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박하도다! 크라우드 펀딩이 주목한 잇템들
발행일 2021.06.01. 15:55
기술에 날개를 달다_ SBA크라우드 펀딩형 지원사업 ①
요즘 크라우드 펀딩이 핫하다. 크라우드 펀딩이란 후원, 기부, 대출, 투자 등을 목적으로 대중에게 온라인 플랫폼에서 자금을 모으는 것을 의미한다. SBA(서울산업진흥원)에서는 국내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들과 연계해 '기술상용화 지원사업(크라우드 펀딩형)'을 진행 중에 있다.
크라우드 펀딩 목표금액 달성 시 국내 최대 4,000만원, 해외 최대 5,000만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고, 지원 종료 후에는 유통, 판로, 금융 등의 지원도 받는다.
지금 여기! 성공적인 크라우드 펀딩으로 기술상용화 지원사업(크라우드펀딩형)을 받은 업체들이 있다. 기업과 소비자가 모두 윈윈한 사례가 궁금하지 않은가? 녹음이 짙어지는 5월 말 어느 날, 루토닉스, 이디연, 테디코리아의 각 대표 및 담당자와의 인터뷰에 임하였다. (기업 소개 순서 : 가나다순 )
크라우드 펀딩 목표금액 달성 시 국내 최대 4,000만원, 해외 최대 5,000만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고, 지원 종료 후에는 유통, 판로, 금융 등의 지원도 받는다.
지금 여기! 성공적인 크라우드 펀딩으로 기술상용화 지원사업(크라우드펀딩형)을 받은 업체들이 있다. 기업과 소비자가 모두 윈윈한 사례가 궁금하지 않은가? 녹음이 짙어지는 5월 말 어느 날, 루토닉스, 이디연, 테디코리아의 각 대표 및 담당자와의 인터뷰에 임하였다. (기업 소개 순서 : 가나다순 )
패치 성분을 피부에 부착하여 침투시키는 앱플 흡수방법(TDDS)을 활용한 루토닉스의 'Peatch' ⓒ 루토닉스
잇템 1 _두피케어 디바이스 'Peatch'
두피의 중요성을 알고 있는가? 두피 역시 얼굴처럼 노화가 진행되며 탄력을 잃게 된다고 한다. 루토닉스는 SBA 서울 어워드 최종 선정브랜드에 꼽히는 등 우수한 아이디어와 기술력이 돋보이는 두피케어 기업이다. 특히 2019년에 뜨거운 관심을 받은 볼륨부스터 상품은 펀딩 달성 1,500%의 성과를 거두었다. 한편, 기기와 앰플을 일체형으로 구현했음 좋겠다는 고객들의 피드백에 힘입어, 2020년 새 제품을 내세웠는데 이것이 'Peatch'이다. 유래는 둥근 복숭아 모양에서 연상된 'Peach'와 붙이는 타입 'Patch'를 더해 이름이 붙여진 것이라고 한다. 패치를 피부에 부착 후 패치 성분을 피부에 침투시키는 앱플 흡수방법(TDDS)을 활용한 디바이스는, 한 손에 들어오는 작은 크기, 귀여운 복숭아 모양이어서 눈에 띈다.
루토닉스는 SBA 서울 어워드 최종 선정브랜드에 꼽히는 등 우수한 성과를 거두었다. ⓒ 루토닉스
[인터뷰] 집에서 어렵지 않게 두피 케어를! / 루토닉스 정대권 대표
이 작은 제품이 과연 진정 두피에 안정감을 줄 수 있을까? 루토닉스의 정대권 대표(이하 정 대표)에게 'Peatch'의 강점을 물어보았다. 정 대표는 '사용성'이 'Peatch'의 최대 강점이라고 밝혔으며, 이 제품은 와이어리스 형태이자 98g의 무게로 누구나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병원 방문 빈도가 줄어들고 홈케어가 떴는데, 집에서 어렵지 않게 효율적으로 관리받을 수 있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았다.
정 대표는 펀딩의 제일 중요한 요소가 소비자 입장에서의 베네핏이라고 밝혔다. 소비자 입장에서 생각한 본연의 니즈를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시장조사시 인터뷰를 통해 바른 인사이트를 찾는 것이 펀딩의 기본이라는 것이다. 언급했듯, 루토닉스는 SBA 서울어워드에 최종 선정된 기업인데, 정 대표는 이 경험이 매우 영광이었으며 앞으로도 기술상용화 지원사업에 추가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한다. 다만, 브랜드 확장 전략, 앞으로의 고민을 나누는 자리 등 서울시와의 추가적인 교류의 장이 더더욱 마련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밝혔다.
루토닉스는 뷰티와 기술을 접목한 경쟁력있는 제품을 통해 전세계 시장에 발을 넓힐 비전도 갖고 있다. 우수한 특허 기술로서 인정받고, 해외 유명 바이어사들과 교류로 이어질 때 특히 보람을 느낀다고 한다. 앞으로 스마트헬스케어 제품도 계속 연구할 예정이라고 하니 루토닉스의 성장이 더욱 기대된다.
정 대표는 펀딩의 제일 중요한 요소가 소비자 입장에서의 베네핏이라고 밝혔다. 소비자 입장에서 생각한 본연의 니즈를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시장조사시 인터뷰를 통해 바른 인사이트를 찾는 것이 펀딩의 기본이라는 것이다. 언급했듯, 루토닉스는 SBA 서울어워드에 최종 선정된 기업인데, 정 대표는 이 경험이 매우 영광이었으며 앞으로도 기술상용화 지원사업에 추가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한다. 다만, 브랜드 확장 전략, 앞으로의 고민을 나누는 자리 등 서울시와의 추가적인 교류의 장이 더더욱 마련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밝혔다.
루토닉스는 뷰티와 기술을 접목한 경쟁력있는 제품을 통해 전세계 시장에 발을 넓힐 비전도 갖고 있다. 우수한 특허 기술로서 인정받고, 해외 유명 바이어사들과 교류로 이어질 때 특히 보람을 느낀다고 한다. 앞으로 스마트헬스케어 제품도 계속 연구할 예정이라고 하니 루토닉스의 성장이 더욱 기대된다.
4가지 향을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바꿀 수 있는 이디연의 스마트 디퓨저 ⓒ 이디연
잇템 2 _기분에 따라 향을 바꾼다 '스마트 디퓨저'
코로나19로 집콕이 늘어나면서, 홈데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로 가장 많이 찾는 홈데코 용품은 디퓨저라고 한다. 이유는 쾌적한 환경을 위해서라고 한다. 그런데, 4가지 향을 기분에 따라 바꿀 수 있고, 무드등 역할을 하는 디퓨저가 존재한다! 이디연의 스마트 디퓨저는 산뜻한 녹음의 향인 '서울숲 향', 장미 향의 '부케 향' 등 총 4가지 향을 한 디퓨저에서 만날 수 있으며, 빛을 확산시키는 내부 구조로 분위기 있는 조명 효과를 느낄 수 있다. 조작법도 간편한 것이 장점이다. 앞으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게, 공기 살균 기능을 추가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디연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코르크 스피커 총 7회 펀딩을 모두 성공한 경험이 있다. ⓒ 이디연
[인터뷰] 음향 회사? 사실은 '뷰티&헬스'가 주력! / 이디연 이연택 대표
이디연은 뷰티&헬스 분야의 제품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자체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이용해 가치 창출 중이다. 그런데, 이디연을 음향 관련 회사로 보는 이들도 있다고 한다. 이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이디연의 ‘코르크 스피커’가 총 7회 펀딩에서 모두 성공을 거둔 기록도 있었기에 그럴 것이다. 총 7회 펀딩을 모두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니 참 놀라웠다.
산업디자인과를 전공한 이연택 대표 (이하 이 대표)는 디자인 스터디, 직장에서 제품을 연구하던 도중 크라우드 펀딩을 우연히 접했다고 한다. 처음에 호기심으로 알아본 크라우드 펀딩을 알아가다 보니 고객들과 소통 과정이 즐거워 더 관심을 가졌다고 한다.
크라우드 펀딩이 5년전부터 지속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점도 높이 평가하였다.
한편, 이 대표는 SBA 기술상용화 지원사업에 지원하는 이들에게, 크라우드 펀딩에 있어 상품 경쟁력보다 '마케팅'이 제일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진행 과정 동안 펀딩 참여자와 지속적인 업데이트, 소통을 잘 거치면 성공 확률이 높아진다고도 밝혔다. 이외에도, 사람들의 반응을 살피고, 새 소식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하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일상생활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것들을 디자인으로 승화해 제품을 만들겠다는 취지가 앞으로도 성공적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산업디자인과를 전공한 이연택 대표 (이하 이 대표)는 디자인 스터디, 직장에서 제품을 연구하던 도중 크라우드 펀딩을 우연히 접했다고 한다. 처음에 호기심으로 알아본 크라우드 펀딩을 알아가다 보니 고객들과 소통 과정이 즐거워 더 관심을 가졌다고 한다.
크라우드 펀딩이 5년전부터 지속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점도 높이 평가하였다.
한편, 이 대표는 SBA 기술상용화 지원사업에 지원하는 이들에게, 크라우드 펀딩에 있어 상품 경쟁력보다 '마케팅'이 제일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진행 과정 동안 펀딩 참여자와 지속적인 업데이트, 소통을 잘 거치면 성공 확률이 높아진다고도 밝혔다. 이외에도, 사람들의 반응을 살피고, 새 소식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하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일상생활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것들을 디자인으로 승화해 제품을 만들겠다는 취지가 앞으로도 성공적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조명혁신'이라 불릴 만큼 신박한 아이디어의 테디코리아의 안세스 조명 ⓒ 테디코리아
잇템 3_구부러지는 조명? '안세스 조명'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표적으로 자리잡은 생활양식 중 하나가 '언택트'이다. 따라서 동영상 플랫폼 사이트와 SNS 이용시간도 크게 증가하였다고 한다. 언택트 시대. 오히려 시선이 1:1로 집중되는 경우가 많기에 조명과 선명도가 중요시 된다. 테디코리아의 안세스 조명은 가히 '조명혁신'이라고 말할 정도로 개성있고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다. 라방(라이브 방송의 줄임말), 온라인 수업, 비대면 면접, SNS 인생샷 업로드 등 다양한 플랫폼에 적용 가능하며, 캠핑용으로도 적합하다고 한다. 뉴트럴, 쿨, 웜의 세가지 조명으로 상황에 맞게 즐길 수 있으며, 발열이 적어 델 염려도 거의 없다. 무엇보다도 조명을 구부릴 수 있다는 것이 매우 흥미로웠다. 이외에도 자석이 있어 냉장고 등 붙여서 활용할 수 있어 거치가 편리하고, 선명도가 높아 사진 찍을 때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높다.

안세스 조명 사용 후 밝아진 실외 모습 ⓒ 테디코리아
[인터뷰] “빛으로 세상을 아름답고, 편하게!”/테디코리아 김정윤 연구소장
안세스 조명으로 성공적인 크라우드 펀딩 성적을 낸 테디코리아. 2017년 2월 설립된 테디코리아는 불량 시장, 중국 저가 제품 등이 널리 깔린 조명시장에서, 국내 기술력으로 특허등록을 하여, 국산품의 우수성을 알리고 싶어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했다고 한다.
김정윤 소장(이하 김 소장)은 예상보다 크라우드 펀딩 반응이 잘 됐고, 회사와 제품이 널리 알려져지는 등 목표를 달성하였다고 밝혔다. 그러나, 얼리어답터들이 많은 와디즈와 달리, 네이버 오픈몰 등 다른 판매사이트에서는 광고 없이 홍보가 덜 되는 점이 아쉽다고 하였다. SBA 기술상용화 지원사업 모집에 있어서는, 기술도 중요하지만 기술을 어떻게 표현하느냐가 관건이라고 하였다. 이를 위해 마케팅 툴을 잘 활용해야 하며, 여러 상품과 맞서 경쟁력을 가지려면 광고나 상세페이지를 탄탄하게 구축해야한다고 덧붙였다.
회사 소개글 중 "빛으로 세상을 아름답고, 행복하고, 편하게 만들자"라는 멘트가 눈에 띄었다. 그만큼 빛은 삶과 뗄 수 없고, 세상을 환하게 비춰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테디코리아는 앞으로 피부탄력 및 보습 강화, 빛으로 심리치료가 가능한 LED 마스크 제품도 연구중에 있다. 특히 헬스케어와 빛을 연관짓는 제품을 위해 고군분투 중이라고 한다.
김정윤 소장(이하 김 소장)은 예상보다 크라우드 펀딩 반응이 잘 됐고, 회사와 제품이 널리 알려져지는 등 목표를 달성하였다고 밝혔다. 그러나, 얼리어답터들이 많은 와디즈와 달리, 네이버 오픈몰 등 다른 판매사이트에서는 광고 없이 홍보가 덜 되는 점이 아쉽다고 하였다. SBA 기술상용화 지원사업 모집에 있어서는, 기술도 중요하지만 기술을 어떻게 표현하느냐가 관건이라고 하였다. 이를 위해 마케팅 툴을 잘 활용해야 하며, 여러 상품과 맞서 경쟁력을 가지려면 광고나 상세페이지를 탄탄하게 구축해야한다고 덧붙였다.
회사 소개글 중 "빛으로 세상을 아름답고, 행복하고, 편하게 만들자"라는 멘트가 눈에 띄었다. 그만큼 빛은 삶과 뗄 수 없고, 세상을 환하게 비춰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테디코리아는 앞으로 피부탄력 및 보습 강화, 빛으로 심리치료가 가능한 LED 마스크 제품도 연구중에 있다. 특히 헬스케어와 빛을 연관짓는 제품을 위해 고군분투 중이라고 한다.
이처럼, 크라우드 펀딩에 성공한 기업들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신박한 아이디어, 마케팅, 지속적인 홍보와 교류가 어우러진다면 또 좋은 상품이 만들어질 것이다. 이는 기업과 소비자가 모두 윈윈(win-win)할 수 있어 선한 영향력으로 이어질 것이다. 6월 23일까지, SBA에서 2021년도 서울형 R&D 지원사업인 크라우드 펀딩형 2차 공고를 지원받고 있는 상황이다.
총 지원규모는 60억원 내외로, 국내·외 크라우드펀딩 플랫폼과 연계해서 가능성이 큰 기업에게 R&D 자금을 지원하고 시장성을 검증할 예정이라고 하니 관심있는 기업이라면 지원해보자. 이에 대한 자세한 공지사항은 SBA서울R&D지원센터 홈페이지를 참조하길 바란다.
2021년 기술상용화 지원사업(크라우드펀딩형)
ㅇ 대상기업: 기술개발 역량을 보유한 서울소재 법인 및 개인사업자
ㅇ 대상과제: 기술개발 중, (시)제품, 베타버전까지 도출된 단계의 과제
ㅇ 지원내용: 과제당 최대 5천만원 지원 + α(잠재소비자 구매액)
※ 잠재소비자 구매액은 크라우드펀딩액을 의미함 (2020년도 평균 1.8천만원, 최대 2억 원 펀딩 성공)
ㅇ 기업부담금: 기업 자기부담금 및 기술료 없음
ㅇ 모집기간: 2021. 5. 6.(목) ~ 6. 23.(수) 18:00
ㅇ 신청방법: 온라인 접수(http://seoul.rnbd.kr) 및 설문조사(http://naver.me/5L3n3fPz)
ㅇ 문의 : 서울산업진흥원 R&D사업팀 02-2222-3839, 3837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