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동이 낙원동이 된 '창지개명' 사연
발행일 2015.04.23. 14:16
두바퀴로 떠나는 서울여행 (39) 소박함과 정겨움이 넘치는 어르신들의 천국, 낙원동 거리
주말이면 많은 시민들과 외국 관광객들이 찾아오는 종로 인사동 거리 건너편엔 또 다른 분위기의 북적이는 거리가 있는 데 바로 낙원동이다. 찻길 하나 사이로 인사동과 다른 점이 있다면 중장년의 아저씨들이 많이 보인다는 점과, 음식 값이 '여기가 서울 맞아?' 할 정도로 싸다는 것이다. 나 또한 주로 인사동에만 갔었는데 돌아가신 아버지를 통해 낙원동을 알게 되었고 종로에 갈 적마다 꼭 들르게 된 동네가 되었다.

낙원동 거리 식당의 가격은 정말 낙원스럽다
아버지는 낙원동에선 단돈 만 원이면 이발을 하고 식사 한 그릇 하거나, 친구와 푸진 안주에 술 한 잔 걸칠 수 있다고 자랑처럼 말하곤 했다. 술 한 잔 걸치면 흔히 하던 아버지의 과장된 허풍이겠거니하고 안 믿었는데 직접 가보니 요즘 아이들 말로 '백퍼' 사실이었다. 4천 원 하는 이발소가 낙원동 거리 일대에 10곳이 넘고, 2천 원짜리 선지 해장국이 있는가 하면, 한우 소고기 국밥, 돼지고기 순대국밥, 동태찌개, 닭칼국수 등이 5천 원을 넘지 않았다. 낙원상가 옆 '추억찾기'라는 추억 돋는 이름의 카페에서 파는 커피와 차는 모두 2000원. 아버지가 자랑할 만한 했다.

탑골공원 담장을 따라 있는 점집들
낙원동에 들어서 맨 먼저 보이는 탑골공원 담장을 따라 가다보면 5천 원에 궁합, 사주, 택일, 해몽, 승진, 합격 등 별별 인간사를 다 봐준다는 천막 점집들이 눈길을 끈다. 사진을 찍으며 밖에 잠시 서있어 보니 나이 지긋한 점집 할아버지는 손님과 거의 인생 상담에 가까운 얘기를 나누고 있었다. 공원 담장을 지나 골목으로 들어서면 자식들 키우고 대학 보내느라 주머니가 팍팍하고, 세상 빠르기가 버거운 어르신들의 낙원이 본격적으로 펼쳐진다.

10곳이 넘는 낙원동 이발소를 찾아다녀보았지만, 이발 비용은 모두 3500원이다
낙원동엔 가게 이름만큼이나 소박하면서 정겨운 분위기를 지닌 식당들이 많은데 가격도 저렴하지만 음식들이 '집밥' 같다는 게 참 좋다. 양껏 먹을 수 있어 배도 부르고, 어머니의 손맛이 느껴져 마음도 푸근해진다. 이 거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이발소다. 이발소의 상징 삼색등이 빙빙 돌아가는 가게 앞에는 하나같이 '이발 3500원, 염색 5000원'이라고 쓴 가격표가 나붙어 있다. 이 '착한 가격' 때문에 주머니 사정이 여의치 않은 어르신들이 지하철을 갈아타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고 멀리서도 낙원동 거리를 찾아온다.

해질녘이되면 퇴근길 중장년 아저씨들이 속속 모여 든다
어스름한 저녁 무렵이 되면 포장마차의 안주인이 능숙한 솜씨로 만들어내는 김치찜, 생선구이가 철판에서 지글지글 익어가는 소리가 나면 퇴근길 중장년층 아저씨들이 속속 모여든다. 유난히 이곳엔 동네이름에서 따온 '낙원'이라는 이름의 식당과 업소 간판이 많다. 넉넉하지는 않아도 어르신들을 정답게 품어주고 보듬어 주는 것이 정말 '낙원'의 모습과 닮아 보였다.

서울 최초의 지하마트였던 45년 전통의 낙원시장
지금이야 이렇게 어르신들 천국으로 불리는 값싼 동네지만 알고 보니 낙원동엔 화려한 역사가 숨어 있었다. 1960년대 낙원동엔 '최고급 주상복합건물'인 낙원상가아파트가 세워졌다. 한 건물 안에 상가와 시장·영화관·아파트가 들어간 복합건물은 당시 시민들에게 생소한 개념이었다. 재래시장이 지하로 들어간 것도 전에 없던 발상이었다. 45년이 넘은 서울 최초의 지하 마트는 아직도 동네 손님들을 맞고 있다. 당시 낙원상가아파트는 삼풍 삼원아파트, 외인아파트와 함께 서울에서 가장 호화로운 아파트로 손꼽혔단다.

조선시대의 큰 사찰인 원각사, 흥복사가 있었던 탑골공원
낙원동 제1의 명소는 역시 탑골공원이다. 누구나 들어오라는 듯 늘 대문이 활짝 열려있는 이 공원은 크지는 않지만 오랜 역사 속 이야기와 사연들이 담겨있다. 구한말 고종 때인 1897년(광무1) 탁지부(지금의 재무부)에 고문으로 와 있었던 영국인 J.M. 브라운이 설계하여 파고다 공원이라는 이름의 서구식 공원으로 꾸민 서울 최초의 근린공원이다. 3·1운동 당시 많은 시민들이 이곳에서 만세를 외쳤으며, 당시 학생대표가 독립선언서를 낭독했던 팔각정도 잘 보존돼 있다. 높이 12m의 국보 제2호 원각사지(圓覺寺址十層石塔) 10층 석탑도 빼놓을 수 없다. 이 석탑은 조선 전기 도성 내 3대 사찰 가운데 하나인 사찰 원각사에 있던 탑이다. 전체를 대리석으로 건조하였는데, 수려하고도 기교적인 면은 손꼽히는 걸작품이라고 한다. 기단부터 탑신부 꼭대기까지 온갖 동식물과 인물상이 빈틈없이 조각되어 현란하기 그지없다. 요즘엔 탑을 보호하기 위해 유리 보호각으로 감싸놓아 세부를 자세히 살필 수 없어 아쉽기도 했다.

유리 너머로 보이는 국보 원각사지 10층 석탑의 수려한 조각 실력
이렇게 지금의 탑골공원 자리는 고려시대에는 흥복사(興福寺)가, 조선 전기 세조 때(1464년)에는 원각사(圓覺寺)가 있던 명당자리다. 문득 공원 이름 앞에 붙어 있는 '탑골'의 유래는 무엇일까 궁금했다. '탑이 많은 고을이라서?' 유추하기 쉬운 순수 우리말의 특성대로였다. 흥복사, 원각사, 국보가 된 원각사지 10층 석탑 등 동네에 유명 사찰과 탑들이 많다보니 낙원동의 원래 이름은 사동(寺洞), 대사동(大寺洞), 탑사동, 탑동(塔洞)이라고 불리었다고 한다. 순수 우리말로 탑골이다.
그럼 탑골 혹은 탑동에서 무슨 사연으로 낙원동이란 이름으로 바뀌게 되었을까 궁금했다. 알고 보니 낙원동은 1914년 10월 1일 일제가 대대적인 행정구역개편을 하면서 새로 생겨난 동네 이름이었다. 일제는 서울의 당시 이름인 '한성'을 없애고 경성부(京城府)로 고치는 등, 한국인의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뀐 창씨개명처럼 우리의 산, 강, 지명을 일본식 이름으로 바꿨다. 이를 창지개명(創地改名)이라고 한다. 누구나 짐작할 수 있듯 한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말살하기 위해서였다. 부르기 쉽고 정겨운데다 마을의 문화와 특성이 잘 담겨있었던 우리 토박이 지명은 조선시대 한자 지명화됐다가, 일본 강점기에는 유래조차 짐작할 수 없는 엉뚱한 지명으로 변질된다.
낙원동 또한 일제가 동네 지명을 재편하면서 붙인 이름이다. 1894년(조선 31) 갑오개혁 당시 낙원동 일대는 교동(校洞), 어의동(於義洞), 한동(漢洞), 원동(園洞), 탑동(塔洞), 주동(紬洞) 지역이었다. 1914년 4월 1일 교동, 탑동, 어의동 각 일부와 한동, 원동을 병합하면서 시내 중앙의 낙원지라 할 만한 탑골공원에서 '낙(樂)'자를 따고, 이곳에 있던 원동(園洞)이라는 동리의 '원(園)'자를 따서 합성해 낙원동이 탄생하게 된다.

악기를 찾는 사람들이라면 꼭 들르는 낙원상가
서울시 시사편찬위원회가 발간한 '서울 옛 지명 되찾기 사업' 자료집에 따르면 동명과 가로명 등 모두 72건이 왜곡돼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만 이 정도인데 전국적으로 따지면 부지기수 일 것이다. 서울을 지나다 마주치는 낙원동의 탑골공원, 반포의 서래섬, 노량진의 노들섬, 상도동 장승배기역, 합정동 양화대교 등을 보면 정겨운 우리의 옛 지명을 그리워하고 잊지 않으려 애쓰는 마음이 느껴지곤 한다. 해방 혹은 광복을 맞은 지도 어언 70년, 옛 지명을 그리워하는 마음에서 한 걸음 더 해 우리 국토의 지명에 남아있는 일제 강점기 때 있던 '창지개명(創地改名)'의 흔적을 바로잡아야 하겠다. 시간이 너무 많이 흘러 그대로 쓰다 보면 그게 일본식 조어임에도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면서 그 자체로 생명력을 가진 지명이 되기 때문이다.
![]() |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