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 예방접종' 저렴하게 이용하는 꿀팁!

시민기자 박명은

발행일 2021.02.24. 14:04

수정일 2021.02.24. 14:12

조회 2,725

의료기관마다 비급여 접종비 천차만별…건강보험료심사평가원 사이트에서 비교

체력이 급격하게 저하되거나 몸이 피곤할 때 신체 한 부분에 물집처럼 나타나는 질병, ‘대상포진’을 본 적 있을 것이다. 대상포진에 걸리면 발생 부위가 적더라도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발병 시 빠르게 치료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대상포진이 발생하기 전, 미리 예방차원에서 예방주사를 접종하기도 한다. 

하지만 대상포진 예방접종운 비급여 항목이기 때문에 병원마다 가격이 제각각으로 책정된다. 이로 인해서 다른 병원보다 조금 더 비싸게 접종비를 내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강보험료심사평가원 홈페이지(https://www.hira.or.kr/main.do)를 방문해 보았다. 
건강보험료심사평가원  메인 화면
건강보험료심사평가원 메인 화면 ⓒ건강보험료심사평가원

비급여 항목인 '대상포진 예방접종' 저렴하게 하기

건강보험료심사평가원은 서울, 부산, 대구 등 각 도시에 소재하는 의료기관의 진료비를 심사평가하는 기관이다. 여기서 말하는 ‘비급여’ 항목이란 의료보험의 혜택을 받을 수 없어 의료 치료비를 환자가 전액 부담하게 되는 치료비를 말한다. 

이 사이트에서 각 병원마다 조금씩 다른 대상포진 접종비용 가격을 비교해보기 위해 건강보험료심사평가원 사이트- 진료비-비급여진료비정보-기관별 현황정보 순으로 클릭해 보았다. 
진료비-비급여진료비정보-기관별 현황정보
진료비-비급여진료비정보-기관별 현황정보 ⓒ건강보험료심사평가원

다음으로 비급여진료비항목에서 예방접종료-대상포진을 선택, 추가검색조건에서 접종 받을 지역을 선택하면 된다.
예방접종료-대상포진, 접종 받을 지역 선택
예방접종료-대상포진, 접종 받을 지역 선택 ⓒ건강보험료심사평가원

그 결과, 병원 별 대상포진 접종비용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또한 가격 반영 일자가 나와 있어 정보의 정확성에 대해 조금 더 신뢰할 수 있었다.   
접종료 가격 비교
접종료 가격 비교 ⓒ건강보험료심사평가원

대상포진 예방접종 권고 연령은 50~60세이며, 이미 대상포진에 걸려서 치료를 받았다면 치료가 끝난 뒤 12개월이 지난 뒤 예방접종을 해야 한다. 대상포진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규칙적인 생활과 식습관으로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다. 대상포진에 한 번 걸려서 치료를 받았다 하더라도 다시 발병할 수 있기 때문에 균형 잡힌 식습관과 운동, 충분한 수면으로 기초 체력을 키우는 것이 좋다. 

야간·휴일엔 병원비와 약값 더 비싸요!

이 외에도 병원비를 저렴하게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평일 야간 및 토요일 진료를 피하는 것이다. 이 때는 진료비에 가산금이 붙기 때문에 주말보다는 평일 낮 시간 때에 방문하는 것이 좋다. 

또한 약 값의 조제 비용도 평일 저녁, 주말, 공휴일에는 조제료 할증이 30%가 추가되기 때문에 이 부분을 유념해서 약국을 방문하는 것이 좋다. 병원 처방전으로 받은 조제 약이 아닌 일반의약품의 경우에는 약값 공휴 가산제도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언제든지 방문해도 가격은 일정하다.
조제한 약
조제한 약 ⓒ박명은

건강보험료심사평가원 사이트에서는 대상포진 예방접종비뿐만 아니라 비급여 진료항목인 모발이식률료, 시력교정술료, 한방검사료 등도 비교해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병원을 선택할 때 건강보험료 심사평가원 사이트를 참고해서 선택한다면 조금 더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약국 공휴 가산제도

○ 내용: 야간, 휴일에 약국 이용 시 약값 조제료의 30%가 가산됨
○ 미적용 시간: 월요일~금요일 평일 오전 9시~오후 6시
○ 적용 시간: 평일 오후 6시~다음 날 오전 9시, 토·일요일, 공휴일 

시민기자 박명은

서울의 정보를 담겠습니다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