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의 살아 있는 전설~ '장충체육관'
발행일 2021.02.17. 13:30
서울시에서는 매달, 해당 월과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는 장소 등을 '이달의 미래유산'으로 선정하고 있다. 2월의 경우, 1993년 2월 15일에 완공된 '예술의 전당', 1963년 2월 1일에 개장한 '장충체육관' 등이 서울시 미래유산으로 선정되었다.
장충체육관은 1955년 개관한 육군체육관을 서울시가 1963년 돔형 지붕을 씌워 조성한 국내 최초·최대의 실내체육관이다. 대규모 체육행사, 문화행사 등 현재까지도 서울의 체육문화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 1988년 서울올림픽 등 국제대회부터 민족씨름과 농구대잔치 등 국내 행사까지 각종 체육대회와 문화행사들을 개최한 유구한 역사를 보유한 장소로 서울미래유산으로 선정됐다.
‘장충’은 ‘충(忠)을 장려한다’는 의미이다. 1901년 장충단은 임오군변(1882년)과 갑신정변(1884년) 당시 순국한 신하들의 신위를 함께 모시면서 목숨을 바쳐 나라를 지키고자 했던 충신들을 기리는 ‘추모공간’이었다. 장충체육관 뒷길에서 남산공원까지 한양도성 길을 따라갈 수 있다. 필자는 여름에 이 길을 걸어보았는데 길가에 보랏빛 맥문동이 피어있었다. 장충체육관 우측으로 신라호텔 영빈관으로 올라가는 길이 있는데 이 길을 따라 올라가면 정자로 올라가는 길이 있다. 정자 주변에는 조각 공원이 있어 함께 관람하면 좋다.
장충체육관은 1955년 개관한 육군체육관을 서울시가 1963년 돔형 지붕을 씌워 조성한 국내 최초·최대의 실내체육관이다. 대규모 체육행사, 문화행사 등 현재까지도 서울의 체육문화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 1988년 서울올림픽 등 국제대회부터 민족씨름과 농구대잔치 등 국내 행사까지 각종 체육대회와 문화행사들을 개최한 유구한 역사를 보유한 장소로 서울미래유산으로 선정됐다.
‘장충’은 ‘충(忠)을 장려한다’는 의미이다. 1901년 장충단은 임오군변(1882년)과 갑신정변(1884년) 당시 순국한 신하들의 신위를 함께 모시면서 목숨을 바쳐 나라를 지키고자 했던 충신들을 기리는 ‘추모공간’이었다. 장충체육관 뒷길에서 남산공원까지 한양도성 길을 따라갈 수 있다. 필자는 여름에 이 길을 걸어보았는데 길가에 보랏빛 맥문동이 피어있었다. 장충체육관 우측으로 신라호텔 영빈관으로 올라가는 길이 있는데 이 길을 따라 올라가면 정자로 올라가는 길이 있다. 정자 주변에는 조각 공원이 있어 함께 관람하면 좋다.

대형 현수막에 홈경기 일정이 적혀있다 ⓒ문청야

주차장에 차를 주차하고 나오니 후문이다 ⓒ문청야

따릉이를 대여할 수 있다 ⓒ문청야

유선형 형태의 앞부분이 인상적이다 ⓒ문청야

장충체육관의 전면에 해를 넣어 극적으로 표현해 보았다 ⓒ문청야

문화체육 복합공간, 장충체육관 ⓒ문청야

모든 실내경기가 가능한 장충체육관 ⓒ문청야

체육관 앞에 흰색의 독특한 조형물이 있다 ⓒ문청야

배구․농구․핸드볼 등 체육경기뿐 아니라 문화공연 복합 시설로 활용, 필자는 장충체육관에서 패션쇼를 관람한 적이 있다 ⓒ문청야

장충체육관 정문 ⓒ문청야

계단을 내려가면 동대입구역과 연결된다 ⓒ문청야

정문 앞에 태극기를 비롯한 각종 깃발들이 있다 ⓒ문청야

장충체육관에서는 배구, 농구, 종합격투기 등의 스포츠 경기와 콘서트, 마당놀이 등의 문화 공연이 열린다 ⓒ문청야

실내를 들어갈 수 없어 가까이서 담아보았다 ⓒ문청야

장충체육관 정문 맞은편에 장충단 공원이 있다 ⓒ문청야

경제가 급성장하던 1980년대는 3S정책과 더불어 농구대잔치, 백구의 대제전, 천하장사 씨름대회, 올림픽경기(태권도, 유도), MBC 대학가요제 등이 이곳에서 열렸다 ⓒ문청야

선수단 출입구 ⓒ문청야

우둔하게 표현되기 쉬운 돔의 형태를 구조체와 잘 조화시켜 거대한 매스(Mass)를 거부감 없이 대할 수 있는 조형성을 갖는다는 평가를 받는다 ⓒ문청야

장충체육관의 측면 ⓒ문청야

1989년(13회)과 1992년(16회)에는 장충체육관에서 MBC 대학가요제가 개최되었던 장충체육관 ⓒ문청야

정문으로 올라가는 계단 ⓒ문청야

화랑(花郞) 1973 최만린作 ⓒ문청야

승무(僧舞) 1987 심정수作 ⓒ문청야

가족군상 1986 한용진作 ⓒ문청야

무제 1986 박충훈作 ⓒ문청야

思惟에 依한 流出 1986 노재승作 ⓒ문청야

두자매 ⓒ문청야

二女人像 1986 김창희作 ⓒ문청야

기다리는 사람들 1985 홍순모 ⓒ문청야

情(Emotion) 김찬식作 ⓒ문청야

신라호텔 영빈관 뒤쪽으로 한적한 산책로가 있다 ⓒ문청야

母子像 1988 까르데나스 ⓒ문청야
■ 장충체육관
○ 위치 : 서울 중구 동호로 241
○ 홈페이지 : https://www.sisul.or.kr/open_content/jangchung/
○ 문의 : 02-2128-280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