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룡반점 막내딸, 대한민국을 사로잡다
admin
발행일 2010.02.03. 00:00
둘리, 마시마로, 뽀로로 슈퍼캐릭터 상위에 올라 쌍꺼풀 없는 매력적인 눈을 가진 꼬마 아가씨 ‘뿌까’. 시종일관 밝고 명랑한 거룡반점 막내딸이 대한민국 국가대표 캐릭터 선정에서 당당하게 1위를 차지했다. 이 조사는 SBA(서울산업통상진흥원)와 포털사이트 다음이 작년 12월 3일부터 28일간 공동 진행한 것으로, 국산 캐릭터에 대한 대중들의 인지도 및 호감도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분야는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캐릭터 등 4개의 분야와 ‘대한민국 슈퍼캐릭터 100’, '한국인이 좋아하는 캐릭터 100‘ 등으로 구성됐다. 특히 ‘대한민국 슈퍼캐릭터 100’은 네티즌 온라인투표와 관련 전문가들의 점수를 합산하여 결정됐다. 이 분야에는 뿌까와 둘리 외에도 마시마로, 뽀로로, 태권브이, 빼꼼, 이기영(애니메이션 ‘검정고무신’ 캐릭터), 배찌(레이싱게임 ‘카트라이더’ 캐릭터), 딸기, 서장금(애니메이션 ‘장금이의 꿈’ 캐릭터)등이 순위에 올랐다. 후보에 오른 캐릭터들은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캐릭터 등 관련 단체의 추천과 분야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선정위원회가 여러 차례 논의를 거친 끝에 결정한 것으로, 저작권자가 동의한 캐릭터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럼 한국인들은 어떤 캐릭터를 가장 좋아할까. 조사 결과 올해로 27살 청년이 된 ‘둘리’가 1위에 올랐다. 이 조사는 포털사이트 다음을 통해 온라인 투표로만 결정됐다. 둘리는 1인당 최대 5개까지 선택할 수 있는 온라인 투표에서 총 14만 7,198명의 투표수 중 득표율 10.99%를 획득하여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캐릭터가 되었다. 뽀로로는 득표율 10.68%를 얻어 아쉽게 2위를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깨부리(온라인게임 '귀혼' 캐릭터), 마시마로, 태권브이, 뿌까, 밍밍(레이싱게임 '테일즈러너' 캐릭터), 배찌, 졸라맨, 뿡뿡이 등이 순위에 올랐다.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캐릭터 분야 1위는 둘리, 뽀로로, 배찌, 뿌까 분야별 선호도는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캐릭터 4개로 나눠 진행됐는데, 둘리, 뽀로로, 배찌, 뿌까가 각각 분야에서 1위를 차지했다. 각각의 순위를 살펴보면, 만화에서는 검정고무신의 ‘이기영’이 2위를 차지했고, 날아라 슈퍼보드의 ‘미스터 손’, 마린블루스의 ‘성게군’, 아기공룡 둘리의 ‘고길동’이 3위부터 5위까지 차지했다. 애니메이션 분야에서는 태권브이와 빼꼼이 2·3위에 올랐고, 장금이의 꿈의 ‘서장금’과 냉장고나라 코코몽의 ‘코코몽’에 4·5위에 올랐다. 게임 분야에서는 카트라이더의 배찌와 다오가 1·2위에 선정돼 카트라이더의 인기를 실감할 수 있었다. 3위는 메이플스토리의 도도(전사)가, 4위는 던전앤파이터의 귀검사, 5위는 슈퍼액션히어로의 히어로가 선정됐다. 캐릭터분야에서는 뿌까에 이어 마시마로, 딸기, 블루베어, 곰탱이가 순위에 올랐다. 브랜드 가치 평가 결과 … 뽀로로 3천893억 원 아울러 캐릭터의 브랜드 가치평가도 공개됐다. 브랜드 가치평가는 브랜드가 향후 30년 간 존속된다는 전제 하에 브랜드 이름으로 생성할 수 있는 미래가치를 현재가치로 환산한 계량적 평가를 이르는 말이다. 브랜드 가치만 볼 때는 애니메이션 분야의 뽀로로가 3천893억 원으로 가장 높은 금액을 기록했다. 캐릭터 분야와 슈퍼캐릭터 1위에 오른 뿌까는 1천197억 원을 기록했고, 게임 분야 1위에 오른 배찌의 경우 151억 원의 브랜드 가치를 평가받았다. 물론 디즈니 푸우(Pooh)의 브랜드 가치가 170억 달러 이상이라는 것에 비하면 미미한 수치지만, 국산 토종 캐릭터의 세계화 가능성도 충분한 만큼 아쉬워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시 관계자는 “국산 캐릭터에 대한 대중들의 인지도 및 호감도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했다.”며 “캐릭터를 활용한 다양한 사업들이 진행될 것”고 말했다. 최종적으로 선정·발표된 100대 캐릭터는 향후 3D 캐릭터 조형 제작, 캐릭터 상품화, 전시회 개최 등을 통해 대중과의 새로운 만남을 시도할 예정이다. 캐릭터에 대한 설명은 포털사이트 다음의 국가대표 캐릭터 선정 관련 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http://cartoon.media.daum.net/characters100/)
하이서울뉴스/조선기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