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 브랜드 해외진출 적극 지원

admin

발행일 2010.06.23. 00:00

수정일 2010.06.23. 00:00

조회 3,326

7월 7일까지 모집…세계 4대 컬렉션 참가비 1인당 최대 2천5백만 원 지원

국내 패션 디자이너들에게 해외 진출의 기회가 활짝 열렸다.

서울시가 국내 패션디자이너의 해외 진출 기회를 확대하고 글로벌 패션브랜드를 발굴하기 위해 해외컬렉션 참가비용을 지원해 주기로 하고, 해외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우수 국내 패션디자이너 10명을 모집한다.

이는 많은 비용을 들여 해외 컬렉션에 참가하고도 지속적으로 현지에서의 활동을 이어가지 못하는 패션디자이너들을 지원함으로써 이들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함이다.

선정된 10명의 패션디자이너는 해외컬렉션에 참가할 때 소요되는 직접비용 및 마케팅ㆍ홍보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다.

2010년 춘계 서울패션위크 참가 디자이너 중 올해 상반기 파리, 런던, 밀라노, 뉴욕에서 열린 세계 4대 유명 컬렉션에 참가한 디자이너라면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다. 주최측으로부터 공식캘린더로 인증받아 참가했거나 또는 해당 지역에서 같은 기간 중 개인 컬렉션 및 프레젠테이션을 개최한 경력을 인정해 준다.

참여를 원하는 디자이너는 오는 7월 7일(수)까지 신청서 및 컬렉션 참여 증비서류 등을 갖춰 서울패션센터로 제출하면 된다.

지원 대상 디자이너 선정 및 지원금액은, 참가 지원 신청서와 홍보 및 수주실적 등 2010년 상반기 해외컬렉션 개최 성과를 바탕으로 선정위원회가 심사하여 결정한다. 디자이너 1인당 최대 지원 금액은 2천5백만 원이다.

2006년 시작된 이 사업을 통해 그간 해외컬렉션 참가 지원을 받은 사람은 이상봉, 우영미, 정욱준, 송지오, 앤디앤뎁, 최범석, 스티브&요니, 이도이 등 국내 정상급 디자이너 49명에 이른다. 지원을 받은 패션디자이너들은 355억 원 규모의 수주와 785건의 해외 홍보 성과를 거뒀다.

초기 진출 비용 부담 높은 신진급 디자이너 지원 대폭 확대

앞으로도 서울시는 해외컬렉션 참가 지원 사업을 통해 국내 패션브랜드를 해외에 알리고, 국제적인 브랜드로 성장시키기 위해 경제적인 지원과 체계적인 관리를 지속적으로 해나갈 계획이다.

또 일본, 벨기에 등 신흥 패션국가의 지원 시스템을 벤치마킹해 효과적인 관리시스템을 도입, 운영할 계획이다. 1980년대부터 신흥 패션국가들은 정부 차원의 글로벌 패션브랜드 육성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겐조ㆍ이세이미야케ㆍ드리스반 노튼ㆍ앤드뮐러미스트 등의 디자이너들이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꼽히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1980~1990년대에 세계 패션계의 주목을 받았던 일본에 이어 서울이 제2의 패션오리엔탈리즘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이번 지원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브랜드가 프라다, 구찌와 같이 세계적으로 성장하길 바란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 세계 4대 컬렉션

구분

뉴욕

런던

밀라노

파리

춘계

2.11~2.18

2.19~2.24

남성복 : 1.16~1.20
여성복 : 2.24~3.3

남성복 : 1.21~1.24
여성복 : 3.2~3.10

추계

9.9~9.16

9.17~9.21

남성복 : 6.19~6.23
여성복 : 9.22~9.28

남성복 : 6.24~6.27
여성복 : 9.28~10.7

문의 : 서울시 문화산업담당관 패션팀 02) 2171-2820
서울패션센터 패션마케팅팀 02) 3670-4526, 4512
홈페이지 www.sfc.seoul.kr

하이서울뉴스/김효정

#패션브랜드 #해외진출 #해외컬렉션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