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 즐기기’는 이제부터 차근차근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5.10.04. 00:00
청계천의 옛 모습은 이랬어요~ 서울광장 ‘청계천 옛 모습 사진전’ 1960년대 판자촌과 헌 책방이 다닥다닥 늘어선 청계천의 옛 모습에서부터 맑은 물 흐르는 복원된 청계천을 건너는 어린아이들의 해맑은 모습까지 청계천의 시대적 변천사가 파노라마처럼 한눈에 펼쳐진다. 서울역사박물관이 역사적인 청계천 복원을 축하하며 내달 4일까지 서울광장에서 청계천의 어제와 오늘을 담은 ‘청계천 옛 모습 사진전-다시 찾은 청계천’ 사진전을 선보이고 있다. 조선시대 말기부터 현재까지 촬영된 사진 250여점을 볼 수 있는 이번 전시는 크게 ‘청계천의 역사’와 ‘서울시민과 청계천’을 주제로 나뉜다. ‘청계천의 역사’는 조선시대 초 개천관리부터 준천·복개·청계고가도로 건설을 비롯해 청계천 복원공사까지
청계천의 변천 모습을 주로 담은 것이 특징. 전시작품 중에는 공모를 통해 선정된 시민 소장사진뿐만 아니라 사진작가들이 출품한 사진들도 함께 전시된다. 또 시민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청계천과 관련한 각종 지도와 회화자료도 전시된다. 한편 전시장을 찾지 못하는 시민들을 위해 어디서나 쉽고 가깝게 청계천 사진들을 감상할 수 있도록 사이버전시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문의 : 서울역사박물관 ☎ 724-0153 미술관에도 흐르는 청계천 새 물길 ‘2005 청계천을 거닐다’ 청계천의 변모 과정과 비전을 미술작품으로 제시한 이색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서울시립미술관 ‘2005 청계천을 거닐다’ 전시가 10월 30일까지 이어져, 25팀 38명의 작가들이 청계천의 변화된 모습과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전시는 권정준, 권순관, Area Park, 정훈, 임상빈, 구와바라 시세이의 사진 작품과 김성연, 박영훈, 아르장틴 리, Sync Generation, 임창민의 영상 작품, 플라잉시티, c.l.p., 김혁, 송필, 김현호, 구영경, 금중기, 안성희, 박발륜, 이소영, 이순주, 유현민, 신명기, 박정순, 장준석의 설치 작품으로 구성되었다. 청계천의 현재 모습과 미래 비전을 대전제로, 복원된 청계천을 거닐며 새롭게 변화된 청계천의 내적·외적
풍경을 유람하는 형식의 이번 전시는 ‘새로운 청계천’이라는 주제로 압축된다.
구체적인 전시 내용은 보이는 것(Visible)과 보이지 않는 것(invisible) 등 크게 두 가지로 대별된다. ‘보이는 것(Visible)’에서는 청계천의 가시적인 영역에 속하는 것들이 다양한 작품들로 형상화돼, 청계천 둔치를 구조적으로 재현한 전시장의 벽면에 전시된다. 청계천 7가를 중심으로 500미터 마다 찍은 1,200 장의 사진으로 재구성한 권정준의 사진 작품 ‘Go-around 청계천’, 녹색의 인공 잔디에 조성된 팔랑개비 설치 작품인 박정순의 ‘WIND’, 물이 담긴 9개의 정사각형 박스 표면 위에 청계천 주변의 자연석을 올려 작가가 만든 청계천의 소리로 인한 진동으로 자연석을 뒤흔드는 김현호의 ‘청계 향연’ 등 개성 있는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반면 '보이지 않는 것'에서는 청계천에 대한 내적·심리적 풍경과 청계천에 얽힌 보이지 않는 가치들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진다. 개발시대 이후 줄곧 청계천을 지탱하다 폐기된 콘크리트 잔해에 그려진 신(新)청계천 풍속도인 이순주의 '청계천 유적 No.1-5'와, 1905년 근대기의 청계천의 모습을 사진기법을 이용해 역사적 인물들과 조합·재현함으로써 청계천을 역사적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한 임상빈의 '1905 청계천을 거닐다' 등의 작품을 볼 수 있다. 문의 : 서울시립미술관 ☎ 02-2124-8800 http://www.seoulmoa.org/ 청계천 문화와 역사 한눈에~ ‘청계천 문화관’ 청계천 복원 준공에 맞춰 개관한 '청계천 문화관'에서도 청계천의 역사와 문화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성동구 마장동에 세워진 '청계천 문화관'은 청계천의 과거와 현재, 복원 전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전시관으로 751평의 대지에 지하 2층, 지상 4층 규모로 지어졌다. 1층부터 계단을 밟고 올라가는 다른 전시장과는 다르게 이곳은 외부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를 통해 4층으로
올라간 뒤 4층부터 1층까지 내려오면서 관람하도록 꾸며져 있다. 다음 공간으로 이동하다보면 청계천 복원 전 광교지하를 걷는 듯한 느낌을 얻을 수 있고, 이어서 복원 공사의 과정을 패널과 영상, 모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3층에는 청계천 주변을 촬영한 대형 항공사진이 바닥에 깔려 있어 하늘에서 청계천을 내려다보는 느낌을
준다. 또한 ‘청계천 투어’ 코너에서는 청계광장에서 신답철교까지 복원된 청계천의 모든 구간을 영상으로 관람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오랜 관람으로 피곤한 이들을 위해 휴게 공간인 ‘에코 청계천’이 이어진다. 인공 연못과 인터넷이 마련된 이곳에는 청계천 다리를 배경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토존’이 마련돼 있어 방문자들에게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기획전시실에서는 청계천 새물맞이 특별체험공연인 ‘흙과 물이 만나요’가 열린다. 이 공연은 인형극 관람과 흙놀이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어 어린이들에게 환경의 소중함을 일깨울 예정이다. 하루 12회(1회당 40명, 월요일 휴무)에 걸쳐 다음달 27일까지 계속된다. (공연문의 ☎ 569-0696) 한편 청계천문화관은 오전 9시부터 밤10시까지 연중무휴로 운영되며, 상설전시장은 무료로 개방된다. 지하철 1호선 제기역에서 15분 정도 걷거나, 2·5호선 왕십리역 7번출구에서 마을버스 3번 또는 8번을 타고 청계천문화관에서 하차하면 된다. 문의 : 청계천홍보관 ☎ 2286-3403~6 | ||||||
하이서울뉴스 / 이현정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