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소문이 자자해! ‘글빛도서관’ 인기 비결은?

시민기자 최은영

발행일 2021.06.04. 13:00

수정일 2021.06.07. 18:33

조회 4,659

증강현실그림책, 코딩만들기, 가상도서관 등 다양한 ICT 프로그램 체험해보세요!
성북구 '글빛도서관'이 지난 5월27일 정식 개관했다.
성북구 '글빛도서관'이 지난 5월27일 정식 개관했다. ⓒ최은영

성북구에 북카페 못지 않은 도서관이 문을 열었다. 그동안 코로나 상황에 따라 지난 12월 임시 개관해 부분적으로 운영해오던 성북미디어문화마루 개관과 함께 글빛도서관이 지난 5월27일 정식 개관을 알렸다. 
글빛도서관 1층 자료실1 모습
글빛도서관 1층 자료실1 모습 ⓒ최은영
글빛도서관 2층의 서가 모습
글빛도서관 2층의 서가 모습 ⓒ최은영

글빛도서관(총 면적 923,67㎡) 1층에는 아이들이 읽을 수 있는 그림책, 아동도서와 일반도서 등이, 2층에는 성인들을 위한 여러 장르의 책과 복사, 출력 서비스 등을 구비하고 있다. 두 곳에서 열람과 대출 모두 가능하며, 1, 2층을 연결하는 독서계단에서는 도서관 행사가 열리거나 자율 독서를 할 수 있다. 
도서관 행사를 하거나 자율 독서를 할 수 있는 독서 계단
도서관 행사를 하거나 자율 독서를 할 수 있는 독서계단 ⓒ최은영

직접 도서관에 방문해 자료실을 둘러보았다. 은은하면서 밝은 조명 아래 북카페 못지 않은 멋있는 인테리어가 눈길을 끌었다. 창가에는 노트북을 이용하며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이 조성되었다. 곳곳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아기자기한 의자도 비치되어 있다. 개관식 전인 부분 개관 때부터 SNS로 입소문이 나 유명해진 이유를 알만 했다. 
멋진 인테리어로 소문난 글빛도서관 열람실
멋진 인테리어로 소문난 글빛도서관 열람실 ⓒ최은영
노트북 이용자를 위한 창가 공간
노트북 이용자를 위한 창가 공간 ⓒ최은영

글빛도서관에는 인상적이고 멋진 인테리어만 있는 게 아니다. 다른 도서관과 차별화되는 특징이 있는데, 바로 첨단 정보통신기술(ICT)과 독서문화예술이 융합된 디지털미디어를 지속적으로 제공한다는 점이다. 증강현실 그림책 체험, 스트리밍 서비스 도서 구축, 코딩 만들기 프로그램, 글빛 온라인 가상도서관 체험 등이 대표적인 ICT 프로그램이다. 
증강현실 그림책 체험 공간
증강현실 그림책 체험 공간 ⓒ글빛도서관

‘증강현실’이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로, 증강현실 그림책 체험전은 오는 6월11일까지 독서계단과 자료실1에서 열린다. 비치된 태블릿PC로 ‘아기 올빼미!’, ‘친구할까?’, ‘꼬마 곰 무르’ 등의 도서 화면을 터치하고 문지르고 간질이면 그림책과 주인공이 반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테블릿pc 화면을  문지르면  그림책과 주인공이 반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테블릿pc 화면을 문지르면 그림책과 주인공이 반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최은영

도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체험하려면 핸드폰에서 ‘더책’ 어플을 다운받고, NFC활성화 기능을 켜고 책 위에 핸드폰을 가져다 놓으면 된다. 도서의 내용이 음성으로 자동 재생된다. 눈이 피곤하거나 편안한 자세에서 책의 내용을 듣고 싶을 때, 간단한 다른 일을 하면서 도서 내용을 알고 싶을 때 활용하면 좋을 것 같다. 
다양한 도서를 구비하고 있는 글빛도서관
다양한 도서를 구비하고 있는 글빛도서관 ⓒ최은영

코딩 만들기 프로그램으로는 ‘오조봇이랑 우리마을 코딩’, ‘글빛, 축구 코딩’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오조봇이랑 우리마을 코딩’ 프로그램은 초등학생 대상으로 5월 14일 진행됐는데, 코딩봇인 ‘오조봇’을 통해 내가 살고 있는 동네 지도를 그려 동네 곳곳을 누비며 여행해 보는 알찬 시간을 가졌다. 이어서 5월 27일에는 ‘글빛, 축구 코딩’ 이라는 ICT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로봇 ‘알버트’를 직접 조종하는 축구 게임 프로그램으로 코딩도 배우고 팀별 협동심을 키우는 시간이 되었다. 
‘오조봇이랑 우리마을 코딩’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생들
‘오조봇이랑 우리마을 코딩’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생들 ⓒ최은영

현재 접수중인 ICT 프로그램으로는 ‘우리동네 serendipity!'가 있다. 동네를 배우고 탐방하고, 기록해 내 손으로 직접 동네 지도를 만들고 내가 만든 지도 위에서 코딩로봇으로 동네 곳곳을 여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초등학생 대상으로 6월 4일까지 접수를 받고 A팀과 B팀이 6월 19일까지 매주 금요일이나 토요일 3회차를 진행한다. 
글빛도서관 ICT 프로그램, ‘우리동네 serendipity!'
글빛도서관 ICT 프로그램, ‘우리동네 serendipity!' ⓒ글빛도서관

글빛도서관은 코로나19 상황에서 도서관에 잘 오지 못하는 회원과 시민들을 위해 ‘가상도서관’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바로 글빛도서관 개관기념 ICT체험 ‘GEULBIT LIBRARY’ 프로그램이다. 6세 이상 시민이면 누구나 수시로 참가할 수 있으며, 온라인 가상 글빛도서관에서 도서관, 전시 등을 관람할 수 있다. 
온라인 가상 글빛도서관 모형
온라인 가상 글빛도서관 모형 ⓒ최은영

온라인 가상도서관 ‘GEULBIT LIBRARY’를 관람하는 방법은 핸드폰에 ‘제페토’ 앱을 설치한 후 계정을 생성하고 GEULBIT LIBRARY에 입장한다. 도서관 견학하기와 도서관 전시 관람 등을 할 수 있는데, 테마 전시인 5.18 관련 전시와 이벤트가 열리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글빛도서관 홈페이지(https://www.sblib.seoul.kr/gbitlib/index.do)를 참고하면 된다. 
온라인 가상 글빛도서관
온라인 가상 글빛도서관 ⓒ글빛도서관

이번 개관과 더불어 여러 가지 다양한 시민참여 프로그램도 진행 중이다. 그 중 성북도서관 홈페이지에 회원가입을 한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미라클 독서 챌린지’와 ‘2021년 성북구 한책 추진단 모집’ 프로그램이 있다.
글빛도서관에서 열리고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들
글빛도서관에서 열리고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들 ⓒ최은영

‘미라클 독서 챌린지’는 글빛도서관 이용자들을 위해 다함께 독서 습관을 향상하는 캠페인이다. 하루 10분부터 매일 독서까지 자기 능력 개발을 위한 챌린지로, 5월 27일부터 연말까지 성북구립도서관 회원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마을 관련 자료, 도서를 보기 좋은 곳에 배치하고 있는 글빛도서관
마을 관련 자료, 도서를 보기 좋은 곳에 배치하고 있는 글빛도서관 ⓒ최은영

'2021년 성북구 한책 추진단'은 청소년부터 어르신까지 다양한 분들이 토론을 통해 한 해동안 함께 읽을 책을 선정하고, 책을 통해 이웃과 진솔한 이야기를 나누는 프로그램이다. 2021년 3월 2일부터 9월 30일까지 모집하며, 성북구의 한 책을 직접 뽑는 투표권을 가진다. 온라인과 성북구립도서관에 방문하여 접수할 수 있다. 
글빛도서관에 있는 휴식과 열람을 위한 공간들
글빛도서관에 있는 휴식과 열람을 위한 공간들 ⓒ최은영

규모는 작지만 멋진 인테리어와 첨단 ICT 프로그램으로 여타의 도서관과 차별화되는 글빛도서관의 이모저모를 살펴봤다. 코로나 시기에 도서관에 오지 못하는 이용자를 위한 온라인 가상 도서관까지 열심히 준비해 선보였고, 다양한 이벤트도 감동적이었다. 글자로, 소리로, 지식으로 빛나는 복합문화공간, 글빛도서관에서 서울 시민들도 많은 것을 얻어 함께 빛났으면 좋겠다.  

■ 글빛도서관

○ 위치 : 서울 성북구 길음로7길 20
○ 가는법 : 길음역 하차 7번 출구 이용 (도보 10분)
○ 운영시간 : 매일 09:00 ~ 18:00
○ 휴무일 : 매주 월요일 및 법정공휴일
○ 홈페이지 : https://www.sblib.seoul.kr/gbitlib/index.do
○ 문의 : 02-6956-0559

시민기자 최은영

서울의 매력과 시민들에게 다양하고 필요한 정보를 알리는 서울시민기자가 되고 싶습니다 !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