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으로 만나는 국회 포럼·강연, 알차다 알차!

시민기자 김유진

발행일 2021.02.16. 14:00

수정일 2021.02.16. 14:48

조회 121

국회에는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하는 조찬 모임부터 누구나 들을 수 있는 다양한 포럼과 강연들이 많다. 

지난해 8월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 영화 다음 100년을 준비하다’라는 포럼에 대면으로 참석한 적이 있다. 이 포럼의 중심 발제는 한국 영화프로듀서조합 최정화 대표의 ‘코로나19가 영화계 전반에 미친 영향’과 국민대학교 사회학과 최항섭 교수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 ‘뉴노멀’ 트렌드 대비 영화산업 대응 방안’ 등이었다. 영화계 종사자가 아닌 소비자로서 깊게 생각해 보지 못한 현실 문제들과 영화 산업의 미래에 대해 들을 수 있어 뜻깊은 시간이었다.
지난해 열렸던 코로나19와 문화, 체육, 관광 5대 이슈 관련 포럼
지난해 열렸던 코로나19와 문화, 체육, 관광 5대 이슈 관련 포럼

국회 포럼과 강연, 비대면으로 참석 가능해...

그 이후에는 코로나19가 심해지고 방역대책에 따라 포럼과 강연이 잇따라 취소되었다. 대신 비대면으로 누구나 시공간 제약 없이 들을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그중 이번 2월 중순에 있는 비대면 포럼과 강연을 두 가지 소개해보고자 한다.

1. 인공지능의 공정성, 투명성, 책임성 보장을 위한 법제 정비 방안

인공지능의 공정성, 투명성, 책임성 보장을 위한 법제 정비 방안에 대한 토론회가 있다. '헌법과 인공지능', '인공지능 법제 정비 제안' 두 발제를 중심으로 정필모 의원 페이스북에서 토론이 온라인 생중계될 예정이다. 인공지능의 발달과 코로나19로 인한 디지털 대전환으로 인류는 사회·경제·문화 전반의 변화에 직면하였다. 향후 인공지능에 대한 법뿐만 아니라 윤리 의식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중계 : 정필모 의원 페이스북
○ 일정 : 2021년 2월 17일 (수) 14:00~16:30
인공지능의 공정성, 투명성, 책임성 보장을 위한 법제 정비 방안에 대한 토론회 포스터
인공지능의 공정성, 투명성, 책임성 보장을 위한 법제 정비 방안에 대한 토론회 포스터 Ⓒ김유진

2. 사회적 금융 활성화 정책 시행 3년 평가와 과제 토론회

사회적 금융 활성화 정책 시행 3년 평가와 과제 토론회도 있다. '사회적 금융 활성화 정책 추진 현황'과 '사회적 금융 생태계 조성 및 제도화 방향', 두 가지 발제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사회적 금융 활성화 정책 시행 3년을 앞두고 그간의 성과를 짚어 보고, 향후 사회적 금융 제도화 방향 모색 등 과제를 도출해보고자 이번 토론회를 열게 되었다고 한다. 사전 신청을 하면 행사의 온라인(유튜브) 실시간 스트리밍 링크 및 관련 자료를 받을 수 있다고 하니 미리 해두는 것이 좋다.

○ 사전 신청 주소
○ 실시간 스트리밍 유튜브 주소
○ 일정 : 2021년 2월 18일 (목) 13:00~16:00
사회적 금융 활성화 정책 시행 3년 평가와 과제 토론회 포스터
사회적 금융 활성화 정책 시행 3년 평가와 과제 토론회 포스터 Ⓒ김유진

코로나19로 일상생활에 많은 제약이 생겼다. 그러나 다양한 비대면 행사들이 생겨나면서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평소 사회적 이슈들에 대하여 관심이 많았지만 시간이 없거나 멀리 살아서 좋은 포럼과 강연 등을 볼 기회가 없던 사람들은 국회에서 진행하는 포럼과 강연에 관심을 가져보는 것을 추천한다.

시민기자 김유진

서울시 소통을 책임지겠습니다.

#국회 #국회포럼 #코로나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카카오톡 채널 구독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