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이런 동네가? '삼태기마을'을 아시나요?

시민기자 조수봉

발행일 2021.06.24. 10:10

수정일 2021.06.24. 15:41

조회 3,264

‘삼태기마을’ 사람들은 “스스로 그리고 다 함께 3대가 건강한 우리 동네”라고 말한다. 마을 뒤 그리 높지 않은 천장산이 살포시 에워싸고 있으며 산 정상에서 내려다본 모습이 삼태기를 닮았다 하여 오래전부터 ‘삼태기마을’이라 불리어 왔다. 이 마을은 서울의 숨겨진 보물 같은 곳이다. 단층집들로 구성된 마을 풍경이 소담스럽다. 또 하나의 자랑거리는 마을을 감싸고 있는 ‘삼태기 숲’이다. 서울국유림관리소가 탐방객들을 위하여 개방하고 있는 이 숲은 마을 사람들뿐만 아니라 찾아오는 모든 이들에게 건강을 준다. 여기는 옛 지번상 성북구 상월곡동 24번지 일대이다.

‘삼태기마을’은 전체가 꽃밭이다. 어느 집이라도 대문 앞 또는 담벼락을 따라 화분 한 두어 개쯤 내어놓지 않은 집이 없다. 마을 사람들의 성정이 엿보이는 부분이다. 멸실된 2개를 빼더라도 각각 제목이 붙여진 20개의 친근감 있는 마을길 벽화 또한 볼거리다. 이 벽화들은 ‘저층주거지 환경개선사업’의 일환으로 시행한 ‘온(溫)동네 프로젝트’의 일부분이다. ‘삼태기마을’을 방문해 초입의 마을 그림지도를 따라 조용한 골목길을 거닐며 내놓은 꽃 화분들과 벽화가 있는 풍경을 둘러보고 ‘삼태기 숲’에 들러 시원한 바람과 솔 내음을 맡는다면 최고의 힐링이 될 것이다.    
깨끗하고 조용한 ‘삼태기마을’의 모습 ⓒ조수봉
깨끗하고 조용한 ‘삼태기마을’의 모습 ⓒ조수봉
지나는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담장을 낮춘 ‘삼태기마을’의 어느 집 마당 ⓒ조수봉
지나는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담장을 낮춘 ‘삼태기마을’의 어느 집 마당 ⓒ조수봉
‘삼태기 숲’ 담장을 따라 조성된 ‘맨발 지압 길’ ⓒ조수봉
‘삼태기 숲’ 담장을 따라 조성된 ‘맨발 지압 길’ ⓒ조수봉
‘삼태기마을’은 집집마다 화분들을 내놓아 마을 전체가 정겹다 ⓒ조수봉
‘삼태기마을’은 집집마다 화분들을 내놓아 마을 전체가 정겹다 ⓒ조수봉
‘삼태기마을’의 보고(寶庫), 성북정보도서관과 성북다문화도서관 ⓒ조수봉
‘삼태기마을’의 보고(寶庫), 성북정보도서관과 성북다문화도서관 ⓒ조수봉
마을 사람들의 추억을 들려주는 벽화#04 ‘슈퍼 할머니’ ⓒ조수봉
마을 사람들의 추억을 들려주는 벽화#04 ‘슈퍼 할머니’ ⓒ조수봉
건물 벽을 장식한 벽화#06 ‘달걀해’ ⓒ조수봉
건물 벽을 장식한 벽화#06 ‘달걀해’ ⓒ조수봉
집집마다 웃음꽃, 이야기꽃이 피기를 기원하는 벽화#07 ‘꽃 피었네, 활짝’ ⓒ조수봉
집집마다 웃음꽃, 이야기꽃이 피기를 기원하는 벽화#07 ‘꽃 피었네, 활짝’ ⓒ조수봉
마을 갈림길에 그려진 그림#08 ‘웃음으로 시작해해해’ ⓒ조수봉
마을 갈림길에 그려진 그림#08 ‘웃음으로 시작해해해’ ⓒ조수봉
담벼락의 화분과 어우러진 벽화#09 ‘닮아서 아름다운 것들’ ⓒ조수봉
담벼락의 화분과 어우러진 벽화#09 ‘닮아서 아름다운 것들’ ⓒ조수봉
가파른 비탈길에 그려진 그림#10 ‘비탈길 주의해해해’ ⓒ조수봉
가파른 비탈길에 그려진 그림#10 ‘비탈길 주의해해해’ ⓒ조수봉
성북정보도서관을 마주한 주택 담벼락의 벽화#11 ‘도서관 앞, 조용해해해’ ⓒ조수봉
성북정보도서관을 마주한 주택 담벼락의 벽화#11 ‘도서관 앞, 조용해해해’ ⓒ조수봉
재미있는 표현의 벽화#12 ‘왕관 쓰는 날’ ⓒ조수봉
재미있는 표현의 벽화#12 ‘왕관 쓰는 날’ ⓒ조수봉
어느 집 대문 옆의 벽화#13 ‘숲의 소리’ ⓒ조수봉
어느 집 대문 옆의 벽화#13 ‘숲의 소리’ ⓒ조수봉
골목길 담벼락에 선보인 악보, 벽화#14 ‘도시가 숨을 쉰다’ ⓒ조수봉
골목길 담벼락에 선보인 악보, 벽화#14 ‘도시가 숨을 쉰다’ ⓒ조수봉
자연스레 이정표 역할을 하는 벽화#15 ‘도서관 가는 길’ ⓒ조수봉
자연스레 이정표 역할을 하는 벽화#15 ‘도서관 가는 길’ ⓒ조수봉
마을을 지나는 찻길에 그려진, 그림#16 ‘언제나 안전해해해’ ⓒ조수봉
마을을 지나는 찻길에 그려진, 그림#16 ‘언제나 안전해해해’ ⓒ조수봉
호젓한 골목길에 감성을 더해 주는 벽화#17 ‘겨울에도 나무는 만세’ ⓒ조수봉
호젓한 골목길에 감성을 더해 주는 벽화#17 ‘겨울에도 나무는 만세’ ⓒ조수봉
마을 중심부 담벼락에 그려진 벽화#18 ‘삼태기마을이 좋아’ ⓒ조수봉
마을 중심부 담벼락에 그려진 벽화#18 ‘삼태기마을이 좋아’ ⓒ조수봉
이정표 역할을 하는 벽화#19 ‘서울국유림 앞에서’ ⓒ조수봉
이정표 역할을 하는 벽화#19 ‘서울국유림 앞에서’ ⓒ조수봉
벽화#21 ‘새의 소리’ ⓒ조수봉
벽화#21 ‘새의 소리’ ⓒ조수봉
벽화#22 ‘친구에게’ ⓒ조수봉
벽화#22 ‘친구에게’ ⓒ조수봉
‘삼태기마을’과 인접한 서울국유림관리소 ⓒ조수봉
‘삼태기마을’과 인접한 서울국유림관리소 ⓒ조수봉
각종 수서생물들을 관찰할 수 있는 서울국유림관리소 청사 앞의 연못 ⓒ조수봉
각종 수서생물들을 관찰할 수 있는 서울국유림관리소 청사 앞의 연못 ⓒ조수봉
힐링의 장소로 손꼽히는 ‘삼태기 숲’의 정자 ⓒ조수봉
힐링의 장소로 손꼽히는 ‘삼태기 숲’의 정자 ⓒ조수봉
특히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삼태기 숲’의 출렁다리 ⓒ조수봉
특히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삼태기 숲’의 출렁다리 ⓒ조수봉
‘삼태기 숲’ 내의 ‘유아숲체험교육장’으로 활용하는 ‘숲속의 집’ ⓒ조수봉
‘삼태기 숲’ 내의 ‘유아숲체험교육장’으로 활용하는 ‘숲속의 집’ ⓒ조수봉
‘삼태기 숲’ 내의 ‘유아숲체험교육장’ 전경 ⓒ조수봉
‘삼태기 숲’ 내의 ‘유아숲체험교육장’ 전경 ⓒ조수봉
‘삼태기마을’에서는 데크길을 따라 청량근린공원과도 연결이 된다 ⓒ조수봉
‘삼태기마을’에서는 데크길을 따라 청량근린공원과도 연결이 된다 ⓒ조수봉

■ 삼태기마을

○ 위치 : 서울 성북구 화랑로18길(상월곡동 24번지) 일대
○ 교통 : 지하철6호선 상월곡역 4번 출구(2분 소요)

■ 서울국유림관리소(삼태기 숲)

○ 위치 : 서울 성북구 화랑로18가길 30
○ 교통 : 지하철6호선 상월곡역 4번 출구(4분 소요)
○ 개방시간 : 주중(월~금) 09:00~17:00

시민기자 조수봉

역동적인 서울의 모습을 알리는 서울시민기자가 되겠습니다.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