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면, 이제부터 관리 들어갑니다

하이서울뉴스 조선기

발행일 2012.04.12. 00:00

수정일 2012.04.12. 00:00

조회 5,302

1급 발암물질이나 과거에는 그 유해성이 잘 알려지지 않은 '석면'

[서울시 하이서울뉴스] 추억으로 남아있는 석면 슬레이트 지붕. 슬레이트 지붕재는 석면이 10~20% 많이 함유되어 있는 대표적인 생활주변 석면함유물질로 알려져 있다. 특히 오래된 슬레이트는 공기 중으로 석면을 방출하게 돼 거주자 뿐만 아니라 이웃에까지 피해를 줄 수 있다.

그러나 지금도 서울 곳곳에서 슬레이트 지붕을 만날 수 있다. 현재 서울에는 10,610동의 슬레이트지붕 건물이 있으며, 과반수인 5,780동이 주택이다. 이 중 서울시는 단독주택의 석면슬레이트 지붕 전량을 제거하기로 했다. 총 2,400동으로, 이는 재건축·재개발 지역에 있는 주택과 연립주택을 제외한 숫자다. 서울시는 올해 200동, 2013년 1,000동, 2014년 1,200동을 교체한다. 

이와 함께 서울 시내 공원에 설치돼 있는 조경석에 대한 석면점검도 실시한다. 자연 석재 중 사문암, 각섬암은 암석의 생성과정 중 일부분이 석면으로 변질될 가능성이 큰 암석으로 이들 암석은 특이한 색깔과 무늬를 지녀 조경석으로 이용되고 있다.

서울시는 올해 시민단체와 합동으로 조경석에 대한 석면함유 및 파손상태 등을 일제점검하고, 석면의 비산 우려가 있는 조경석은 제거하거나 표면코팅 등으로 조치하고 안내판을 설치할 계획이다. 또 조경석재의 구매 및 공사시 석면함유 석재 반입을 원천 봉쇄할 수 있도록 사전 검사를 강화한다.

2014년까지 서울 모든 초·중·고의 석면조사부터 관리방법까지 컨설팅

또 전국 최초로 학교 석면 관리에 나선다. 서울시는 2014년까지 서울 소재 모든 초․중․고 1,600개교를 대상으로 '학교석면관리 컨설팅'을 실시한다. 먼저 올해는 초등학교 100개교에 대한 석면함유여부 조사 및 자재별 훼손상태에 따른 관리 요령을 컨설팅할 계획이다. 특히 석면이 주로 포함된 교실의 천장(텍스), 화장실의 칸막이재를 중심으로 석면함유여부를 조사하고 상태별 관리 요령을 마련한다.

아울러 건축물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석면을 관리하기 위해 폐기물의 적정한 처리여부에 대해 석면 감시도 강화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내 건축자재 철거 현장에서 발생된 폐석면에 표지판을 부착하고 밀폐보관 하는지 여부를 현장점검한다. 또 건축폐기물 수집운반 집하장, 중간처리장에 대해서도 폐석면이 일반건축폐기물과 혼합 처리되지 않도록 월1회 이상 점검을 강화한다.

시는 점검결과 위반사항에 대해선 엄정한 처리를 할 방침이다.이와 관련해 폐기물의 발생, 수집・운반, 최종처리에 대한 단계별 과정은 폐기물적법처리시스템(http://www.allbaro.or.kr)을 통해 시민들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아울러 오는 4월 29일 석면안전관리법이 시행됨에 따라 공공건축물 및 다중이용시설에 대해 석면조사를 실시하고, 석면함유 건축물에 안전 관리인을 지정해 인터넷을 통해 석면관리정보를 공개할 계획이다.

이미 서울시는 법 시행전인 2009~2011년 3개년에 걸쳐 시소유 공공건축물중 68%에 해당하는 1,189개소의 석면조사를 완료하고, 조사결과를 서울시 석면관리 정보시스템(http://asbestos.seoul.go.kr)에 공개하고 있다.

홈페이지 : 서울시 석면관리 정보시스템(http://asbestos.seoul.go.kr)

문의 : 생활환경과 02)2115-7428

 ■ 석면 질환 어떤 것이 있을까?

질환 최초
보고
잠재
기간
정의 특징
석면폐 1907 10~20년 폐의
섬유화를
초래하는
진폐증의
일종
-호흡곤란이 석면노출이 끝난 다음 여러 해 동안 서서히
  진행
-초기는 마른 기침, 말기 화농성, 점액성 가래, 피로감, 체중
  감소
-폐하엽이나 흉막인접 부위에서 진행
-병이 진행되면 횡경막이 두꺼워지고, 석면침착으로 폐
  아래쪽에 진한 음영이 나타남
-손가락 끝이 뭉특해지는 지단거대증 발생(환자의 50%
  이상)
-누적노출량 25~100개/cc/year
-석면노출량과 상관관계
-5~45% 폐암으로 발전
폐암 1930 10~30년 폐에
암세포의
발생으로
인한 조직의
이상
-호흡곤란, 피로감, 체중감소
-누적노출량 25개/cc/year
-석면노출량과 상관관계
-1개/cc/10년 노출 폐암 발생
-석면폐가 동반하면 석면에 의한 폐암 가능성 높음
-폐암의 조직형태:편편상피암,선암,대세포암,소세포암
-흡연자가 비흡자보다 50배이상 큼
악성중피종 1960 20~40년 흉막 및
복막에
생기는
악성 종양
-복부통증, 복부팽만, 가슴통증, 호흡곤란, 식욕감퇴
-급속진행 발병후 1년이내 사망
-백석면 1개/cc/year에서 10만명 노출군에서 5명 발생
-석면노출의 지표 질환
-석면 노출량과 관계가 희박하며 소량, 단기 노출에도 질병을 일으킬 수 있음

간편구독 신청하기   친구에게 구독 권유하기

#석면 #발암물질 #슬레이트 지붕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