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휴대폰으로 불우학생 돕는다?

한국아이닷컴

발행일 2012.04.02. 00:00

수정일 2012.04.02. 00:00

조회 1,750

서울시가 각종 생활밀착형 자원 재활용 정책을 내놓았습니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버려지는 폐식용류를 모아 바이오디젤 원료로 사용하고 내집 안방에서 잠자고 있는 폐휴대폰을 수거해 그 수익금으로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돕고 있습니다.

현재 서울시에서 1년동안 발생하는 폐식용유는 약 10만톤으로 수질오염의 주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과 소규모 음식점에 폐식용유 수거용기를 보급하고 각 관할 구청에서 정기적으로 기름을 수거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구청에서 기름을 수거해 가니까 저희가 처리하기 편하고 또 기름을 재활용해서 환경오염도 방지되고 상당히 좋은 것 같습니다."(곽노일ㆍ음식점 업주)

25개 자치구에서 수거한 폐식용유는 바이오연료 제조업체에 매각되고 그곳에서 바이오디젤유로 재생산됩니다. 바이오디젤유는 일반 경유와 2%이상 혼합해 경유차량의 연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폐식용유를 처리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어가고 있습니다. 연간 1만톤 정도의 폐식용유를 재활용하면 4억5천만원 정도의 하수처리비용 절감효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김선주ㆍ서울시 기후환경본부 자원순환과)

서울시는 출퇴근길에 누구나 폐휴대폰을 기증할 수 있도록 지하철 역사 279곳에 폐휴대폰 수거함을 설치했습니다. 폐휴대폰 수거는 서울의 각 관할 구청에서 주1회 정도 실시하고 있습니다.

"폐휴대폰이 수거함에 일정량 모이게 되면 SR센터(서울시 자원재활용센터)로 옮겨지고 폐휴대폰 안에 있는 금, 은, 팔라듐 같은 희귀금속을 추출해서 재활용하게 됩니다."(이희성ㆍ구로구 청소행정과 자원순환팀)

SR센터는 폐휴대폰의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전량 파쇄한 후 유가금속을 추출해 자원화합니다. 지금까지 SR센터는 약 95만대의 폐휴대폰과 131만대의 폐가전제품을 재활용했습니다.

"서울시내 각 구청에서부터 폐가전제품이나 폐휴대폰을 공급받습니다. 이곳에서 플라스틱, 고철, 구리, 알루미늄 등으로 분류해서 또 다른 정제회사로 공급하고 재활용하게 됩니다."(홍승철ㆍ서울시자원재활용센터 생산팀)

재활용으로 생긴 수익금은 꿈나래통장과 희망플러스통장 가입자들의 경제적 자립을 위해 사용되고 있고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등 어려운 환경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희귀금속 자급률이 9% 수준으로 아주 낮기 때문에 폐휴대폰을 비롯한 폐가전제품 재활용이 매우 중요합니다. 금광석 1톤에서 5g의 금을 채취할 수 있는 반면, 폐휴대폰 1톤에서 400g을, 폐가전제품 1톤에서는 20g을 채취할 수 있습니다.

"광물자원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요. 자원 재활용이 수입의존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리고 광물자원을 캐면서 발생하는 환경 파괴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김선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 자원순환과)

한편 서울시는 폐가전제품 기부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아파트는 서울시 기후환경본부 홈페이지(env.seoul.go.kr)에 정보를 올려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할 계획입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대부분의 자원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자원 재활용이야말로 자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한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는데요. 서울시 자원 재활용 정책이 환경을 보호하고 경제 발전의 기틀을 다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국아이닷컴 고광홍기자 kkh@hankooki.com

간편구독 신청하기   친구에게 구독 권유하기

#폐휴대폰 #SR센터 #폐식용유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