쉿! 새들도 비밀이 있대요
admin
발행일 2010.01.22. 00:00
10년 전까지만 해도 화학비료와 농약으로 오염되어 있던 한강 상류지역의 고덕지구 하천변 유휴지는 오늘날 고덕수변생태복원지란 이름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2001년 12월부터 14개월 동안 흙을 바꾸고 나무와 풀을 심어 2003년 7월 4일에 공사를 끝내고 탄생된 이곳에는 현재 조류 관찰소를 비롯하여 느티나무, 조팝나무 등 10종류가 넘는 교목, 관목과 많은 초본류 식재가 심어져 있다. 생물 종의 다양성을 증대하고 일반 시민들에게 여가생활 및 생태체험 학습장소로 제공한다는 취지가 말그대로 잘 살아 있는 곳이다. 19명의 학생과 그 학부모들이 참가한 19일 첫 수업 시간. 꼼지락 선생님과 서로 인사를 나누고 친해지는 활동과 더불어 고덕수변생태복원지에 관한 소개가 있었다. 그리고 두 번째 시간에는 버드나무 선생님(이곳은 선생님들 이름조차 '생태'적이다)과 탐조란 무엇인가에서부터 야외에 나가기 위한 준비사항, 탐조할 때 새들을 위한 탐조 수칙을 배웠다. 둘째 날에는 새 전문가이신 서정화 선생님이 오셔서 크기와 모양, 몸의 형태, 날개의 특징 등을 기준으로 한 새의 분류방법과 산과 들, 집 주변, 물 등 서식지로 새 찾기, 소리로 새 찾기, 그리고 이동성으로 새 찾기 등을 배워나갔다. 특히 이동성으로 새 찾기 분류에서는 흔히 알고 있던 텃새, 철새, 나그네새 외에도 미조라고 길을 잃은 새도 있음을 배웠다. 철새가 번식지와 월동지를 오가는 새이며, 나그네새는 북쪽에서 번식하고 한반도를 통과해 남쪽으로 이동해 겨울을 나고 봄이 되면 다시 한반도를 통과해 북쪽으로 날아가는 새라는 것도 명확히 했다. 철새는 보통 3000-5000km를 이동하고 통과새는 10000-12000km를 이동하며, 통과새가 우리나라를 통과할 때는 주로 서해안의 갯벌로 와서 머물다 이동한다고 한다. 다시 한 번 갯벌의 중요성을 느낀다. 마지막 날 3일째는 꼼지락 선생님과 함께 새의 모이대를 만들고 그 모이대 안에는 밀과 옥수수 그리고 견과류인 해바라기 씨를 넣었다. 과일은 사과와 감을 4등분하여 준비하고 땅콩은 겉껍질을 벗기지 않고 바늘에 실을 꿰어 실에 주렁주렁 매달았다. 아이들과 준비한 새의 먹잇감을 가지고 한강수변으로 나가 나무에 모이대도 걸어주고, 사과와 감은 굵은 가지 끝에 마치 나무 포크에 찍어 놓은 것처럼 보였다. 새 탐조는 나뭇잎이 다 떨어져 나뭇가지만 있어서 새를 잘 볼 수 있는 겨울이 제철이다. 시민기자/진경선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