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의 문화재 세검정
admin
발행일 2006.08.31. 00:00
매주 토요일 오후 2시, 전문가 해설 이벤트 개최 세검정은 원래 연산군 6년∼11년(1500∼1505)경 유흥을 위한 수각(水閣)으로 세웠다고 하는데, 일설에는 숙종 때 북한산성을 수비하기 위하여 병영 총융청을 건립하고 이곳에 있는 군사들의 휴게시설로 세운 것이라고도 한다. 그후 영조 24년(1748) 중건하였으며, 이때 세검정 현판을 달았다. 광해군 15년(1623) 이귀(李貴), 김류 등이 광해군의 폐위를 의논하고 이곳 사천(沙川, 모래내ㆍ홍제천) 맑은 물에서 칼을 씻었으므로 ‘세검정’이라 불렀는데, 원래 세검(洗劍)이란 칼을 씻어서 칼집에 넣고 태평성대를 맞이하게 되었다는 뜻으로 ‘세검정’은 인조반정을 의거로 평가하며, 이를 찬미하는 상징적 의미를 지녔다. 조선시대에는 ‘왕조실록’이 완성된 뒤 이곳 세검정에서 세초(洗草 : 史草를 물에 씻어 흘려 버리는 일)하였으며, 장마철에 물이 불어나면 도성 사람들이 이곳에 와서 물구경을 하였다.
세검정은 1941년 부근에 있던 종이공장의 화재로 소실되어 주춧돌만 하나 남아 있었는데 정선의 ‘세검정도’를 참고해 1977년 5월 복원되었다. 복원된 세검정은 서남향으로, 자연암반을 기단으로 삼아 가운데 칸이 넓고 양 협칸이 좁은 정면 3칸, 측면 1칸에, 개천쪽 서남 방향 가운데 칸 하나를 내밀어 ‘丁’자형 평면을 이루고 있다. 암반 위에 높이가 다른 10개의 4각 장초석을 세우고 그 위에 원기둥을 세우고 바닥에는 우물마루를 깔았으며, 둘레에는 ‘亞’자 난간을 돌렸다. 건물 북쪽 협칸에는 밖으로 계단을 설치하여 도로에서 오르내리도록 했다. 기둥 사이에는 문을 설치하지 않고 개방되었으며,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형태이다. 세검정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도록 계획하여 배치한 점, 안정감을 느끼도록 설계하여 평면 구성을 한 점, 알맞은 부재의 크기를 사용하여 건물의 비례와 리듬을 살린 점에서 한국 건축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한편 세검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듣고자 하는 시민을 위해 매주 토요일 오후 2~4시 현장에서 전문가 해설 이벤트가 열린다. 문의 : 서울시 문화재과 ☎ 3707-9434 | |
하이서울뉴스 / 이현정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