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자료]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후 잠·삼·대·청 아파트 가격 급등」보도 관련
서울특별시 대변인
발행일 2025.02.28. 18:14
서울시청 본관
토지거래허가 해제 이후 부동산 실거래 데이터 분석 결과
◆ 잠·삼·대·청 아파트 거래 분석 결과,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직전 대비 거래량은 증가했으나 평균 거래가격은 오히려 하락해 전반적인 가격급등 현상은 확인되지 않음.
- 실거래 자료를 바탕으로 거래 동향 분석 결과, ※ 해제 전·후 14일 비교 분석
잠․삼․대․청 전체 아파트 거래량은 허가구역 해제 전(1.30~2.12) 41건 거래됐고 해제 후(2.13~2.26) 47건 거래되어 6건 증가하였음.
※ 거래량은 신고기한(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 미도래 거래량 추가 등으로 향후 변동될 수 있음
- 반면, 같은 기간 거래된 아파트 평균 가격은 해제 전·후 ㎡당 3100만 원에서 2955만 원으로 약 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조사’(한국부동산원 발표)는 실거래가격 외에 부동산중개업소 의견, 매물정보, 시세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참고한 표본가격으로 실거래가격이 아님.
※ 한국부동산원의 2025년 2월 4주(2.24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변동률
- 서울 0.10%. 동남권 0.36%, 서초구 0.26%, 강남구 0.38%, 송파구 0.58% 상승
▸ 전국 33,500호(서울시 약 5,000호)의 표본 아파트에 대한 ‘표본가격과 가격지수‘를 산정하여 가격지수의 변동률을 발표한 것으로, 서울시의 실거래신고 자료 분석 결과와 차이가 있음.
- 해제 이후 일부 아파트 가격이 상승한 사례가 있으나 하락한 사례도 함께 확인되고, 실질적 매수세 증가로 이어지지 않는 상황임.
-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집주인의 매도 희망가(호가)가 올라가고 있으나 매수자가 원하는 가격 격차가 커 실제로 거래로 이어지지 않음.
※ 담당부서 : 도시공간본부 토지관리과(☎ 2133-4662)
- 실거래 자료를 바탕으로 거래 동향 분석 결과, ※ 해제 전·후 14일 비교 분석
잠․삼․대․청 전체 아파트 거래량은 허가구역 해제 전(1.30~2.12) 41건 거래됐고 해제 후(2.13~2.26) 47건 거래되어 6건 증가하였음.
※ 거래량은 신고기한(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 미도래 거래량 추가 등으로 향후 변동될 수 있음
- 반면, 같은 기간 거래된 아파트 평균 가격은 해제 전·후 ㎡당 3100만 원에서 2955만 원으로 약 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조사’(한국부동산원 발표)는 실거래가격 외에 부동산중개업소 의견, 매물정보, 시세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참고한 표본가격으로 실거래가격이 아님.
※ 한국부동산원의 2025년 2월 4주(2.24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변동률
- 서울 0.10%. 동남권 0.36%, 서초구 0.26%, 강남구 0.38%, 송파구 0.58% 상승
▸ 전국 33,500호(서울시 약 5,000호)의 표본 아파트에 대한 ‘표본가격과 가격지수‘를 산정하여 가격지수의 변동률을 발표한 것으로, 서울시의 실거래신고 자료 분석 결과와 차이가 있음.
- 해제 이후 일부 아파트 가격이 상승한 사례가 있으나 하락한 사례도 함께 확인되고, 실질적 매수세 증가로 이어지지 않는 상황임.
-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집주인의 매도 희망가(호가)가 올라가고 있으나 매수자가 원하는 가격 격차가 커 실제로 거래로 이어지지 않음.
※ 담당부서 : 도시공간본부 토지관리과(☎ 2133-4662)

아파트가격 상승 및 하락 사례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