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공야간약국, 우리동네 어디에 있나?
발행일 2021.02.17. 10:52
가족 중에 특히 노인이나 아이가 있는 경우 한밤중에 아프면 매우 난감하다. 일단은 간단한 상비약을 사용해보고 차도를 기다려보는데, 이 상비약마저 없다면 더욱 막막해진다. 이에 서울시는 지난 9월 16일부터 시민들이 평일은 물론 주말, 공휴일 심야에도 의약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공공야간약국’을 지정·운영하고 있다.
아프면 누구나 당황하기 마련이다. 서울시에서 지역마다 운영하는 공공야간약국을 미리 파악해두면 좋을 것 같아서 방문해 보았다.
아프면 누구나 당황하기 마련이다. 서울시에서 지역마다 운영하는 공공야간약국을 미리 파악해두면 좋을 것 같아서 방문해 보았다.

서울시는 밤 10시부터 새벽 1시까지 문을 여는 공공야간약국을 지정·운영 중이다. ⓒ서울시
서울시는 20개구 31개의 공공야간약국을 지정해 밤 10시부터 새벽 1시까지 운영한다. 23개 약국은 365일 매일 운영하고 8개 약국은 요일별로 문을 연다. 필자가 살고 있는 서대문구의 경우 3곳의 심야약국이 운영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선 스마트서울맵을 통해 공공야간약국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지 찾아보았다. 아쉽게도 이에 대한 위치 확인은 아직 제공되지 않는 것 같았다. 주소를 기준으로 다시 위치를 확인하고 비교적 가까운 곳을 찾았다. 현실적으로 서대문구의 넓이를 고려할 때 3개의 약국은 접근성이 아쉬운 게 사실이다. 또한 가능하면 공공야간약국 카테고리를 만들어 스마트서울맵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면 긴급한 상황에 도움이 될 것 같다.
우선 스마트서울맵을 통해 공공야간약국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지 찾아보았다. 아쉽게도 이에 대한 위치 확인은 아직 제공되지 않는 것 같았다. 주소를 기준으로 다시 위치를 확인하고 비교적 가까운 곳을 찾았다. 현실적으로 서대문구의 넓이를 고려할 때 3개의 약국은 접근성이 아쉬운 게 사실이다. 또한 가능하면 공공야간약국 카테고리를 만들어 스마트서울맵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면 긴급한 상황에 도움이 될 것 같다.

스마트서울맵에서 찾아본 우리동네 공공야간약국 ⓒ조한상
명지대학교의 후문에 가깝게 위치한 ‘은하약국’이 집에서 가장 가기 편한 위치였다. 주변으로 오래된 주택가와 경로당이 자리해 주민들이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었다. 특히 대학교 내 외국인 학생들의 경우 낯선 지역에서 야간에 예상치 못한 신체적 불편함을 겪게 될 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이 지역 노약자가 있는 가정에 적절하게 홍보가 되고 있는지, 또 대학내 이와 관련한 안내문이 잘 부착되었는지 궁금하다. 서울시 공공야간약국의 위치와 운영시간 등이 더 많이 알려지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다만, 이 지역 노약자가 있는 가정에 적절하게 홍보가 되고 있는지, 또 대학내 이와 관련한 안내문이 잘 부착되었는지 궁금하다. 서울시 공공야간약국의 위치와 운영시간 등이 더 많이 알려지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동네 공공야간약국 은하약국 ⓒ조한상
공공야간약국 운영 현황은 서울시 홈페이지(https://news.seoul.go.kr/welfare/archives/522756)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자치구별 약국이름과 주소, 전화번호 등 세부정보를 검색해보고 365일 운영 여부와 요일별 운영 현황을 확인해서 찾아가면 된다. 다산콜센터 120, 119 콜센터에서도 안내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자.
■ 서울시공공야간약국 운영 현황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