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림을 그리거나 편지를 쓸 수 있도록 종이와 연필, 색연필이 준비돼 있다. ©김도연
- 그림을 그리는 한 시민을 만날 수 있었다. ©김도연
해치와 함께 떠나는 서울 주요 공원 5곳! 미션 완료하고 선물까지
발행일 2024.12.13. 10:06
서울의 주요 공원에서 12월 22일까지 ‘해치의 겨울 정원여행’을 진행한다. ©김도연
차가운 겨울바람에 손발이 꽁꽁 얼 정도다. 하지만 집에만 있기에는 아쉽다. ‘어디 가볼 만한 곳이 없을까?’ 생각했다면 서울의 공원으로 겨울 나들이를 추천한다. 서울시는 시민들이 공원에서 특별한 겨울을 맞이할 수 있도록 12월 5일부터 22일까지 ‘해치의 겨울 정원여행’을 준비했다. 서울의 대표 공원 5곳에서 간단한 미션을 완료하면 서울시 마스코트인 귀여운 ‘해치’ 키링을 받을 수 있다.
‘해치의 겨울 정원여행’ 미션 완료 시 해치 키링을 받을 수 있다. ⓒ김도연
행사 장소인 공원은 ▴서울숲 ▴남산공원 ▴보라매공원 ▴월드컵공원 ▴서울식물원 총 5곳이다. 그중 성동구에 있는 서울숲에 먼저 다녀왔다. 서울에는 자랑할 만한 공원이 많지만, 그중에서도 서울숲이 특별한 이유는 한강과 중랑천이 만나는 곳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 크기도 어마어마한데 서울숲의 면적은 약 48만 994㎡에 달하며, 시청광장의 30배 정도 크기이다. 도심 속에서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공간인 셈이다.
‘해치의 겨울 정원여행’이 펼쳐지는 행사 장소 중 한 곳인 서울숲 ©김도연
평지로 이뤄진 서울숲은 낙엽이 떨어진 길을 가볍게 산책하기에도 좋다. ©김도연
‘해치의 겨울 정원여행’ 미션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서울숲 커뮤니티센터는 서울숲 내 중앙 연못가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따뜻한 실내 공간으로 공원을 산책하다가 쉬어 가기에도 좋고, 잠시 앉아 이야기를 나누기에도 좋은, 동네 주민들의 사랑방이다. 다만 처음 방문하는 시민이라면 찾아오는 길을 헤맬 수 있으니 안내 지도를 참고하거나 주소를 검색한 후 방문하는 것도 좋겠다.
서울숲 커뮤니티센터는 서울숲 내 중앙 연못가에 위치해 있다. ©김도연
서울숲 커뮤니티센터에서 ‘해치의 겨울 정원여행’ 미션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김도연
연못을 바라보고 앉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돼 있다. ©김도연
책을 켜켜이 쌓아 만든 크리스마스 장식이 돋보인다. ©김도연
해치 키링을 받기 위해 이곳을 방문한 시민이 완수해야 할 미션은 간단하다. 12월 5일부터 12월 15일까지 운영하는 ‘서울숲 속 그림책방’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즐기고, 커뮤니티센터 입구의 직원에게 요청하면 받을 수 있다. ☞ [관련 기사] 겨울 동화가 펼쳐진다! 서울숲 속 그림책방·산타요정 빌리지
참고로 5개 공원은 특색에 맞게 각기 다른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서울숲은 크게 세 가지 프로그램으로 ①체험 프로그램(그림 그리기, 편지 쓰기), ②공연 프로그램(그림책 콘서트, 합창 콘서트), ③전시 프로그램(크리스마스 관련 도서 전시) 등이 있다. 일부 프로그램의 경우, 사전 예약이 필요하니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에서 ‘서울숲 속 그림책방’을 검색해 보자.
참고로 5개 공원은 특색에 맞게 각기 다른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서울숲은 크게 세 가지 프로그램으로 ①체험 프로그램(그림 그리기, 편지 쓰기), ②공연 프로그램(그림책 콘서트, 합창 콘서트), ③전시 프로그램(크리스마스 관련 도서 전시) 등이 있다. 일부 프로그램의 경우, 사전 예약이 필요하니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에서 ‘서울숲 속 그림책방’을 검색해 보자.
12월 5일부터 15일까지 운영하는 ‘서울숲 속 그림책방’ ©김도연
미션 완료 후 커뮤니티센터 입구의 현장 직원에게 요청하면 해치 키링을 받을 수 있다. ©김도연
이곳을 찾은 모자가 나란히 앉아 책을 읽고 있다. ©김도연
“엄마, 나 이 책 읽어주세요.”
엄마와 함께 이곳을 찾은 아이가 커뮤니티센터 내 마련된 책장에서 그림책 하나를 꺼내 들었다. 아이는 곧장 엄마에게 달려가 책을 읽어달라고 사랑스러운 표정을 짓는다. 커뮤니티센터 내부는 크리스마스 분위기에 맞게 따뜻하게 꾸며져 이곳을 찾은 시민들이 편안히 쉴 수 있는 공간이 되고 있었다. 또한 공간 곳곳에 빈백과 탁자, 의자 등이 마련되어 있어 누구라도 편안히 그림책을 볼 수 있다.
엄마와 함께 이곳을 찾은 아이가 커뮤니티센터 내 마련된 책장에서 그림책 하나를 꺼내 들었다. 아이는 곧장 엄마에게 달려가 책을 읽어달라고 사랑스러운 표정을 짓는다. 커뮤니티센터 내부는 크리스마스 분위기에 맞게 따뜻하게 꾸며져 이곳을 찾은 시민들이 편안히 쉴 수 있는 공간이 되고 있었다. 또한 공간 곳곳에 빈백과 탁자, 의자 등이 마련되어 있어 누구라도 편안히 그림책을 볼 수 있다.
책장에 있는 그림책을 자유롭게 꺼내 볼 수 있다. ©김도연
서울숲 커뮤니티센터에는 아이들과 휴식하며 즐길 수 있는 그림책 도서관이 마련돼 있다. ©김도연
한편 공간 한쪽에는 그림을 그리거나 편지를 쓸 수 있도록 종이와 연필, 색연필이 준비돼 있었다. 이날 오후 3시부터는 ‘오늘도 너를 사랑해’, ‘감정 호텔’ 등 그림책과 클래식 음악을 기반으로 한 스토리텔링 책방 콘서트가 진행되기도 했다.
단순한 콘서트가 아니라, 그림책을 마치 구연동화 선생님처럼 생동감 있게 낭독하는 해설자와 책 내용에 맞춰 음악을 멋지게 연주하는 피아니스트, 바이올리니스트가 함께 참여해 초등학생 아이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단순한 콘서트가 아니라, 그림책을 마치 구연동화 선생님처럼 생동감 있게 낭독하는 해설자와 책 내용에 맞춰 음악을 멋지게 연주하는 피아니스트, 바이올리니스트가 함께 참여해 초등학생 아이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그림책과 클래식 음악을 기반으로 한 스토리텔링 책방 콘서트 ©김도연
이외에도 세계 유명 그림책 전시가 진행되고 있어 볼거리를 더했다. 5개 공원에서 펼쳐지는 ‘해치의 겨울 정원여행’은 12월 22일까지 진행되며, 각 공원에서 키링 4종을 모두 모으면 추첨을 통해 60cm 대형 해치 인형과 키링판을 증정할 계획이라고 하니 관심을 가져보자.
12월 20일부터 내년 2월 2일까지 남산 팔각정에 전시되는 ‘빛의 연하장’을 배경으로 사진 찍고, 인스타그램에 #정원도시서울 #서울의공원 #해치의여행을 해시태그하면 된다. 추운 겨울, 따뜻한 집 안도 좋지만 기지개를 켜고 몸을 일으켜 해치와 함께 서울의 공원을 여행해 보는 건 어떨까.
12월 20일부터 내년 2월 2일까지 남산 팔각정에 전시되는 ‘빛의 연하장’을 배경으로 사진 찍고, 인스타그램에 #정원도시서울 #서울의공원 #해치의여행을 해시태그하면 된다. 추운 겨울, 따뜻한 집 안도 좋지만 기지개를 켜고 몸을 일으켜 해치와 함께 서울의 공원을 여행해 보는 건 어떨까.
5개 공원에서 펼쳐지는 ‘해치의 겨울 정원여행’은 12월 22일까지 진행된다. ©김도연
해치의 겨울 정원여행 & 빛의 연하장 ©서울시
2024 서울숲 겨울축제 ‘서울숲 속 그림책방’
○ 기간 : 2024. 12. 5.~12. 15. 11:00~17:00
○ 위치 : 서울시 성동구 뚝섬로 273 서울숲 커뮤니티센터
○ 교통 : 지하철 수인분당선 서울숲역 3·4번 출구에서 도보 5분
○ 서울의 공원 누리집
○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 바로가기
○ 문의 : 동부공원여가센터 02-460-2943
○ 위치 : 서울시 성동구 뚝섬로 273 서울숲 커뮤니티센터
○ 교통 : 지하철 수인분당선 서울숲역 3·4번 출구에서 도보 5분
○ 서울의 공원 누리집
○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 바로가기
○ 문의 : 동부공원여가센터 02-460-2943
해치의 겨울 정원여행
○ 일정 : 2024. 12. 5. ~ 12. 22. (프로그램별 상이)
※ 일부 프로그램은 선착순 예약 접수
○ 기념품 : 키링 4종 (프로그램별 상이)
○ 서울의공원 누리집
○ 장소 및 문의
- 서울숲 : 02-460-2943
- 남산공원 : 02-3783-5998
- 보라매공원 : 02-300-5574, 02-2181-1177
- 월드컵공원 : 02-300-5579
- 서울식물원 : 02-2104-9782
※ 일부 프로그램은 선착순 예약 접수
○ 기념품 : 키링 4종 (프로그램별 상이)
○ 서울의공원 누리집
○ 장소 및 문의
- 서울숲 : 02-460-2943
- 남산공원 : 02-3783-5998
- 보라매공원 : 02-300-5574, 02-2181-1177
- 월드컵공원 : 02-300-5579
- 서울식물원 : 02-2104-9782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