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1호선 가장 높고, 6호선 최저”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4.05.17. 00:00
이같은 수치는 지난 2003년 한해동안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이 서울 지하철 역사의 환경실태 파악을 위해 1∼8호선 지하역사와
승강장, 매표소, 환승통로 등에 대해 미세먼지와 라돈농도를 조사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호선별로는 1-3-2-7-6호선 순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1·8호선 라돈 기준치 모두 합격
(피코큐리는 라돈 등 방사선을 측정하는 단위로 1큐리는 라돈 1g이 1초동안 방출하는 방사능의 양. 피코큐리는 1조분의 1큐리를 말한다.) 노선별로는 3호선 지하역사 승강장이 2.13pCi/L로 다소 높았고 8호선 매표소가 0.95pCi/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준치를 초과한 곳은 2호선 동대문운동장, 3호선 충무로, 4호선 남태령, 5호선 서대문ㆍ 청구ㆍ광화문, 6호선 고려대, 7호선
하계ㆍ노원ㆍ광릉 등 10개 역사의 승강장과 매표소 중에는 유일하게 4호선 충무로역이, 환승통로는 4ㆍ5호선 동대문운동장역 등 모두
12곳. 무색무취의 기체인 라돈은 공기를 통해 호흡기로 흡입되거나 음용수 섭취시 소화기로 흡수되어, 높은 라돈 농도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폐암이나 위암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김명희 원장은 "오는 30일부터는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 공기질 관리법’에 따라 지하생활 공간 공기에 대해 유지기준 5개 항목과 권고기준 5개 항목 등 총 10개 항목을 관리하게 되었다”고 말하며 “이번 조사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역사에 대해서는 2차 조사를 실시하는 등 지속적으로 지하역사의 공기질을 개선시켜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
하이서울뉴스 / 이현정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