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자원회수시설 공동 이용키로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5.10.06. 00:00
자원회수시설 공동 이용 물꼬 터.. 간접영향권지역 주민 대상 지원 확대 서울시와 강남자원회수시설 주민지원협의체가 자원회수시설 공동이용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현재 서울시에 있는 자원회수시설은 양천, 노원, 강남, 마포 등 4곳, 이 중 지난 6월 광역화 시설로 가동을 시작한 마포자원회수시설이 마포구, 중구, 용산구, 고양시 덕양구 등 4개 구의 환경폐기물을 소각하고 있는데 반해 양천, 노원, 강남 자원회수시설은 하루 가동률이 21%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그동안 서울시는 자원회수시설 여유용량을 이웃 자치구와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해 주민지원협의체와의 대화를 계속해왔고, 그 결과 강남자원회수시설 주변지역 주민들이 가장 먼저 공동이용을 추진키로 합의한 것이다. 서울시 목영만 환경국장은 “그동안 반대해오던 주민들이 마음을 열고 서울시정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해준 것에 감사드린다. 지역 주민들에게는 적정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앞으로 공동이용 합의가 이루어지면 간접영향권지역 주민들에게는 난방비 지원이 현재 50%에서 70%로 확대된다. 또, 아파트관리비, 임대아파트 임대료, 주거환경개선 사업비와 지역 주민의 고용증대 등이 지원될 예정이다. 시는 강남주민지원협의체와 공동이용 추진을 위한 협약 체결로 지역 주민들과의 상호 신뢰가 회복됐다고 보고, 올해 안으로 공동 이용이 가능하도록 구체적인 주민 지원방안에 대한 긴밀한 논의를 계속해 나갈 방침이다. 이를 뒷받침할 조례개정도 오는 10일부터 개회되는 시의회 임시회에 상정중이다. 이번 주민지원협의체와의 합의는 1991년 소각정책 도입 이래 지지부진했던 자원회수시설 공동이용의 물꼬를 틀 수 있는 모범적인 선례가 될 전망이다. 자원회수시설 공동이용이 달성되면 현재 21% 미만에 불과한 자원회수시설의 안정적 운영뿐만 아니라, 오는 2022년경 매립이 종료될 것으로 예정된 수도권매립지의 수명이 연장돼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기반이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하이서울뉴스 / 차현주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