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사회에 대응하는 서울시 교통정책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5.10.26. 00:00

수정일 2005.10.26. 00:00

조회 897


26일 시정개발연구원 대회의실에서 개최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은 지난 26일 동연구원 대회의실에서 ‘고령사회에 대응하는 서울시 교통정책에 관한 기초연구’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하였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신해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부연구위원의 주제발표와 정연찬 서울시 교통계획과장, 김성수 서울대 교수 등 7명이 토론자로 참석한 가운데 고령화, 저출산 현상에 따른 통행량 변화, 고령자의 요구사항 파악, 관련 교통정책 추진계획 구축 등 고령사회에 대응하는 교통정책과 관련 광범위한 논의가 있었다.

주제발표자로 나선 이신해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현재 수도권 거주 65세 이상 고령자의 통행 발생률은 비 고령자에 비해 매우 낮지만, 우리보다 먼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미국의 경우 고령자의 통행 발생률이 급격히 떨어지지 않고 있다”면서 “향후 고령자의 통행욕구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고령자 통행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직업이 있는 고령자의 경우 통행 발생률이 비 고령자와 같거나 높게 나타나 고령자의 취업률이 높아지면 통행량도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65세 이상 고령자의 주 통행수단은 보행과 버스

특히 이 박사는 65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 보행통행량이 증가하는 한편 그들이 선호하는 대중교통수단은 지하철보다 버스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더불어 고령자의 원활한 통행을 위해 횡단보도 복원과 고령자 신체특성을 고려한 횡단 신호 도입, 쉽고 정확한 버스 안내체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신해 박사는 2020년 이후면 65세가 되는 현재 50세 이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장기적인 교통정책으로 경제적 지원보다 보행환경 개선 등 대중교통서비스 개선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더 많았다고 말했다.

한편 이신해 박사는 “고령사회에 대응하는 교통정책으로 보행과 버스를 중심으로 교통수단을 구축하고 교통시설은 정류장과 도시철도역과 같은 대중교통시설, 횡단과 보도를 위한 보행시설, 안내시설 등을 중심으로 하는 한편 면허제도와 재원 마련 중심으로 제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이서울뉴스 / 권양옥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