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용차 요일제, 자율을 가장한 타율?
내손안에서울
발행일 2003.10.23. 00:00
이렇듯 서울의 교통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승용차 이용 억제가 불가피하다. 즉 타율억제가 필요하다는 말이다. 그런데 과연 우리 시민이 이것을 수용할 것인가 승용차의 역사가 일천한 우리나라는 아직도 운전대를 잡는 것을 큰 기쁨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출퇴근길에 도로를 가득 메우고 있는 나홀로 차량이 그것을 웅변하고 있다. 그래서 먼저 자율적으로 해보자는 것이다. 월요일부터 금요일 중 하루를 정해서 차를 쉬게 하자는 것이다. 물론 내 생활 패턴에 맞춰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새벽이나 늦은 밤은 상관이 없다. 급한 용무가 생기면 ‘나 오늘 못 지켜요’라는 팻말을 달면 된다. 이것은 자기와의 약속이다. 강제가 아니기 때문에 안 지킨다 한들 무어라 할 사람 없고, 과태료도 물론 없다. 그러나 지킨다면 25%의 차량이 줄어드는 효과가 나온다. 내가 하루를 쉼으로써 나를 포함한 모든 사람이 함께 편해지는 것이다. 그런데 이게 말로만 해서 될 일인가 가능하다면 선진 대도시들이 왜 강제정책을 쓰겠는가 그래서 서울시가 행정지도에 나서는 것이다.
캠페인을 벌이고, 인센티브를 걸고, 소속 직원들을 독려하는 것이 그 때문이다. 그런데 이것 때문에 자율이 아니고 타율이라면, 그것마저
하지 말자고 하면, 결국 승용차 자율요일제를 하지 말자는 것이나 다름없다. 우리에게 꼭 필요한 일이 자율이냐 타율이냐 논쟁 때문에
그만두어야 한다면 참으로 어리석은 일이 아닐 수 없다. 이것은 마치 수해복구를 위한 자원봉사자를 모집하면서, 모집에 타율성이 있다고
문제를 삼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승용차 자율요일제가 실패하면 우리도 다른 대도시처럼 타율 억제로 가는 수 밖에 없다. 어렵고 힘든 일이지만 성공한다면 세계적인 모범사례가 될 것이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적극적인 행정지도는 물론, 지하철과 버스 등 대중교통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만드는 일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승용차 자율요일제는 교통뿐 아니라 환경과 에너지와 건강까지 살리는 1석4조의 일이라 할 수 있다. 성공과 정착을 위해서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함께 언론의 전폭적인 협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