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에 방생하면 안되는 어종은?

하이서울뉴스 조선기

발행일 2012.02.02. 00:00

수정일 2012.02.02. 00:00

조회 4,653

붉은귀거북(청거북)파랑볼우럭(블루길)(위), 입큰배스(좌)

[서울시 하이서울뉴스] 정월대보름 민간풍속 중에 자라나 붕어 등을 방생하고 소원을 비는 것이 있다. 이를 위해 많은 이들이 한강을 찾는데, 이때 아무 어종이나 방생해서는 안된다. 서울시는 정월대보름을 맞아 2월 5일(일)~6일(월)까지 시민단체와 합동으로 생태계 교란 어종 및 한강 서식에 부적합한 어종 방생을 지도·단속한다. 하이서울뉴스에서는 Q&A 형식을 통해 어떤 어종을 방생해도 되는지, 방생하면 안되는 어종은 어떤 것이 있는지 소개한다.

Q 주요 단속 대상이 되는 어종은?

주요 단속 대상은 붉은귀거북·큰입배스·블루길·황소개구리로, 야생동·식물보호법에 의해 생태계교란야생동물로 지정된 외래어종 4종이다. 단속 대상에 속하는 생태계 교란 야생동물 4종은 원산지가 외국으로 국내에는 천적이 거의 없어 방생될 경우에 급격한 개체수 증가로 토종어류의 서식처를 잠식하거나 고유종을 포식해 생태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방생을 금지하고 있다.

Q 붉은귀거북을 한강에 방생했다. 처벌 받을까?

배스·붉은귀거북·블루길 같은 생태계 교란 야생동물을 방생할 경우 야생동·식물보호법 제69조 규정에 의거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Q 붉은귀거북ㆍ큰입배스ㆍ블루길ㆍ황소개구리 외에도 한강에 방생하면 안되는 어종은?

지도 대상은 미꾸라지ㆍ떡붕어ㆍ비단잉어를 비롯한 한강 방류 부적합 어종 13종이다. 미꾸라지의 경우 고유 어종에 속해 방생에 적합하다고 생각하지만 한강 본류에서는 서식조건이 맞지 않아 자연 폐사할 우려가 높고, 최근 시중에 유통되는 미꾸라지의 대부분은 중국산 수입종으로 우리 고유 미꾸라지의 종 다양성에 피해를 줄 우려가 있어 방생을 금지하고 있다. 그 밖에 한강에 방생하기 부적합한 어종은 다음과 같다. 

※ 한강 방생 부적합 어종(13종)

품종명 사유
이스라엘잉어
(향어)
이스라엘에서 양식용으로 들어온 외래종으로 잡종발생에 의한 우리의 고유한 잉어의 유전자를 교란시킬 수 있으며, 자연상태에서 생존율이 떨어짐
떡 붕 어 일본이 원산지인 외래어종으로 토종붕어의 유전자를 교란시킬 수 있음
나일틸라피아 태국에서 도입된 남아프리카 원산 열대어종으로 우리의 기후와 자연환경에 적응하기 힘들고 하절기에 생태계 교란이 우려됨
철갑상어 한강과 금강 등 서해안으로 흐르는 하천에 가끔 출현하지만 시중에 판매되는 것은 대부분 러시아산으로 생태계에 피해를 줄 것으로 우려됨
피라니아 남미 아마존이 원산인 열대어종으로 살아있는 포유동물까지 공격하는 강한 육식성 어종으로 하절기에 자연생태계에 위해를 줄 우려가 높음
버 들 개 강릉 남대천, 임진강 등 특정한 하천에만 서식하기 때문에 서해안이나 남해로 흐르는 하천에 함부로 방생하여서는 안 됨
무지개송어 미국에서 양식용으로 도입된 냉수성 어종으로 우리의 고유한 자연생태계에 위해를 줄 우려가 높음
칼납자루 우리나라 고유어종으로써 금강이남의 특정지역에만 서식하므로 한강 등 다른 지역에 함부로 방생하여서는 안 됨
자가사리 일명 '빠가사리'라고도 불리는 우리나라 특산어종으로써 금강이남에 서식하는 어종이므로 금강이북의 하천에 방생하여서는 안 됨
가시고기 가시고기는 동해안 하천에 서식하는 종으로 남해나 서해로 흐르는 강에 방생하여서는 안 됨
미꾸라지 한강 본류에서는 서식조건 맞지 않아 자연 폐사할 우려가 높으며, 시중에 유통되는 미꾸라지는 대부분 중국산 수입종으로 우리 고유종 미꾸라지의 종 다양성에 피해를 줄 우려가 높음
비단잉어 인공으로 품종을 개량한 것으로 자연상태에서 살아남기 어렵고 자연산 토종잉어나 붕어와의 교잡에서 종의 변형을 가져올 우려가 있으므로 방생하여서는 안 됨
금 붕 어

Q 한강에 방생해도 되는 어종은?

한강에서 방생할 수 있는 적합 어종으로는 붕어·잉어·누치·피라미·쏘가리 등 59종이며, 서울시는 서울시 보호종인 꺽정이·강주걱양태·됭경모치·황복의 방생을 권장한다.

※ 한강 방생 적합 어종 (59종): 왜몰개, 웅어, 뱀장어, 잉어, 붕어, 줄납자루, 납자루, 납지리, 가시납지리, 큰납지리, 참붕어, 누치, 참마자, 참중고기, 중고기, 돌고기, 몰개, 긴몰개, 모래무지, 버들매치, 끄리, 됭경모치, 두우쟁이, 피라미, 살치, 강준치, 동자개, 대농갱이, 밀자개, 메기, 점농어, 대륙송사리, 쏘가리, 얼룩동사리, 강주걱양태, 꺽정이, 숭어, 가숭어, 갈문망둑, 꾹저구, 밀어, 민물검정망둑, 풀망둑, 민물두줄망둑, 가물치, 흰줄납줄개, 황복, 각시붕어, 떡납줄갱이, 줄몰개, 버들치, 참갈겨니, 날개망둑, 은어, 빙어, 눈불개, 동사리, 왜매치, 황쏘가리

문의 : 120다산콜센터 ☎ 120

 

간편구독 신청하기   친구에게 구독 권유하기

 

우리 아이를 찾아주세요

#한강 #방생 #외래어종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