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이 송광사에 간 까닭은?

admin

발행일 2009.05.26. 00:00

수정일 2009.05.26. 00:00

조회 1,695

'희망의 인문학' 강좌가 인기다. 무료 배식이나 생활비 지원 류의 생계지원형 복지정책과 달리 저소득층 시민들에게 자기성찰의 힘을 심어주고 회복된 자존감을 통해 정신적 빈곤에서 탈출하게 하자는 작은 소망에서 시작된 사업이다. 그 잔잔한 파장은 꽤 파급력이 있었던 것일까? 일각에서는 서울형 복지정책은 과연 혁신적이라며 찬사를 보냈고, 다른 한켠에서는 요즘 일반 시민들 사이에 빠르게 번지고 있는 인문학강좌 붐과 묶어 우리 사회의 희망을 이야기하기도 했다.

이 가운데 또 다른 '서울형' 복지사업이 첫 발을 내딛는다. 극심한 고통과 실의에 빠져 있는 노숙인들을 대상으로 '2009 희망 템플스테이'를 실시하기로 한 것. 그간 노숙인 쉼터, 상담보호센터 등 노숙인 관련 시설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참가 희망자를 모집하고 그 중 모범적이고 자활의지가 강한 43명을 최종 선발했다. 이들 43명은 전남 순천 송광사에서 27일부터 2박 3일 동안 머물며 '나를 깨우는 108배', 방사 및 도량 청소, 참선 체험, 사회재활을 위한 법구경 강의 등 심신단련 프로그램에 참가하게 된다.

참가자들의 기대치는 생각보다 높다. 아내가 장기간 암투병 끝에 사망하면서 빚을 떠안고 노숙인으로 전락한 홍모씨(53세)는 "산사의 조용한 분위기에서 지친 심신을 회복하고 삶의 의미를 되새기고 싶다"며 참여 동기를 밝혔다. 5년 전 경제 한파로 실직한 후 집을 나와 서울역 근처에서 생활하던 배모씨(45세)는 "어디서부터 잘못돼 여기까지 왔는지 지난날을 반성하고 앞으로는 후회없이 열심히 살고 싶어" 템플스테이에 신청하게 되었다. 부산에서 사업체가 부도가 나면서 노숙생활까지 이른 이모씨(57세)도 "이번 기회에 지친 몸과 마음을 치유하고 헤어진 가족들을 생각하면서 새롭게 출발하고 싶다"고 의지를 보였다.

이번에 처음으로 실시하는 노숙인 대상 템플스테이 행사는 금년 가을 한 차례 더 시험 실시한 후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면 내년부터 확대운영할 방침이다. 또한 카톨릭, 기독교 등 타종교의 선교 프로그램 중에서도 노숙인의 자활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프로그램이 있다면 도입할 계획이다. 새로운 패러다임의 복지정책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문의 : 복지국 자활지원과 ☎ 02) 6360-4797

하이서울뉴스/조미현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