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을수 없는 한가위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4.09.23. 00:00

수정일 2004.09.23. 00:00

조회 1,088



시민기자 김영진


음력 팔월 대보름의 달은 둥글고 밝다. 그 밝고 둥근 달 만큼이나 우리의 마음을 풍요롭게 해주는 한가위. 우리는 그날을 추석이라 부르기도 한다.

8남매의 장남이신 친정아버지, 지금은 팔순을 훨씬 넘기시어 이제 9순을 바라보시는 아버지께선 딸만 넷을 두셨다.
아들 없어도 우리에게 그 흔한 계집애소리 한번 안하시고 키우신 아버지. 그런 아버지와 평생을 사신 어머니에게도 어려운 점이 많으셨던 것 같다.
딸만 4형제인 집안의 막내인 나에게 어릴적 한가위에 대한 기억은 그저 예쁜 한복을 곱게 입고 찾아오시는 친척들께 인사를 하고 용돈도 받고 맛난 음식을 먹으며 그야말로 명절을 지내면 되는 그런 날이었다.

그러던 추석 명절은 언니들이 하나둘 결혼을 하면서부터는 명절이 찾아와도 일할 며느리 하나 없는 엄마를 도와 결혼한 언니들의 방문을 위한 음식준비를 해야 하는 그런 날로 변하기 시작했다.

다소 늦은 결혼과 함께 추석이 오면 이제 나도 시집엘 다녀와서야 엄마를 도와드릴 수 있는 시간을 낼 수 있었고 남들은 친정에 가면 새언니가 차려주는 점심상도 받아본다는데 막내인 나는 시집에 다녀오기가 무섭게 친정에 가서 나이 드신 엄마를 도와드려야 하는 이중의 바쁜 날들이 되어버렸다.
시집이 서울인 나는 제사를 지내면 바로 친정에 갈수 있었지만 시집이 시골인 언니들은 당일 저녁이나 그 다음날이 되어서야 친정엘 올수 있기 때문이었다.

결혼하여 10여년쯤 되는 어느 해의 추석이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남편의 사업실패와 병고로 인해 단단히 어려움을 겪고 있었을 무렵 추석을 맞게 되었다.
결혼한 여자들 대부분이 그럴지 모르지만 우선 시집에 여러 가지 마음을 쓰다보면 막상 친정에 갈 때에는 돈도 거의 바닥이 나 마음만큼의 선물이나 배려를 하지 못하는 것이 다반사이다. 나 역시 그해에도 친정에 가려니 호주머니엔 단돈 2만원밖에 없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그것으로 무엇을 사면 좋을까 한참을 궁리해보았지만 썩 좋은 생각이 떠오르지 않았다. 제사를 지내고 친정에 가려고 형제들과 헤어져 차에 오르려는데 바로 밑의 시동생이 “형수님 잠깐만요”하며 나를 부르는 것이었다. “집에 가실 때 뭐라도 사가세요.”하며 10만 원짜리 수표 한 장을 내미는게 아닌가.

남편의 사업도 어렵고 해서 형편이 좋지 못했을 것은 알고 있었겠지만 거기까지 생각하고 있는 줄은 몰랐다. 순간 나는 너무 당황해서 선뜻 받지도 못하고 있는데 어서 가라며 차안으로 떠민다. 나는 변변하게 고맙다는 인사도 못한 채 차에 올랐다.
그 돈을 받아들고 친정에 가면서 막내이면서 엄마에게 걱정만 끼치고 있는 딸이 되어버린 자신에게 조금이나마 위안을 준 시동생의 마음 씀씀이가 돈보다 훨씬 고마웠다.

그날 오후 아버지께서 좋아하시는 복숭아와 엄마가 필요하실만한 것 몇 가지를 사가지고 친정에 들러보니 나이 드신 엄마가 딸들 오면 차려줄 음식들을 챙기시느라 그야말로 혼자 땀을 뻘뻘 흘리시고 있었다.

당시 엄마의 연세가 어느덧 칠순이 훨씬 넘어계시던 때인데도 당신 손수 살림을 하시다보니 시집에 먼저 들러 찾아올 딸, 사위, 손주들 챙기시는 손길 하나하나 모두 엄마의 차지였고, 그나마 몇 시간이라도 가까운 내가 먼저 달려가, 오히려 시집에서는 아랫동서들 있어 느긋했던 내가 두 손 걷어붙이고 안부는 뒷전이고 일부터 해야 했다.

그날도 가보니 녹두 부침을 하신다고 여기저기 잔뜩 늘어놓으시고는 마음만 바쁘시지 빨리 일도 못하시다보니 아직 부쳐야할 분량이 가득 남아 있었다.
나는 우선 손부터 씻고 부랴부랴 부침을 부치기 시작했는데 그만 급한 마음에 기름이 아직 남은 팬에서 뒤집다가 기름이 그대로 내 팔에 튀어버리고 말았다.
순식간에 일어난 일이라 피할 길도 없이 그만 손등과 팔에 화상을 입고 말았는데 그래도 남은 일을 마무리하려고 열심히 다 부치고 나니 그제야 욱신욱신 쑤기기도 하고 부풀어 올라 물집이 생기기 시작했다.

다행히 저녁이 되자 한의대를 나온 조카가 도착해서 우선 화기부터 빼야한다며 침으로도 화기를 빼는 방법이 있다고 다리 여기저기에 침을 놓아주는 것이었다. 녹두부침 부치다가 그만 화상을 입은 모양새도 모양새였지만 침까지 맞고 누워있으니 사람 사는 것이 쉬운 일이 하나도 없지 싶었다.

다음날 집에 돌아와 그 후 상처가 아물 때까지 십여일을 고생하며 지내야 했지만 내손으로 엄마를 도와 언니들 친정 왔다 가는데 엄마 마음 섭섭하지 않으시게 음식도 싸줄 수 있었으니 화상 입은 것쯤이야 싶은 생각이 들었다.

이제 나이 드셔 더 이상 두 분만 사실 수 없다며 작년겨울 큰 형부께서 당신 집으로 모셨으니 이제 언니집이 친정이 된 셈이다.
올 추석에는 급하지 않게 미리미리 내 손으로 준비한 녹두부침 넉넉히 부쳐가지고 큰언니네 집으로 갈 수 있는 한가위가 되었으면 하고 바램으로 한가위를 기다려본다.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