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까지 총 20개 대학교 담장 개방하여 총 58,482㎡의 녹지 조성
“뚜렷하게 안과 밖을 구분했던 학교 담장을 헐고 녹지공간으로 만들어 놓으니 학교가 더 이상 폐쇄적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게 되었어요. 아이를 데리고 학교 주변을 산책하면서도 높은 담장을 마주하면 쉽게 들어갈 엄두를 내지 못했는데, 이제는 마음 편하게 공원처럼 이용하고 있어요. 요즘 날이 따뜻해지면서 어르신들도 삼삼오오 짝을 지어 나오시지요.” 세종대학교 근처에 사는 김현정(38세) 씨는 담장을 헐어 훤해진 학교 풍경을 아이와 함께 즐기는 재미가 쏠쏠하다고 자랑한다.
학교 녹지를 지역 주민들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어 많은 시민들이 반기고 있는 서울시의 ‘대학 담장개방 녹화사업’은 2010년에도 계속된다.
올해는 덕성여자대학교, 감리교신학대학교, 숭실대학교 등 3개 대학교의 담장을 개방하여 시민을 위한 녹지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덕성여자대학교(도봉구 쌍문동)는 700m 길이의 담장을 철거하여 8,600㎡의 녹지를 조성하여 개방하게 된다. 높은 콘크리트 담장으로 인해 그간 담장 주변을 통행하는 시민들에게 위압감을 주었던 것을 해소하고 주민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녹지공간으로 거듭날 것으로 보인다.
또 서대문구의 감리교신학대학교는 50m의 담장을 헐고 1,000㎡ 규모의 녹지를 조성하고, 동작구의 숭실대학교는 280m의 담장을 철거, 1,120㎡ 규모의 녹지를 조성하게 된다. 이들 3개 대학의 담장 철거를 통해 총 10,720㎡의 녹지가 늘어나게 된다.
서울시의 '대학 담장개방 녹화사업'은 지난 2004년부터 추진됐으며, 지난해까지 총 20개 대학교의 담장 8,112m를 개방 및 철거하여 총 58,482㎡의 녹지가 조성됐다.

■ 대학 담장개방 녹화 현황(2009.12.31.기준)
연도별 |
학교명 |
사업내역 |
비 고 |
담장개방(m) |
녹지조성(㎡) |
2004년 |
① 서울대의대 |
180 |
1,600 |
종로구 |
② 외국어대학교 |
730 |
8,400 |
동대문구 |
③ 고려대학교 |
1,920 |
7,800 |
성북구 |
④ 서울산업대학교 |
320 |
4,500 |
노원구 |
⑤ 명지대학교 |
360 |
2,700 |
서대문구 |
2005년 |
① 연세대학교 |
90 |
400 |
서대문구 |
② 고려대보건과학대 |
110 |
900 |
성북구 |
③ 한신대학교 |
120 |
980 |
강북구 |
④ 서울대학교 |
1,200 |
2,100 |
관악구 |
⑤ 경기대학교 |
78 |
1,400 |
서대문구 |
⑥ 그리스도신학대 |
70 |
1,375 |
강서구 |
⑦ 건국대학교 |
300 |
3,290 |
광진구 |
⑧ 서강대학교 |
80 |
980 |
마포구 |
2006년 |
① 한양대학교 |
150 |
1,600 |
성동구 |
② 서울교육대학교 |
300 |
1,200 |
서초구 |
③ 한성대학교 |
110 |
1,300 |
성북구 |
④ 동국대학교 |
75 |
300 |
중 구 |
2008년 |
① 세종대학교 |
340 |
2,057 |
광진구 |
② 서울여자간호대학 |
149 |
450 |
서대문구 |
③ 성서대학 |
100 |
3,000 |
노원구 |
2009 |
① 덕성여자대학교 |
700 |
8,600 |
추진중 |
문의 : 푸른도시국 02) 2115-7616
하이서울뉴스/김효정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