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뒹구는 이것으로...

서울톡톡

발행일 2014.04.25. 00:00

수정일 2014.04.25. 00:00

조회 3,071

 폐소형가전

[서울톡톡] 집안 곳곳을 청소하다 보면 목이 부러진 선풍기나 작동이 되지 않는 청소기, 전기밥솥이나 가습기, 믹서기, 스테레오, 폐휴대폰 등을 발견하곤 한다. 

이런 폐가전제품이 서울 자원센터(SR(Seoul Resource) 센터)와 만나면 취약계층의 일자리를 만들고,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폐소형가전이 있다면 동주민센터(청소 담당)나 관할 자치구(청소행정과 재활용 담당자)를 통해 전화로 수거 신청을 하면 된다. 이렇게 수거된 폐소형가전은 SR센터에서 재활용을 위한 처리 작업을 거친다.

폐휴대폰은 구청, 동주민센터, 지하철역사, 전국 우체국에 설치된 수거함 통해 수거되며, 자치구를 통해 SR센터에서 금속 재활용 처리 단계를 거치게 된다.

SR센터에서는 본체와 배터리 등을 1차 선별‧해체 후 정련업체에서 기판 등을 녹여 금속자원을 추출하는 절차를 거치며, 휴대폰은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

시는 공동주택에서 폐휴대폰이나 소형폐가전 배출이 많은 점을 고려하여 공동주택 입주자대표회의와 관리사무소 등 관리주체와 협의, SR센터와 직접 처리 협약을 체결하여 적정 처리를 유도하고 있다.

SR센터에서는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1만 톤이 넘는 소형가전과 158만대의 폐휴대폰을 수거하여 금속자원을 회수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희소자원을 재활용해 자원순환에 기여했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 취약계층에 일자리를 제공함은 물론 5년간 9억 8천만 원을 서울장학재단과 희망플러스 통장 등을 통해 기부해 자원순환을 통한 나눔을 실천했다.

아울러, 시는 각급 학교에서도 폐휴대폰 수거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전개하여 학생들을 통해 가정 내 폐휴대폰을 집중 수거할 수 있도록 서울시 교육청과 협의하였고, 이에 따라 학교별로 수거하는 폐휴대폰 수거량을 고려하여 서울시 장학재단을 통해 학교에 장학금 기부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 수거방법
  -폐소형가전 : 동주민센터(청소 담당), 관할 자치구(청소행정과 재활용 담당자) 통해 전화로 수거 신청
  -폐휴대폰 : 구청, 동주민센터, 지하철역사, 전국 우체국에 설치된 수거함 통해 수거

○ SR센터 : www.srcenter.kr
○ 문의: 02-2244-5133

간편구독 신청하기   친구에게 구독 권유하기

#폐가전제품 #SP센터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