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백제박물관'에서 콘서트와 영화감상도 즐겨요

시민기자 정성우

발행일 2021.04.19. 10:24

수정일 2021.04.19. 17:28

조회 436

서울은 2천 년 전 백제가 건국하면서 도읍으로 삼았던 유구한 역사의 도시이다. 그래서 서울 풍납동토성, 몽촌토성, 석촌동고분군 등 국가 사적들이 지금도 송파구 일대에 남아 있다. 1980년대에는 몽촌토성과 석촌동고분군을 발굴조사하여 수천 점의 유물을 수습하였고, 1997년부터는 풍납동토성을 연차 발굴조사하여 수만 점의 유물을 수습하였다. 

귀중한 문화유산을 종합적으로 조사·연구·관리하면서 교육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한성백제박물관'을 건립하게 되었다.
세 차례에 걸친 성벽 축조 과정을 보여 주고 있는 풍납토성 성벽 단면도 사진
세 차례에 걸친 성벽 축조 과정을 보여 주고 있는 풍납토성 성벽 단면도 ⓒ정성우

서울 시립박물관인 한성백제박물관은 송파구 위례성대로 71(올림픽 공원 내)에 위치하고 있다. 지하 3층 지상 2층으로 되어 있다. 지하 3층은 수장공간, 지하 2층은 교육공간, 지하 1층은 기획전시실과 상설 제1전시실이 있다. 지상 1층에는 상설 제1전시실과 제2전시실이 있다.

지하 1층에는 거대한 풍납토성 성벽 단면이 전시되어 있어 방문객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이 전시물은 백제 초기 왕성인 풍납토성(사적 제11호)의 단면을 떼어내 보존처리한 뒤 한성백제박물관으로 옮겨 온 것이다.  성벽 단면은 세 차례에 걸친 성벽 축조 과정을 보여 주고 있다. 
상설전시실에 전시된 백제시대 배 모형 사진
상설전시실에 전시된 백제시대 배 모형 ⓒ정성우

상설전시실은 총 3개의 전시실로 구성되며, 제1전시실은 문명 초기 서울의 선사문화상과 백제국이 마한의 소국에서 성장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제2전시실은 서울을 터전으로 나라를 세워 5백 년의 역사를 일군 백제 한성시대의 다채로운 문화를 유물, 모형, 영상 등을 통해 소개한다. 특히 백제의 배 모형을 통해 백제 왕성의 면모와 바다를 무대로 활동한 해상강국 백제의 기상을 느낄 수 있다. 

제3전시실은 한강 유역을 둘러싸고 백제·고구려·신라 삼국간의 치열한 각축전과 한강에 남겨진 고구려·신라문화를 소개하고, 한성 함락 후 웅진(공주)과 사비(부여)로 터전을 옮겨 중흥기를 맞아 문화의 꽃은 피운 백제의 다양한 문화가 펼쳐진다.
 코로나19로 한산한 제3전시실
코로나19로 한산한 제3전시실 ⓒ정성우

한성백제박물관은 시민 및 관람객들에게 다양한 소재를 주제로 정기 및 비정기 ‘테마전시’를 연중 개최한다. 2월 24일부터 8월 30일까지 ‘석촌 100년 전 백제의 기억’ 사진 테마전이 진행 중이다.
‘석촌 100년 전 백제의 기억’ 사진 테마전
‘석촌 100년 전 백제의 기억’ 사진 테마전 ⓒ정성우

한성백제박물관은 이러한 역사적인 유물 전시 이외도 음악, 영화 등 다양한 문화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시민을 위한 무료 음악회가 4월 10일부터 5월 29일까지 총 4회 한성백제홀 강당에서 개최된다. 선착순으로 70명까지 입장이 가능하다. 

제1회는 4월 10일 토요일 오후에 개최되었다. 제2부는 4월 24일, 제3부는 5월 15일, 제4부는 5월 29일 오후에 개최될 예정이다. 이 음악회는 문화예술단체의 기부 공연으로 클래식, 오페라, 오케스트라, 국악 등 다양한 공연으로 시민에게 아름다운 선율과 감동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음악회가 개최되는 한성백제홀 입구
음악회가 개최되는 한성백제홀 입구 ⓒ정성우

한성백제 문화시네마도 빼놓을 수 없는 박물관의 주요 행사이다. 마지막 주 수요일 오후 6시 30분부터 상영된다. 상영 장소는 한성백제홀이며 선착순 80명까지 무료입장이다. 문화행사 및 박물관 운영 등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한성백제박물관 홈페이지(https://baekjemuseum.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4월 10일 개최된 제1회 음악회
4월 10일 개최된 제1회 음악회 ⓒ정성우

많은 시민들이 코로나19로 마음이 움츠려지는 시기이다. 올림픽 공원 내에 있는 한성백제박물관에서 서울 2천 년의 역사와 함께 음악과 영화를 감상을 하면서 누적된 피로감을 해소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한성백제박물관과 인접해 있는 ‘서울 올림픽 조각공원’에서는 세계 유명 조각가들의 다양한 조각 작품들을 넓은 잔디광장과 숲속에서 감상할 수 있다. 
박물관 앞에 있는 잔디광장에 전시된 조각물 사진
한성백제박물관 앞에 있는 잔디 광장에 전시된 조각물 ⓒ정성우

■ 한성백제박물관

○ 위치 : 서울 송파구 위례성대로 71
○ 운영시간 : 09:00 ~ 19:00
○ 휴무일 : 매주 월요일, 1월 1일
○ 입장료 : 무료
홈페이지
○ 문의 : 02-2152-5800

시민기자 정성우

정이 넘치고 행복한 시민을 위한 정책, 행사 및 미담사례를 전하는 시민기자가 되고싶습니다.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