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택시, 사람들은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을까?
하이서울뉴스 조미현
발행일 2011.03.10. 00:00
지난해 시민들을 대상으로 택시 고객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71.4점이 나왔다. 그리 나쁜 점수는 아니다. 서울의 택시 서비스 수준을 향상하기 위해 서울시가 2005년 이래 매년 실시해온 ‘택시 서비스 평가’에서 만족도는 꾸준히 상승해왔다는 사실이 더욱 고무적이다. 한 해 전과 비교해도 1.68점 오른 점수로, 이는 평가 이래 최고 기록이다.
전문리서치 조사기관인 메트릭스코퍼레이션에 의뢰한 이번 평가는 2010년 상·하반기 2회로 나눠 상반기 2,364명, 하반기 2,052명의 택시 이용승객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항목은 크게 ①기사서비스(친절성, 복장상태, 목적지 숙지 여부 등), ②차량상태(내외부 청결도, 승차감 등), ③운행상태(안전운행, 적법운행, 이동경로 적절성 등), ④택시요금(부당요금 여부, 결제 정확성, 카드결제여부 등) 등 총 4개 부문으로 나눠 평가했다.
‘브랜드콜택시’와 ‘외국인 관광택시’ 만족도 높고, ‘택시요금’ 부문 가장 만족
먼저 2007년 말에 도입된 ‘브랜드콜택시’의 고객만족도는 2010년 상반기 대비 하반기에 소폭(0.51점) 상승한 반면, 비(非) 브랜드택시는 소폭(0.39점) 하락했다. 조금씩 시민들이 브랜드택시를 선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외국인 관광객의 편의를 위해 2009년 5월에 도입돼 현재 349대를 운영 중인 ‘외국인관광택시(International Taxi)’에 대한 만족도는 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원활한 의사소통과 청결한 차량상태 등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항목별로 평가결과를 살펴보면 ‘택시요금결제(77.4점)’와 ‘차량상태(73.4점)’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운행상태(71.7점)’와 ‘기사서비스(71.4점)’가 뒤를 이었다. 2009년 6월 기본요금 인상 직후 ‘택시요금’ 분야에 대한 고객만족도가 다소 주춤했으나, 카드결제서비스 확대 등 요금결제 부문의 시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지난해 상반기부터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설문응답자의 60.1%가 택시 요금을 카드로 결제한 경험이 있다고 대답했다.
그에 비해 ‘운행상태’ 만족도는 낮게 평가되었는데 이는 신호위반, 과속, 급출발, 급정차 등 기사의 잘못된 운전습관이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앞으로 지속적이고도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한 부문이다.
고객만족도 평가결과 반영, 교육과 단속강화 및 우수업체 인센티브 지급
서울시는 택시 고객만족도 중 낮은 점수를 얻은 ‘운행상태’와 ‘기사서비스’에 대해서는 기사교육과 업체 대표자 간담회 실시, 택시서비스 우수업체 현장견학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다. 지난해에는 택시기사를 대상으로 차량 청결 교육을 중점적으로 실시했는데 그 결과 시민들로부터 높은 만족도를 얻었다. 승차거부 등 불법운행에 관해서는 정기적으로 지도·단속에 나서 지금보다 강화할 방침이다.
단속과 교육 외에도 우수업체에게는 인센티브를 지급함으로써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한 측면을 독려하고 있다. 이미 지난 2월, 택시 이용승객을 대상으로 한 평가 외에 전문평가요원이 직접 택시에 탑승하여 조사한 모니터링 평가결과와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준수사항 위반 및 서울시 정책참여도 등을 종합하여 우수업체를 선정해 포상금을 지급했다. 우수업체뿐만 아니라 상반기 대비 평가순위가 100위 이상 상승한 업체에 대해서도 포상금을 지원했다. 포상금은 운수종사자 처우개선 및 세차시설 등 운전자 복지, 차량청결 관련 시설 개보수비용으로 사용하게 할 계획이다.
2011년에도 택시서비스 고객만족도 조사는 계속 된다. 다만 기존에 연2회 실시하였던 평가주기를 현장 조사기간을 늘리는 대신 연 1회 실시하고, 최소 표본수도 업체당 평균 22회에서 50회 이상으로 확대하여 업체 간 교차평가를 실시하는 등 공정성 확보를 위해 평가방법을 개선할 예정이다. 또한 업체 간 서비스 수준 순위를 결정할 때도 공신력 있는 결과 도출을 위해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준수사항 위반, 120다산콜센터 민원접수 등 객관적 자료에 의한 평가비중을 늘려 평가할 계획이다.
문의: 도시교통본부 택시물류과 02) 6321-4253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