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변 은행열매 먹어도 될까?

내 손안에 서울

발행일 2014.11.26. 16:00

수정일 2014.11.26. 16:00

조회 2,478

은행줍는 아이들

서울 도로변, 주택가 은행 열매 잔류농약 불검출 '안전'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이 서울시내 은행나무 열매의 안전성을 조사했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납(평균 0.008ppm), 카드뮴(평균 0.000ppm) 등 중금속은 평균 기준치보다 낮은 극소량, 잔류농약은 검출되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 열매의 중금속 기준은 없지만 참깨와 백과의 기준을 적용하면 아주 안전한 수준이다.

이로써 중금속 안전성 문제가 제기된 지난 2012년부터 올해까지 3년간 실시한 도로변 은행 열매 중금속 검사는 모두 평균치 이하로 나타났다. 총 340건(누적) 검사에서 납은 평균 0.007ppm, 카드뮴은 평균 0.002ppm으로 극소량이었다.

 

■ 2014년 서울지역 가로수 유실수 열매의 안전성 검사 결과

(단위: mg/kg)
품목(검사건수) 시험항목 검사 결과(평균) 기준(유사기준)
은 행(75건) 중금속 납 0.000~0.146(0.008) ※참조
카드뮴 0.000~0.009(0.000)
잔류농약 불검출 -
감(4건) 중금속 납 불검출 0.1
카드뮴 불검출 0.05
잔류농약 불검출 -
모 과(1건) 중금속 납 불검출 0.1
카드뮴 불검출 0.05
잔류농약 불검출 -

※ 중금속 유사기준[식품공전 및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 참깨(견과종실류) : 납 0.3ppm, 카드뮴 0.2ppm이하

 - 한약재 백과(은행) : 납 5ppm, 카드뮴 0.3ppm이하

시는 다만 은행 열매에는 독성물질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익혀서 섭취해야 하며, 어른은 하루 10알 미만, 어린이는 2~3알 정도 이내로 섭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특히 올해는 가로수 농약 살포에 따른 시민불안감을 해소하고자 검사 대상과 검사 항목을 늘렸다. 기존 은행 열매에서 감, 모과까지 대상을 늘리고, 중금속(납, 카드뮴) 검사만 실시했던 것을 가로수에 살포하는 농약 25종을 포함한 잔류농약 검사를 추가했다.

이와 관련해 올해 처음으로 검사한 감, 모과에서는 중금속과 잔류농약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검사는 한남로, 어린이공원 등 서울시내 80개 지점에서 ▲은행 75개 ▲감 4개 ▲모과 1개를 채취해 9월 18일(목)부터 11월 5일(수)까지 실시했다.

#은행 #은행 농약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