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의 맛을 내자!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4.02.27. 00:00

수정일 2004.02.27. 00:00

조회 1,544

30-40대 이상의 세대라면 따뜻한 아랫목에 묵혀 둔 고약한(?) 메주 냄새 때문에 고생한 경험이 한 번쯤은 있을 법 하다. 어머니들이 가정에서 준비하는 대표적인 4계절용 장류인 간장, 된장, 고추장은 담기가 힘든(?) 만큼 우리 가정에선 없어선 안 될 소중한 우리의 음식이다

특히 우리 콩으로 만든 된장이 인체에 미치는 이로움이 속속 드러나면서 각 가정마다 된장찌개는 식탁의 단골손님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 서울시농업기술센터는 세곡동 전통음식상설교육장에서 오는 3일과 4일 양일에 걸쳐 '전통 장 담그는 법'에 대한 무료 공개강좌를 실시한다.
우리 식탁의 기본이자 대표적인 건강식인 된장. 바쁜 일상과 쉽게 구입해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식품의 범람으로 인해 가정에서 된장을 직접 담가먹는 일이 드믄 것이 현실이긴 하다. 그러나 이 번 기회에 된장 담그는 법을 제대로 배워보는 것도 건강한 상차림에 도움이 될 듯.

장을 이용한 다양한 음식만들기도 소개


전통 장 담그기 기능보유자인 조숙자(63세. 우리음식연구회 회장)씨는 조씨만의 특별한 장맛을 내는 비법을 이번 기회에 일반인에게 공개할 계획이다. 특히 연시 강의 방식으로 진행되는 교실은 전통 된장과 간장을 담그는 비법과 즉석쌈장 만들기 등 된장을 이용한 다양한 음식 만들기도 소개한다.

“바람직한 식생활 문화는 결국 건강한 식탁을 일컫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인 된장을 직접 만들어 먹는 것도 결국 가족의 건강을 책임지는 주부의 몫”이라고 말하는 조숙자씨는 이 날 강의를 통해 좋은 콩 선별 부터 시작해 된장 맛내기 까지 된장 담기에 필요한 모든 노하우를 공개할 예정이다.
또 조숙자씨는 우리 콩을 이용해 만든 된장과 건강의 상관관계를 부연설명하면서 강의를 진행하는 한편 '된장소스로 만든 치킨샐러드' 등 된장을 활용한 요리도 특별강연할 계획이다.

강좌 참가를 원하는 시민은 서둘러야 한다. 교육장에 선착순으로 참가하는 시민 3백명만 교육의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단 3일과 4일은 같은 내용으로 강의가 진행되므로 양일중 하루만 교육을 받으면 된다.

농업기술센터 농업조성팀 김영문 팀장은 “ 건강한 육체와 정신을 추구하는 웰빙족이 점차 늘어나면서 전통 음식에 대한 관심도 늘어나는 추세인 만큼 이번 강좌에도 많은 시민이 참여할 것 ”으로 보인다며 전년도에도 3백명 이상의 수강생이 몰려 전통음식에 대한 식지 않는 관심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전통 장 담그기 교육 일정

교육 내용 : 전통 된장ㆍ간장 담그는 법, 장을 이용한 음식 만들기
교육 일시 : 3월 3일(수), 4일(목) 10:30-12:30
교육 장소 : 장분야 전통음식 상설교육장(☎445-6667)
문 의 : 서울시 농업기술센터 (☎3462-5704, 3463-5959)



하이서울뉴스 / 권양옥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