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 봤더라? 인기 드라마 '킹덤' 촬영지에 가다
발행일 2021.03.05. 11:23
'창경궁', 인기 콘텐츠 촬영지로 알려지며 세계적 관심을 받다!
서울 4대 궁궐 중 하나인 창경궁은 세종에게 왕위를 물려준 태종이 살았던 수강궁에 몇몇 전각을 보태어 세운 궁궐이다. 창덕궁의 별궁으로 지어진 만큼 당시에는 창덕궁과 경계 없이 하나의 궁궐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고 다시 재건했으나 그 이후에도 계속해서 수차례 화재를 겪기도 한 곳이다. 1909년, 동물원과 식물원이 들어서고 공원으로 꾸며지면서 이름도 '창경원'으로 잠시 바뀌기도 했다. 하지만, 1983년 창경궁에 있던 동·식물원이 서울대공원으로 옮겨지고, 창경궁은 다시 궁궐의 형태로 복원됐다.
창경궁은 경복궁이나 창덕궁에 비해 전각의 수가 많지 않고, 규모도 아담하지만 주변 자연환경과 어우러져 세련된 아름다움이 가득한 곳이다. 그 아름다움이 특히 세계적으로 더욱 관심을 받게 된 건, 바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 '넷플릭스'의 인기 콘텐츠 '킹덤' 촬영지로 알려지면서부터다.
창덕궁과 함께 창경궁 곳곳이 드라마 '킹덤' 촬영 장소로 알려지면서, 드라마 열풍만큼 많은 시민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통명전’ 등 드라마 속 장면을 생생하게 떠올릴 수 있는 명소들이 많다 보니, 여유 있게 천천히 구경하며 걸어봐도 좋다. 이외에도 우리 조상들의 과학적 지혜가 담긴 관천대, 풍기대 등 보물로 지정된 과학 문화재들도 곳곳에 숨어 있다. 초등학생 자녀들이 있다면, 창경궁에 숨은 과학문화재 보물들을 같이 찾아봐도 재미있는 추억이 될 듯하다.
이제 걷기 좋은 3월이다. 이번 주말엔 고궁 나들이를 한 번 해보면 어떨까. 창경궁부터 인접한 창덕궁까지 천천히 걷다 보면 어느새 조선시대 궁궐의 아름다움에 푹 빠지는 시간이 될 것 같다.
창경궁은 경복궁이나 창덕궁에 비해 전각의 수가 많지 않고, 규모도 아담하지만 주변 자연환경과 어우러져 세련된 아름다움이 가득한 곳이다. 그 아름다움이 특히 세계적으로 더욱 관심을 받게 된 건, 바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 '넷플릭스'의 인기 콘텐츠 '킹덤' 촬영지로 알려지면서부터다.
창덕궁과 함께 창경궁 곳곳이 드라마 '킹덤' 촬영 장소로 알려지면서, 드라마 열풍만큼 많은 시민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통명전’ 등 드라마 속 장면을 생생하게 떠올릴 수 있는 명소들이 많다 보니, 여유 있게 천천히 구경하며 걸어봐도 좋다. 이외에도 우리 조상들의 과학적 지혜가 담긴 관천대, 풍기대 등 보물로 지정된 과학 문화재들도 곳곳에 숨어 있다. 초등학생 자녀들이 있다면, 창경궁에 숨은 과학문화재 보물들을 같이 찾아봐도 재미있는 추억이 될 듯하다.
이제 걷기 좋은 3월이다. 이번 주말엔 고궁 나들이를 한 번 해보면 어떨까. 창경궁부터 인접한 창덕궁까지 천천히 걷다 보면 어느새 조선시대 궁궐의 아름다움에 푹 빠지는 시간이 될 것 같다.

창경궁의 정문인 '홍화문' 전경. 다른 궁궐의 정문이 남향인 것과 달리 동향을 하고 있다. ⓒ박우영

홍화문을 들어서니 옥천교와 명정문이 보인다. 옥천교는 창경궁에서 가장 오래된 건조물이다. ⓒ박우영

옥천교는 궁궐 앞에 흐르는 명당수인 금천을 건너는 돌다리로 보물 386호로 지정된 문화재이기도 하다. ⓒ박우영

명정문을 지나니, 명정전이 보인다. 창경궁의 으뜸 전각인 '명정전'은 국왕의 즉위식, 신하들의 하례, 궁중 연회 등 공식적 행사를 치렀던 장소이다. ⓒ박우영

국보 제226호 '명정전'은 현재 남아있는 조선시대 궁궐의 전각 중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이다. ⓒ박우영

창경궁의 정전인 '명정전' 앞쪽에는 좌, 우로 24개의 품계석이 배열되어 있다. ⓒ박우영

조선시대 궁궐의 섬세한 아름다움이 느껴지는 팔작 지붕. ⓒ박우영

'명정전' 주위를 둘러보니, 왕이 일상 업무를 보았던 '문정전'이 보인다. 이곳은 사도세자의 참극의 장소로도 잘 알려져 있다. ⓒ박우영

'명정전' 좌측에는 독서하거나 국사를 논하던 '숭문당'이 있다. '숭문당'이라는 현판의 글씨는 영조가 직접 썼다. ⓒ박우영

국왕이 신하들을 만나 경연하는 편전으로 즐겨 사용하던 '함인정'. 한 시민이 자녀와 함께 내부를 살펴보고 있다. ⓒ박우영

아담한 규모의 전각들이 파란 하늘을 배경으로 모여있다. ⓒ박우영

숭문당과 함인정 옆쪽에 위치한 '5층 석탑'. 조선시대 궁궐에 고려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석탑이 있다보니, 이채롭게 느껴졌다. ⓒ박우영

왕비의 침전인 '통명전'을 중심으로 한 내전 영역. 드라마 '킹덤' 촬영 장소로도 사용된 곳이다. ⓒ박우영

내전 침전으로 사용되던 전각 '환경전'. 주변 자연환경과 어우러진 모습이 아름답다. ⓒ박우영

대비의 거쳐였던 '양화당'은 병자호란때 남한산성으로 피난했던 인조가 돌아와 잠시 머무르기도 했다. ⓒ박우영

왕비의 거쳐였던 '통명전'. 내전 가장 깊숙한 곳에 남향으로 지어져있다. 다른 전각들과는 다르게 용마루가 없는 지붕이 독특하게 보인다. ⓒ박우영

통명전 옆쪽에는 '지당'이란 연못이 조성되어 있다. 그 위로 돌다리가 놓여진 모습. ⓒ박우영

영춘헌과 집복헌 내부에서 바라본 하늘. ⓒ박우영

보물 제851호로 지정된 조선시대 천문대 '관천대' 모습. ⓒ박우영

궁궐에서 즐겨 심던 나무인 '회화나무'가 보인다. ⓒ박우영

성종의 태를 묻어놓았던 태실, 제작과 수리 기간을 적은 태실비. ⓒ박우영

1909년에 완공한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온실 '대온실' 전경. 창경궁 내 동물원과 함께 지어졌다. ⓒ박우영

창경궁 후원에 있는 연못 '춘당지' 전경. 주변 나무들이 연못에 반영된 모습이 마치 한폭의 그림 같다. ⓒ박우영

도심 속 풍경과 어우러진 창경궁. 천천히 걷다보니 조선시대 궁궐의 아름다움에 푹 빠지게 된다. ⓒ박우영
■ 창경궁
○ 위치 : 서울 종로구 창경궁로 185
○ 운영시간 : 09:00 ~ 21:00
○ 휴무일 : 매주 월요일
○ 홈페이지
○ 문의 : 02-762-4868
○ 문의 : 02-762-4868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