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는 서울” 9월 4일 서울광장서 개막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4.08.26. 00:00
■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월 평균 독서량 0.9권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월 평균 독서량 0.9권. 이는 미국 6.6권, 일본 6.1권, 프랑스 5.9권에
비해 독서량이 현저하게 부족한 양이다. 이번 ‘책 읽는 서울’은 창의력과 상상력이 21세기의 핵심적 경제자원인 시대에 창의력과 상상력의 보고인
‘책’이 위기를 맞고 있는 현실에 대한 자구책 마련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책 읽는 서울 개막행사는 오는 9월 4일 서울광장에서 개최되는데 이날 개막식에서 ‘책 읽는 서울’ 개막 선언과 취지 및 비전이 발표된다. 또 부대행사로 책 나눔 장터, 책 만들기 체험 이벤트, 목판인쇄 체험 이벤트, 책 관련 전시회, 책 선물 릴레이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 ■ 공공도서관 중심으로 책 읽기 관련 프로그램 운영
서울문화재단은 책 읽는 서울 개막식 이후에도 서울시내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시민들이 책과 가까워질 수
있는 다양한 행사를 마련하고 있다. 또 서울지역공공도서관협의회와 공동으로 오는 10월 5일 세종문화회관 컨퍼런스룸에서는 ‘서울의 독서문화
활성화를 위한 세미나’가 개최된다. ■ 10월 28일 폐막행사에서 독서왕 등 시상식 개최 한편 10월 28일에는 서울시청 후생동 강당에서 ‘책 읽는 서울’ 행사 폐막식을 갖는다. 아울러 폐막행사 이후부터 서울문화재단은 책 읽는 서울 독서수첩 공모를 통해 분기별로 책 읽는 어린이, 책 읽는 청소년, 책 읽는 직장인, 책 읽는 가족 등 다양한 대상에 대한 독서 시상 제도를 통해 책 읽는 문화를 통해 책 읽는 문화를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서울문화재단은 ‘책 읽는 서울’ 자문위원들의 추천 기초예술서 시리즈를 지속적으로 소개해 책 읽기를 단순한 독후감 쓰기가 아닌 토론을 겸한 독서토론회 및 시 암송대회 등 다양한 기초예술 진흥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발전시킬 전망이다. 이와 관련 서울문화재단 유인촌 대표는 “이번 우리 서울문화재단이 기획한 책 읽는 서울은 공공도서관과 시민 사이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한편 복합문화센터로서의 지역 도서관 역할을 모색하는 것을 비롯 기초예술에 대한 관심 환기를 꾀하는데 큰 의미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
| ||||||
하이서울뉴스 / 권양옥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