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약자 · 장애인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5.12.16. 00:00
내년 3월까지 여의나루역(5호선)과 산성역(8호선) 추가 설치 예정 몸이 자유롭지 못하거나 불편한 시민들에게 지하철을 탈 때 가장 큰 걱정거리는 수많은 계단을 오르내리는
일이다. 이대역과 남태령역은 각각 40m, 44m인 긴 경사터널 계단을 이용해 승강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 역사 구조상 일반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수 없는 형편. 이에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개발 설치하게 됐는데, 장애인을 비롯해 거동이 불편한 시민들에게는 편의성이 증가되는 계기가 됐다. 경사형 엘리베이터는 정전 시에도 자체 비상 전원 공급 장치(UPS)로 30분 이상 운행이 가능하다. 또 상 · 하 방향 과속 방지 장치, 카 비상 정지 장치, 수동 운행 장치 등을 갖춰 안전 운행에 역점을 두었으며, 건축 조형화와 특수조명으로 경관을 극대화 했다. 지하철건설본부는 작년 12월 일반 엘리베이터 설치가 불가능한 버티고개역(6호선)의 경사터널형 계단에
국내 처음으로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시범 설치하여 이용 시민들의 좋은 평가를 받은 바 있다. 내년 3월까지 승강편의시설 확충 사업 추진 중 서울시는 현재 운영 중인 1~8호선 262개 지하철 정거장을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2001년부터 시작한 승강편의시설 확충사업을 내년 3월까지 마무리 짓는다. 총 3,391억원(시 예산 2,929억원, 민간 및 타사업비 462억원)의 예산이 투입돼 엘리베이터 520대, 에스컬레이터 209대, 수평자동보도 2대 및 휠체어리프트 97대 등 총 810대의 편의시설이 설치된다. 또한 역사 내의 이동을 하나의 동선으로 연결하는 1역사 1동선 체계를 갖추기 위해 52대의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각각 26대)를 설치 중이다. 설치가 완료되면 역사별 1동선 구축률이 83%로 확대돼 선진 도시보다 높은 설치율을 기록하게 된다. 한편 1역사 1동선이 구축되지 않은 46개 역에는 지상에서 대합실, 대합실에서 승강장으로 연결되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했다. 현재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곳은 상시 이용 가능한 엘리베이터가 추가 확보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 ||
하이서울뉴스 / 김효정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