행하던 1960-1980년대까지 돈의문의 모습을 밀도 있게 관찰할 수 있다.
돈의문박물관마을에서 구경도하고, 전통놀이도 즐기고, 돈의문도 찾다 보니 시간이 훌쩍 흘렀다. 아이들과 함께 방문하거나, 부모님을 모시고 와도 좋을듯하다. 추억이 살아 숨 쉬는 곳에서 보내는 하루가 남다르다.
돈의문박물관마을에서 구경도하고, 전통놀이도 즐기고, 돈의문도 찾다 보니 시간이 훌쩍 흘렀다. 아이들과 함께 방문하거나, 부모님을 모시고 와도 좋을듯하다. 추억이 살아 숨 쉬는 곳에서 보내는 하루가 남다르다.

출토된 화장실 유구를 바닥에 그대로 보존하고 전시해두었다 ⓒ 이현우

돈의문 일대 교남동의 모습을 재현한 모형 ⓒ이현우

돈의문박물관마을 시설 안내 ⓒ이현우
■ 돈의문박물관마을
○ 위치 : 서울 종로구 신문로2가 7-24
○ 운영시간 : 매일 10:00 ~ 18:00
○ 휴무일 : 매주 월요일
○ 입장료 : 무료
○ 홈페이지 : http://dmvillage.info/
○ 문의 : 02-739-6994
※ 2021년 4월 기준 코로나로 운영하지 않는 관들이 있다. 스탬프 투어를 마치면 소소한 상품을 주기도 한다. 탐방 전 마을 안내소에 방문하여 안내를 받고 돌아볼 것을 권한다. 도슨트 투어도 진행하고 있다. 이 외 박물관 관련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기 바란다.
○ 운영시간 : 매일 10:00 ~ 18:00
○ 휴무일 : 매주 월요일
○ 입장료 : 무료
○ 홈페이지 : http://dmvillage.info/
○ 문의 : 02-739-6994
※ 2021년 4월 기준 코로나로 운영하지 않는 관들이 있다. 스탬프 투어를 마치면 소소한 상품을 주기도 한다. 탐방 전 마을 안내소에 방문하여 안내를 받고 돌아볼 것을 권한다. 도슨트 투어도 진행하고 있다. 이 외 박물관 관련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기 바란다.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